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1

        43.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진왜란은 7년 전쟁이었다. 국토가 황폐화 되었고 백성들은 평화로운 고향을 등지고 피난길에 올랐다. 난세에는 영웅이 탄생하는 것처럼 역사에 길이 남을 이순신 장군도 임진왜란으로 인하 여 명장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전쟁은 승리할 때가 있으면 패배할 때도 있는법, 서로를 견제 하는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모함은 야전에서 적과 싸우는 군인들에게 사기를 떨어뜨리는 작용 을 하게 된다.이순신 장군도 작전에 실패하기도 하였다. 이는 임금과 반대당파에게는 처벌의 구 실을 만들어 주는 결과가 되었고 결국 목숨까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때 당파의 이익을 떠나 인물됨과 현장 지휘관으로서의 고충을 이해하고 임금에게 용서해주기를 권했던 정 승이 있었다. 정탁은 임진왜란동안 임금을 보필하면서 전쟁을 수행한 노신하(老臣下) 였다. 임 금의 곁을 떠나지 않고 생사고락을 같이 하였으며 이순신이 어명을 어긴 죄명으로 국문을 당할 처지에 놓이게 되자 임금에게 구명상소를 올려 죽음으로부터 이순신을 구해내었다. 우의정으로서 전쟁을 겪으면서 본 이순신의 인물됨과 전쟁 중지휘관의 처벌이 몰고 올 전쟁 실 패에 대해 미리 예견하여 목숨 걸고 임금에게 구명상소를 올린 행동은 오늘날 군인들이 배워야 할 부분이다.
        5,700원
        4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생태공원의 탐방환경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개선해야 될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생태공원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문헌고찰과 법적 기준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조사항목을 선정하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공원 내 단위시설에서는 모든 시설에서 손잡이가 미설치되어 있어 탐방객의 이동성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위시설은 유니버설 디자인측면에서 고려가 되어져 있지만 실제 법적 기준과는 상이한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사용편리성에 초점을 맞추어 세부적인 기준을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존별 탐방구간에서는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용 시설은 모두 미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높이차가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장애인과 노약자의 독립적인 탐방활동을 제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법적 기준이 단위시설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생태공원과 같은 넓은 장소에 적용 가능한 기준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원과 같은 대규모 활동공간에 알맞은 유니버설 디자인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단위시설에 대한 보완도 중요하지만 생태공원내 체험활동공간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는 것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5,100원
        4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bout comparison of thermal and flow characteristics on the wind & radiant heat shield with STS mesh type screen for offshore plant.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ransmission coefficient in the mesh and then analyse the flow characteristics about wind & radiant heat shield. The experiment method of solar radiation has been used as thermal radiation source to get the performance of radiant heat shield measurement. The sensor radiation device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reduction of solar radiation with various size of cells and at a distance of 0.5m and 1m from the cold face of the wind & radiant heat shield. The present study show reduction in radiation heat flux as various distance from the cold face of the radiant heat shiel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for different type of mesh and distance of measurement.
        4,000원
        4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oma compounds in sun-dried salt according to saltern material and packaging box were extracted by the headspace and were isolated by using GC-MS.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cluding ketones, heterocyclic compounds and six other compounds. Major aroma compounds in salts were identified as 4-methyl-2 pentanone, 5-methyl-3-hexanone, 4-methyl-3-penten-2-one, 2-hexanol, benzothiazole, 2, 4-bis(1, 1-dimethylethyl)-phenol, and 1, 3, 5 tri-tert-butyl benzene.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altern materials in three salts. Salts stored in Chamaceyparis obtusa (Sieb. et Zucc.) had more diverse aroma profiling than those in Pinus densiflora and Paulownia coreana. We consider that it need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 added products for new aromatic salt.
        4,000원
        4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ifferences in Jinseol (ritual table-setting) and Jesu (ritual food)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regarding Bulcheonwijerye of Admiral Yi Sun-Sin, which is being held in Asan-hyeonchungsa shrine, Tongyeong-changnyangmyo and Namhae-chungyeols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total of 32 types of Jemul (ritual food) in 6 rows in Asan-hyeonchungsa shrine, a total of 30 types of jemul in 6 rows in Tongyeong-changnyangmyo, and a total of 12 types of jemul in 2 rows in Namhae-chungyeolsa were prepared for the ritual table. In the Asan-hyeonchungsa shrine and Tongyeong-changnyangmyo, cooked foods have been used for jesu, whereas raw, uncooked foods have been used for jesu in Namhae-chungyeolsa. In the Asan-hyeonchungsa shrine, Gaeng (Kook) for liquid soup of Tang (stew) and Tang (5-tang) for the solid ingredient of stew have been prepared for a ritual table. In Tongyeong-changnyangmyo, fish Kook for Gaeng and So-tang (tofu stew) for Tang have been prepared for the ritual table. In Asan-hyeonchungsa shrine, Yukjeok (beef slices broiled on a skewer), Gyejeok (chicken jeok) and Eojeok (fish jeok) have been stacked together as Dojeok on a ritual table whereas in Tongyeong-changnyangmyo, Yukjeok, Sojeok and Eojeok have been placed on the ritual table as Pyunjeok (one by one). In Namhae- chungyeolsa, raw pork meat has been placed on the ritual table. As Po (a dried meat or fish), dried fish and dried seafood have been used in Tongyeong-changnyangmyo, whereas raw beef meat has been used in Namhae-chungyeolsa. Although Namul (cooked vegetables) and Mulkimchi (watery plain kimchi) are placed on ritual table for Asan-hyeonchungsa shrine, only Namul and Saengchae (raw vegetables) is used in Tongyeong-changnyangmyo and Namhae-chungyeolsa, respectively. Bulcheonwijerye for the same person, Admiral Yi Sun-Si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rin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eserve and succeed bulcheonwijerye of Admiral Yi because it is a traditional culture in ancestral rituals.
        4,000원
        4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Korea, over 70 percent of the land consists of mountainous and rolling area. Thus, tunnels continue its upward trend as road network are extended. In these circumstances, the importance of tunnel has been increased nowadays and then its safety investigation an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This study is focus on confirming and improving the safety of tunnel. On tunnel hood, sunglare effect can irritate driver's behavior instantly and this can result in incident. METHODS : The study of this phenomenon is rarely conducted i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so there is no proper measure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effect of sunglare effect on tunnel hood. RESULTS : Traffic accidents stem from complex set of factors. This study build th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to find out the effect of sunglare effect on tunnel's hoo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raffic volume, geometric design of road, length of tunnel and road side environment. Using these variables, this model estimates accident frequency on tunnel hood by Poisson regression model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Although Poisson regression model have more proper goodness of fit tha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Poisson regression model has overdipersion problem. So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is used in this analysis. CONCLUSIONS : Consequently, the model shows that sunglare effect can play a role in driving safety on tunnel hood. As a result, the information of sunglare effect should be noticed ahead of tunnel hood so this can prevent drivers from being in hazard situation.
        4,000원
        4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planned and executed to evaluate how the composition of Yack-sun tea can affect the health conditions of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diet-related such as being overweight, are obese and have hyperlipidemia, by taking Yack-sun tea in a form of a nutritional supplement with our daily meals. We produced Kangjieum with Lycium chinense Mill., Polygonum multflorum Thunb, Cassia tora L., Crataegus pinnatifida Bge and Salvia miltiorrhiza Bge. Thus, we approach of oriental diet therapy area research of Kangjieum and analysis proximate composition, water soluble antioxidant content. The content(%, dry basis) of total carbohydrate was 60.23%, crude protein was 18.18%, crude ash was 11.36% and crude fat was 10.23% in Kangjieum. Total water soluble antioxidant content was 1.027 ㎍/㎖ of Kangjieum. We think that scientific and objective evaluation was done on the components of the Kangjieum prescription. This basic data could help guide the application of oriental medicinal resources into other foods and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use of Kangjieum in the burgeoning field of nutraceutical foods. Last, the scientific effects of oriental medicinal foods developed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al theory. This theory is believed to be essential for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concerning validation of medicinal effects and assessment, with the aim of fostering systematic development and providing guidance to food development in the interest of national health.
        4,000원
        5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types of tea are consumed as a popular beverage worldwide particularly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neral conten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cancer activity of Yak-Sun tea that is prepared by six oriental medicinal herbs. The results of the mineral contents were as follows; Ca, Mg, and Na cont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tea, whereas Fe, P, and K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green tea. The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Yak-Sun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and black teas. The IC50 values of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of Yak-Sun tea were 0.78, 1.58, and 2.04 ㎎/㎖, respectively, whereas the radical scavenging values of α-tocopherol was 0.06, 0.05, and 0.09 ㎎/㎖, respectively. When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Yak-Sun tea, the anticancer activit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HCT116 colon cancer cell line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compared to other cancer cell lines, such as MCF-7, H460, and MKN45 cell 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Yak-Sun tea could function as a tea to enhance health conditions for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4,000원
        5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 Sun)의 분포현황 및 서식지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식생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생식물을 활용한 자원화 및 보전과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7월까지 변산, 여수, 거제, 울산, 경주, 제주, 안양 등 7개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각 지역에 1m×1m의 방형구를 총 59개 설치하고 방형구 내에 분포하는 모든 종의 피도와 빈도를 기록하였고, 상층부 교목의 우점종을 기록하고 서식지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변산바람꽃은 해발 84m~585 m 사이에 분포하였고, 총 59개 방형구 중 43개의 방형구가 북동사면에 위치하였다. 또한 경사 10~20º의 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분석결과 유기물은 평균 9.6%, pH는 4.9로 대부분 약산성이며 토양수분함량은 평균 16.5%로 나타났다. 고도에 대해 경사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도가 낮아질수록 경사가 완만해지며, 토양은 산성을 띄는 경향을 보였다. pH와 토양수분 함량, 변산바람꽃의 분포와 유기물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분이 풍부하고,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59개 방형구에서 144개 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서식지 주변의 교목으로서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비목나무, 서어나무 등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의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변산바람꽃을 활용한 분화용 소재개발 및 재배 시 최적의 서식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5.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내변산 변산바람꽃 개체의 밀도가 높은 곳을 3곳 지정하여 5m×5m (25㎡)의 고정 방형구를 설치하고 변산바람꽃의 식생 변화상 및 생육특성을 살펴보고자 수행 하였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변산바람꽃의 정밀조사는 꽃이 피는 시기부터 열매가 맺 는 시기인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월 1회 조사를 원칙으로 총 4회 수행하였으며, 내변산 내 계곡 주변 사면을 중심으로 3개의 조사구를 지정․설치하고 변산바람꽃의 개체와 식생 의 변화상을 조사하였다(그림 1). 자생지의 개체군 정밀조사는 현지조사표에 종 정보, 지역 정보, 지역 특성, 생육 현황, 생육지 구분, 주변 식생 위협 요인 및 특이사항 등을 기입하였으며, 층위별 식생현황은 이창복(2003)과 이영노(2006)의 식물도감을 기준으로 작성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층위별 식생 변화상 1) 조사구 1번 조사구 1번의 층위별 식생 현황을 살펴보면 교목층에 해 당되는 종은 없으며, 아교목층에 단풍나무가, 관목층에서는 단풍나무, 다래가 확인되었다. 초본층은 2월에 조사한 1차 조사에서는 변산바람꽃, 소엽맥문동, 십자고사리 등이 확인 되었지만 5월에 조사한 4차 조사에서는 투구꽃, 노루귀, 십 자고사리, 변산바람꽃, 족도리풀, 단풍나무, 소엽맥문동, 둥 굴레, 현호색, 개별꽃 등이 확인되었다. 1차 조사에서는 변 산바람꽃의 피도가 높았던 반면, 최종 조사에서 투구꽃이 가장 높은 피도를 보이고 있었다. 초본층의 경우 야생동물 의 섭식과 급경사로 인한 토양의 쏠림 현상으로 3차 조사 때 보다 4차 조사에서의 녹피율이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표 1). 2) 조사구 2번 조사구 2번의 층위별 식생 현황을 살펴보면 교목층에서 는 이나무, 말채나무, 개서어나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아교 목층에서는 까치박달 한종이 해당되었다. 관목층은 조사 시 기에 따라 종수의 차이가 있었지만, 조릿대, 단풍나무, 다래, 상산, 좀작살나무, 고추나무, 회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초본 층에서는 변산바람꽃, 큰구슬붕이, 소엽맥문동, 보춘화, 실 새풀, 바위족제비고사리, 노루귀, 투구꽃, 현호색, 조릿대, 꿩의바람꽃, 족도리풀, 둥굴레, 민둥뫼제비꽃, 개족도리풀,하늘말나리, 죽대, 처녀고사리, 사람주나무, 좀나도히초미, 개별꽃 등이 확인되었다(표 2). 3) 조사구 3번 조사구 3번의 층위별 식생 현황을 살펴보면 교목층에는 합다리나무, 굴피나무 등이 있었고, 아교목층에는 합다리나 무 한종이 우점하였다. 관목층에서는 병꽃나무, 길마가지나 무, 상산, 딱총나무, 청괴불나무 등이 확인되었으며 최종조 사에서는 상산의 피도율이 가장 높았다. 초본층에는 변산바 람꽃, 인동덩굴, 소엽맥문동, 으름덩굴, 맥문동, 산자고, 현 호색, 미나리냉이, 쥐똥나무, 길마가지나무, 주름조개풀, 갈 퀴덩굴, 개구리발톱, 회나무, 비짜루, 긴사상자, 참반디, 개 별꽃, 사위질빵, 상산, 고추나무, 개맥문동, 큰개별꽃, 차풀 등이 확인되었다. 최종 조사에서 초본층은 긴사상자의 피도 가 가장 높았다(표 3). 2. 고찰 1) 생육특성 내변산 내 변산바람꽃 자생지 3곳을 조사해 본 결과, 모 두 낙엽활엽수림 하에 위치하였으며, 인근에 계곡과 가까이 접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3월에 일찍 개화하는 변산 바람꽃의 특성상 낙엽활엽수림 하에 생육하는 것이 충분한 일조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생육에 유리한 환경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계곡 주변에 자생함으로써 적당한 수 환경 또한 조성 될 것이다. 이점은 3개 조사구의 개화․결실 율(수)을 비교해보면 확인할 수 있다. 1,2번 조사구는 산림 내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3번 조사구는 내변산 탐방지원 센터 주차장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3곳 모두 낙엽활엽수림 하에 위치하고 있지만 탐방로 인근에 위치한 3번 조사구의 일조량이 더 많은데 변산바람꽃의 개화시기에 조사를 수행 한 결과 3번 조사구 내에서 개화율이 확연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변산바람꽃은 다량의 광선과 수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낙엽활엽수림이 있 는 계곡의 중․하류에는 대부분이 분포할 것으로 추정된다. 2) 보전방안 현재 변산바람꽃은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에서 확인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비법정탐방로 주변에 분포하고 있어 보전 차원의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인위적인 훼손의 우려가 높은 실정이며, 관찰을 원하는 탐방객에 대한 서비스 차원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변산바람꽃 자생지 보전과 탐방객의 서비스 만족을 동시에 이루기 위해서는 기존에 행해지고 있는 자생지 주변의 보호목책이 아닌 대체 서식지 를 조성하거나 관리가 쉬운 지역을 개방하여 홍보함으로써, 무분별한 자생지 훼손을 막고 탐방객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인용문헌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다음지도 (http://local.daum.net.)
        4,000원
        56.
        2011.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orts a characteristic motion of a polarity inversion line (PIL) formed at the solar surface, which is newly found by performing a three-dimensional magnetohydrodynamic simulation of flux emergence in the Sun. A magnetic flux tube composed of twisted field lines is assumed to emerge below the surface, forming a bipolar region with a PIL at the surface. A key finding is the successive half-turn rotation of the PIL,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quadrupolar-like region at the surface and a magnetic configuration in the corona; this configuration is reminiscent of, but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so-called inverse-polarity configuration of a filament magnetic field. We discuss a physical mechanism for producing the half-turn rotation of a PIL, which gives new insights into the magnetic structure formed via flux emergence. This presents a reasonable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a filament magnetic field suggested by observations.
        4,000원
        59.
        201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0.
        201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