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강원도내 재배면적이 증가한 멜론 및 수박의 주산지별 병해충 분포 특성을 구명하고, 문제가되는 병해충의 발생을 예찰 및 진단을 통해 방제적기를 확립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강원지역 멜론 및 수박재배면적은 2010년 76ha에서 2016년 181ha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멜론과 수박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병해로는바이러스, 흰가루병, 노균병 등이 있었고, 바이러스의 경우 생육중기에서 후기에 최대 발생주율을 보였으며, 박과류에주로 나타나는 CABYV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흰가루병의 경우 생육초기 최대 33.3%의 발병엽율을보였으며, 노균병은 생육말기에 최대 28.0%의 발병엽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점무늬병도일부 확인 할 수 있었다. 발생해충으로는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굴파리 등이 있었고, 가루이의 경우 시설 내에서작물재배기간 동안 꾸준히 발생하였고, 생육말기인 7월 하순 트랩당 105.3마리의 최대발생밀도를 보였다. 총채벌레의경우 개화기에 발생밀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트랩당 최대 206.4마리가 발생하였다. 그 외에도 점박이응애,목화바둑명나방, 진딧물류 등의 해충발생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s rapidly reducing the barriers between countries, but this is causing the easier migration of species than the past. Typically, exotic species are imported for the purpose of food, leather, and pets. However, i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wild through artificially or naturally paths, and recently they are become a main cause of ecosystem disturb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xotic turtle species introduced into the wild and analyzed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filed surveys, totally 4 genus 8 species 62 individuals of exotic turtles were found from 126 reservoirs in Gangwon-do and Gyeongsangnam-do, South Korea. In particular, Trachemys scripta elegans showed relatively high frequency than other turtle species and the natural reproduction of T. s. elegans was confirmed in some areas.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discovery of exotic turtles except T. s. elegans was relatively low, and the range of the areas was limited. Especially, exotic turtles except T. s. elegans were mainly found in public places such as reservoirs in the par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otic turtl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turtles’ distribut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rtificial factor such as “urba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otic turtles in the Korean wild, and these results will b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status the and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for exotic species.
본 연구는 한우의 전장유전체 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 다형성(SNP)에 대해 DNA chip 분석을 통해 각 개체의 유 전자형을 파악하고, SNP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강원도에서 사육되고 있던 한 우 거세우 139두의 조직을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였으 며, Bovine SNP50K BeadChip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에 사 용 가능한 최종 35,769개의 SNP 표지인자를 얻어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SNP 표지인자의 총 길 이는 2499.26Mb이었고, 전장 유전체에서 평균 대립유전자 빈도(MAF)는 0.273이었으며, SNP 표지인자간의 평균 거 리는 0.060과 0.082 사이에 분포하였다. 강원지역 내 한우 거세우를 이용하여 확인한 본 실험 결과는 기존의 전국의 한우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50Kb 이하로 인접한 거리를 갖는 SNP 표지인자들의 연관 불평형 값(r2)이 0.2 초과인 인자가 34%로 나타났다. 또한 SNP 표지인자간 거리가 멀수록 측정값이 떨어지는 지수형 식의 그래프를 보였다. 염색체별로 구분한 40kb 이하로 인 접한 SNP표지인자의 연관불평형 값(r2)은 0.2 이하로 나타 난 것이 총 7개(13, 15, 19, 23, 25, 28, 29번 염색체)였다. 종 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는 강원한우의 유전적 개량을 이 용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유전적 개량을 이용한 육종시스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어촌의 풍수적 입지분석을 통하여 내륙지와 비교시 바닷가에서 만 적용 가능한 새로운 풍수 이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우리가 활용하고 있는 풍수 이론의 구조은 일시에 논리적 체계를 갖추었다고 하기 보다는 시대의 변화, 그리고 각 지역의 기후나 지리적 여건 등의 자연환경 요소에 맞도록 진화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 중에서도 위치의 중요성이 가장 강조되고 있는데 내륙지의 촌락과 바닷가의 어촌은 풍수적 입지가 크게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지역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산과 물을 중심으로 하는 장풍득수(藏風得水)의 내륙지 풍수이론을 한쪽 면이 개방된 바닷가에도 그대로 적용 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풍수이론이 체계화된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바닷가에 대한 풍수이론은 내륙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미흡할 뿐만 아니라 연구성과 역시 부족하다.
따라서 고전풍수에서 부적합 땅으로 평가받고 있는 어촌지역이 현대에 와서도 부적합 땅인가? 그리고 고전풍수이론이 현재에도 유효한 것인가? 하는 바닷가 지역만의 풍수논리 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바닷가만의 풍수적 특징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그동안 풍수적으로 소외되었던 바닷가 지역에 대하여도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풍수이론을 제시함으로써 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폭을 확대하고 어촌개발시에도 건물과 도로건설 등의 공간배치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 지리관이자 경험과학인 풍수이론이 내륙지 뿐만 아니라 바닷가 지역으로 까지 확대하여 현실적응력 있는 유용한 학문으로 발전하는데 기초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석회동굴 내부에서 형성되고 있는 종유관에 대한 기재학적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종유관의 특징을 기술하고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백룡동굴의 주요 굴로부터 북동방향으로 분기하는 가지 굴인 B굴에서 성 장하는 종유관 156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종유관의 평균 길이는 3.05 cm (표준편차 ±1.7 cm), 평균 직경이 약 6.0 mm이다. 이러한 결과는 종유관의 직경이 기존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약 20%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유관의 끝 부분(tip)으로부터 떨어지는 동굴수의 낙수율(drip rate)은 85.3%의 종유관에서 낙수 1회 당 10분 이상으로 측정되어 매 우 느린 동굴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종유관에서도 낙수가 발생된다는 것을 보여준 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유관의 성장선은 조사된 종유관 중 85.3%에서 관찰되었다. 따 라서 해당 구역의 종유관의 경우, 성장선 형성이 매우 일반적인 종유관의 특징임을 보여준다. 또한, 각 종유관 별로 성 장선 형성 부위 및 조직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종유관 내부에 형성되는 2차 침전물(secondary precipitation)의 경우 68.6%의 종유관에서 관찰되었다. 성장선과 2차 침전물의 형성 유무 사이에서는 강한 역의 상관관 계(전체 종유관 중 70.5%)가 관찰되는데, 이는 동굴수 공급의 계절적 불연속성 또는 2차 침전물에 의한 불투명도 증가 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각각의 특징을 바탕으로 개별 종유관은 일반적인 종유관 유형과 기형 종유관 유형으로 분류 가 가능하며, 이번 백룡동굴 종유관에 대한 조사결과는 향후 다른 동굴의 종유관 기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종유관의 고기후학적 활용을 위한 선행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vel and distribution of fourtee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the agricultural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waterways located in Gyeonggi and Gangwon, Korea were determined for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A simplified, fast but effective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s combined with gas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GC-MS/ MS) was employ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compounds. The extraction of the analytes of interest in water sample (10 mL) was performed with acetonitrile (10 mL) and the salt. To purify the target PAHs, the clean-up procedure was employed with 2 mL tubes of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 The optimized method was validated with recoveries, method detection limit (MDL), accuracy and precision. Good recoveries for each PAHs at 10 and 25 μg L-1 were achieved (60 to 110%, with RSD <20%) with linearity (>0.99). MDL for all the analytes was achieved with 0.2 μg L-1. GC-MS/MS results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phenanthrene in the water samples from Gyeonggi (20 sites) ranged from 0.82 to 2.56 μg L-1 and from Gangwon (15 sites) ranged from 0.83 to 1.62 μg L-1. Other PAHs were not found in the water samples but the continuous monitoring for these areas were required.
Radon (222Rn) gas is a main source of ionizing radiation of natural origin. It typically moves up through the ground to the air above and into building or home through cracks and other holes in the foundation. Significantly, the Surgeon General has warned that radon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lung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This survey covers the determina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t home from 2013 to 2014 in some areas of Gangwondo, every three months (seasonal) during one year using an alpha-track det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was 84.5 Bq/m3 (GM: 64.5 Bq/m3) at homes. Indoor radon level was the highest in winter and the lowest in summer. Geometric mean radon concentration in winter was 1.03~2.58 times higher than other seasons.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the preparation of legal regulation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manuals in this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river ecosystem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located in Hoengseong of Kangwon Province from February to October 2007. Topics of the survey were mainly rainfall, discharge, water quality in abiotic factors and attached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fish, birds and mammals of flora and fauna in a biotic factor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om River could be seen as a typical flow rate of the stream is controlled to the effect of the dam. Basic water qualities were great to seasonal effects, it was relatively clean. Diatom Achnanthes, Cymbella, Gomphonema, and Navicula were distributed predominantly in the periphytic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mostly aquatic insects and freshwater shellfish, the aquatic insects were abundant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Freshwater fish was the dominant Zacco platypus, fish species varied toward the downstream. Birds were mainly observed in four species, and species Egretta garzetta, which was distributed in a wide area of the Seom River. In mammals, Lutra lutra of Mustelidae was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inhabit widely. In aspects of the ecological trophic level, the Seom River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tic and lentic ecosystems.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반기생 한해살이풀 며느리밥풀속 식물종의 서식지, 전파체 특성과 관련 개미를 밝히고자, 2012년 5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며느리밥풀속 3종의 서식지 특성, 열매 수집, 전파체 특성 및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며느리밥풀속 서식지는 약산성의 토양층이 비교적 얕은 남향사면 수관층이 열린 숲 가장자리 였다. 공통적으로 출현한 식물종은 신갈나무를 포함한 4수종과 대사초를 포함한 4종의 초본식물이었다. 이들 식물종들 이 며느리밥풀속의 숙주식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며느리밥풀속 전파체의 모양은 타원형의 종자 한 쪽에 백색의 지방체가 모자처럼 붙어있는 형태였다. 전파체 중량은 새며느리밥풀이 10.6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알며느리밥 풀이 8.0mg, 꽃며느리밥풀 7.2mg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체 중량은 알며느리밥풀이 1.2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새며 느리밥풀 1.0mg의 순이였으며, 꽃며느리밥풀이 0.8mg으로 가장 가벼웠다. 며느리밥풀속 서식지에서 전파체를 활발히 물어가는 개미는 두마디개미아과(Myrmicinae)에 속하는 3속 4종의 몸집이 작은 개미들로 코토쿠뿔개미, 항아리뿔개미, 가시방패개미와 일본장다리개미로 확인되었다. 반기생 한해살이풀이며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며느리밥풀속 식물체 들은 개체의 생육상태에 따라서 변이가 크며, 환경조건의 변화에 민감하므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면적 개벌의 대안으로서, 대상 개벌은 생산림지의 생태 조건 보전과 임분 재생을 모두 고려하는 작업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상 벌채 기법의 적용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에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소나무림 대상 벌채 (10m, 20m 및 40m) 처리 전・후의 하층식생 반응 및 소나무 재생과 임분 환경 변화와의 상관성을 방형구법을 적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하층식생 피도 및 종다양성은 대상 벌채 넓이에 상관없이 교목 종 및 광선호 종의 확장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신갈나무, 맑은대쑥 및 산딸기 등의 벌채 후 잔존 교목 및 광선호 종들의 활발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상 벌채 구역의 소나무 정착은 수관층 환경 (광량 및 수관열림 도) 및 토양나출도와는 정의 상관, 그리고 하층식생 및 임상 목질잔해물의 피도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xamination of stress levels and the eating habits that are affected by stress, and the provision of basic nutritional education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eating habit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tress-related nutritional problems. Using the BEPSI-K instrum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27 student subjects (166 male and 161 female) in the areas of Seoul and Gangwon provinc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low-stress, medium-stress and high-stress), and 59 students (18%) belonged the high-stress group. The BMI readings of the Gangwon province studen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eoul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lunch frequency and vegetable intake levels are lower in the high-stress group, whereas the intakes of hot spicy food is higher in this group; they also show that Gangwon province students had eating habits that are relatively undesirable compared with the Seoul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oul students and Gangwon porvince students regarding residence type, household economic level,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nd level of some stresses. The Gangwon province students ate occasionally breakfast, lunch and snacks, but their midnight snack consumption is relatively frequent compared with the Seou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the BEPSI-K scor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 sleeping time, economic level of household, degrees of satisfaction regarding appearance and academic achievements, lunch frequency and vegetable intakes. Desirable eating habits are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a favorable health status and for the stress-man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be a healthy members of society in the near futur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desirable eating habits among university students, community-based nutritional assistance and appropriat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xamination of stress levels and the eating habits that are affected by stress, and the provision of basic nutritional education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eating habit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tress-related nutritional problems. Using the BEPSI-K instrum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27 student subjects (166 male and 161 female) in the areas of Seoul and Gangwon provinc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low-stress, medium-stress and high-stress), and 59 students (18%) belonged the high-stress group. The BMI readings of the Gangwon province studen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eoul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lunch frequency and vegetable intake levels are lower in the high-stress group, whereas the intakes of hot spicy food is higher in this group; they also show that Gangwon province students had eating habits that are relatively undesirable compared with the Seoul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oul students and Gangwon porvince students regarding residence type, household economic level,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nd level of some stresses. The Gangwon province students ate occasionally breakfast, lunch and snacks, but their midnight snack consumption is relatively frequent compared with the Seou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the BEPSI-K scor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 sleeping time, economic level of household, degrees of satisfaction regarding appearance and academic achievements, lunch frequency and vegetable intakes. Desirable eating habits are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a favorable health status and for the stress-man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be a healthy members of society in the near futur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desirable eating habits among university students, community-based nutritional assistance and appropriat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search the difference in additional marketing satisfaction by lifestyle of Korean restaurant customers (focus on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In this research,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carried out. Lifestyle was divided into seven factors and six clusters. Additional marketing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Additional marketing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lifestyle of foreign students. First, ‘employee’ had a highest point at C3 ‘convenience·internet searching pursuit’ but lowest point at C4 ‘brand preference pursuit’ (p<0.001). ‘Service process’ had a highest point at C1 ‘safety·health pursuit’ but lowest point at C5 ‘effort pursuit’ (p<0.001). ‘Tangible clue’ had a highest point at C3 ‘convenience·internet searching pursuit’ but lowest point at C5 ‘effort pursuit’ (p<0.001). Additional marketing can reduce customer uncertainty, ambiguities, and wavering about eating at restaurants by intangibility of service. As a result, food-service corporations need to manage additional marketing as well as increas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ustomers.
강원도 백두대간 내에 위치한 진부령 권역, 오대산 권역, 태백산 권역과 대조구인 지리산 권역에서 딱정벌레아과의 분포와 군집 구조를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4개권역 14개 조사구에서 총 11종의 딱정벌레아과 곤충이 확인되었으며, 강원도 백두대간 지역에서는 강원우리딱정벌레와 청진민줄딱정벌레가, 지리산권역에서는 지리우리딱정벌레와 민줄딱정벌레가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고지대 조사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된 멋조롱박딱정벌레와 창언조롱박딱정벌레가 관찰되었다. 강원우리딱정벌레 멋조롱박딱정벌레는 강원 지역에서, 지리우리딱정벌레와 창언조롱박딱정벌레는 지리산 권역에서만 확인되어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두 종의 분포지역 사이의 완충지역에서는 동소성이나 교잡개체가 확인될 가능성이 있어 완충지역 군집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큰 에디 모의과정을 포함한 WRF 모델 (WRF-LES)을 이용하여 수치모델의 수평공간 규모에 따른 대기경계층 모수화 실험과 LES 모의 결과를 지표층 근처의 풍속 예측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수치실험은 복잡한 산악지형과 해안지역을 포함하는 강원도 지역에서 수평해상도 1 km와 333 m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평해상도 1 km 실험은 대기경계층 모수화 방안을 채택하였으며, 333 m 실험에서는 LES를 이용하였다. 복잡한 산악지역에서의 풍속 예측의 정확성은 수평해상도 1 km 실험 보다 333 m 실험에서 향상되었으며 해안지역에서는 1 km 실험에서 관측과 더 일치하였다. 지표층 근처의 큰 난류를 직접 계산하는 LES 실험은 산악지역의 풍속예측 개선에 기여하였다.
한국고고학에서 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기원과 편년, 그리고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진행되 어 왔으며, 여기에 사회성격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연구경향을 발 전적으로 계승하면서 중국 요령지역에서 남한지역으로 유입된 외래계 점토대토기문화가 재지문화와 어떠한 접촉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주 거문화에 초점을 맞춰서 검토하였다. 먼저, 주거구조에서 볼 때 벽부노뿐만 아니라,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장축노도 외래계 주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또한 평양 남경 3호 주거의 토기 를 점토대토기로 인정하는 쪽과 비판적으로 보는 입장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주거구조를 검토하여 전 자의 견해가 타당하다는 것을 밝혔다.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을 취락의 측면에서 보면, 영동지역에서 는 외래계 주거 및 유물이 주체적인 유적이 주로 확인되고 있는 반면에, 영서지역의 경우는 재지문화 가 중심을 이루는 취락에서 외래문화가 일부 수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양 지역 모두 재지문화와 외 래문화가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의 문화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혼인과 같은 인적교류가 활발히 이루 어진 것과 연동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래계 취락과 재지계 취락의 교류 과정에서 나 타난 모방(절충)토기의 존재를 주목하였다. 한편 유적마다 타문화 주거지의 구성 비율 및 유물 출토 양상에서 차이가 있는 점에서 볼 때, 집단마다 공동체의 성향에 따라 외부 문화의 수용 양태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강원지역에서 산채류 재배면적은 2013년 현재 7천여 농가에서 3,131ha를 재배하고 있을 정도로 소면적 재배작물이면서도 농가의 중요한 수입원을 차지하고 있는 고소득 작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 중 산마늘은 평창, 홍천, 인제군을 중심으로 약 69.9ha의 재배면적에서 주로 노지와 임간재배를 하고 있으며 1.9ha의 면적에서 비가림과 시설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농가의 중요한 소득 작물이고, 누룩치는 재배면적이 4.5ha로 평창, 태백, 홍천 등지에서 농가마다 산지와 노지 등을 이용하여 소규모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고 일부 농가에서는 비가림하우스에서 소면적으로 재배를 하고 있는 산채류이다. 따라서 2014년에 이들 소면적 재배작물의 안정생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해충의 종류와 발생 시기 등을 산마늘과 누룩치의 주요 생산지인 평창, 홍천지역에서 재배기간 중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마늘은 차응애, 좀남색잎벌레, 도둑나방 등 5종의 해충이 주로 발생되었으며, 그 중 좀남색잎벌레와 고자리파리는 5월에 발생되어 피해를 주었으며, 차응애는 5월 하순~6월 하순에, 도둑나방은 6월 하순~7월 상순에 발생되었으며 비가림하우스재배에서 일부 달팽이의 피해가 확인되었다. 누룩치는 차응애, 홍줄노린재 등 5종의 해충이 발생되었으며, 그 중 차응애, 홍줄노린재, 잎벌레의 발생이 많았고, 차응애는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상순에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홍줄노린재는 5월 하순~8월 하순 화경에 지속적으로 발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