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6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백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후의 안구표면의 온도변화 양상을 열화상카메라의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여 연구 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 50-79세까지 75명 75안의 환자 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거에 굴절교정수술, 각막관련 수술을 받은 자와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자, 눈물관 이상자, 전신질환 치료 약물을 복용하는 자 등 눈물분비와 눈물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는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하였고 눈물막파괴시간 검사(Tear Break Up Time, BUT), 쉬르머 검사(Schirmer’s Test), 맥모니테스트(Mcmonnies questionnaire)를 시행한 후 열화상카메라(Cox CX series, Answer., Korea)를 이용하여 안구표면의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술 전 안구표면 온도는 35.20±0.54 ℃이었고 술 후에는 35.30±0.53 ℃로 표면온도가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구표면 온도변화는 술전에서 -0.12±0.08 △(℃/sec)에서 술 후 -0.18±0.07 △(℃/sec)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령 별 비교에서는, 50 대군은 백내장 술 전 대상자의 안구표면 온도변화가 -0.14±0.09 △(℃/sec)에서 -0.19±0.05 △(℃/sec)으로 나타났고 60 대군에서는 -0.12±0.08 △(℃/sec)에서 -0.15±0.07 △(℃/sec)으로 나타났으며 70 대군에서는 술 전 대상자의 안구표면 온도변화는 -0.12±0.08 △(℃/sec)에서 -0.18±0.07 △(℃/sec)으로 전 연령에서 모두 유의한 안구표면 온도변화를 보였다. 결론: 백내장 술 후에는 안구건조증 평가지표가 모두 감소하였고 안구표면 온도변화가 유의함을 보였다. 안구표면의 서모그래피 기술은 비침습적으로 안구건조증을 평가하는데 용이하였고 객관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안구건조증 연구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눈의 여러 가지 기능 중 버전스 기능을 토대로 눈과 손의 협응능력과 시각적 집중력을 어느 정도로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시지각 훈련이나 재활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완전교정시력이 0.8 이상인 성인 33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 법을 사용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 검사와 폭주 및 개산여력, 조절성폭주비(AC/A)를 측정했다.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는 세 가지 검사 (Purdue pegboard, concentration grid, dynavision)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시각인지 및 운동기능을 평가 했다. 결과: 근거리 내사위 군에서는 Purdue AS와 조절성폭주비에서, 외사위 군에서는 Purdue AS와 원거리 폭주여력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각각 r=-0.59, r=0.41). 세 가지 검사에서 모두 평균 이상인 8명을 대상으로 D2 검사에서 근거리 개산여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77) 그 다음으로 Purdue AS와 조절성 폭주비에서는 r=-0.76, 근거리 폭주여력에서는 r=0.41를 보여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결론: 눈과 손 협응과정에서 비교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눈의 기능은 조절성 폭주비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위의 방향이나 운동기능 평가 방식을 고려하여 개인에 적합한 재활훈련을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6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5,500원
        6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troduction - Dubois (2002) said that luxury is identical with perception of comfort, beauty, and sumptuous lifestyle. There are five key factors of perceived luxury goods such as uniqueness, quality, hedonic, conspicuousness, and extended self (Vigneron and Johnson, 2004). So that, the definition of luxury fashion brand itself is goods (in terms of fashion) that has brand image and perceived as something that has uniqueness, quality, hedonic, conspicuousness, and extended self and could give comfort, beauty, and sumptuous lifestyle. Online visual display nowadays is one of maketer’s channel to promote the product. In terms of exclusivity, there is only few channels that has been used by marketer, such as website of the luxury brand itself, Instagram, Facebook, Youtube, and so on. This research of online luxury fashion brand is focused on one mobile app, named Instagram. Instagram is choosen because the usage of Instagram is increasing over time, especially in Indonesia. This research is focused on pre-loved luxury fahion brand on online shop at Instagram. There is one problem of this research, which is the percentage of middle to high income is increasing in 5 years (2010-2015) in Indonesia, but consumer is less likely to buy pre-loved luxury fashion brand. The tendency that consumer is less likely to buy because of decreasing sales of some pre-loved online shops in Indonesia. Exploratory research was taken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oot cause of decreasing sales happens because visual display of pre-loved online luxury fashion brand is not too attractive. Method - The method that which is used is experiment design. The respondent of this research are choosen by non-probability sampling, which is judgemental sampling (we already know the priority characteristic of respondent, such as middle to high income) and female (because the online shop that will be observed is only offer luxury fashion for female). This research will use eye tracker, named Gaze Point. To get the quantitative experiment data, the minimum respondents that will be need is 39 people if we want to generate until get the heatmaps (Kara Pernice and Jakob Nielsen, 2009). Users will be given some oral question after they finished the experiment with eye tracking. There are some contents that will be measured in this reseach, such as caption, image clarity, and background of product. This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ly for consumer in Bandung. Respondents are female with middle to high income that has been bought pre-loved luxury fashion bag. The variables which are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result of combination of construct from previous research about luxury brand perception and attractiveness of visual display. Sensory stimuli of sights will make automated perception acti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attractive or not. Findings – This research found that pre-loved online luxury fashion brand is currently growing rapidly. However, more respondents still prefer to buy online product if the visual display could be more attractive and the longer respondent saw the visual display, means that the respondents tend to be more interested of that posting. Author made proposed design improvements. Author then recommend them to the owner of pre-loved online luxury bag.
        6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ducts are successfully designed only when they are in accord with the users’ emotional needs. A systematic research approach is aimed to propose that physiological metrics can be effectively used to assess user emotion and behavior intention based on an eye tracker and neurophysiological approach. Forty participants (20 males and 20 females, mean age=35.6, SD=6.38, range 21-48 years), were recruited from college campuses and communities to conduct an eye tracker and electroencephalography (EEG) experiment with the presented stimuli (images of SUVs). The study uses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to test the model hypotheses. The results show a strong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ye tracker metrics, neurophysiological metrics, user affective responses, and behavior intention. These findings could enable industrial counselors, professional product designers, and academics to categorize users’ emotional needs that can be subsequently incorporated into final product design.
        6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visual marketing gains a more critical role in marketing communications, consumer eye-tracking data has been utiliz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ose marketing efforts (Croll, 2016; Glazer, 2012). With eye-tracking data, researchers can capture consumers’ visual attention effectively and may predict their behavior better than with traditional memory measures (Wedel & Pieters, 2008).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data: its volume, velocity and variety, known as 3Vs of Big Data, marketing scholars have been slow in fully utilizing eye-tracking data. These data properties may pose a challenge for researchers to analyze eye-tracking data, especially gaze sequence data, with traditional statistical approaches. Commonly, researchers may analyze gaze sequences by computing average probabilities of gaze transitions from a particular area of interest to another area of interest. When the variance of gaze sequence data in the sample is small, this method would uncover a meaningful “global” trend, a trend consistent across all the individuals. However, when the variance is large, this method may not enable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variance, or the “messiness” of data. In this paper, first, to overcome this challenge, we propose an innovative method of analyzing gaze sequence data. Utilizing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our proposed method enables researchers to reveal a “local” trend, a trend shared by only some individuals in the sample. Second, we illustrate the benefits of our method through analyzing gaze sequence data collected in an advertising study.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proposed method, including its capability of uncovering a hidden “local” trend in “messy” gaze sequence data.
        69.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 of closing versus opening eyes on consumers’ decision making as to whether the decision context is driven by utilitarian versus hedonic motivation. The findings from three studies show that consumers processing advertising messages with their eyes closed are likely to use high-level, abstract processing, and thus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utilitarian products (vs. the hedonic products). On the contrary, consumers with their eyes open are likely to use low-level, concrete processing, and thus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hedonic products (vs. the utilitarian products). Implications for consumers and marketers are discussed.
        7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업시설에서는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공간표현이 요구되고, 소비자의 시선을 끄는 상품의 배치나 공간구성은 곧 마케팅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람의 눈은 가장 많은 정보를 획득하는 감각기관으로 시각정보에 대한 분석은 <공간과 사용자>의 상호간의 시각적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는데, 그간 연구에서는 실험이미지를 통해 정지된 화상에 대한 분석이 대다수 이며, 상업공간의 이동영상을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시선정보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업시설의 이동경로를 촬영한 동영상을 실험에 사용함으로써 공간분석에 있어 사실감이 부여된 공간 사용자 시선정보를 통한 감성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동동선의 직선구간을 분석구간으로 설정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5개의 주시강도 범위에 대한 구간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동동선의 시작점인 A구간(직선구간-1)에서는 주시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B구간(직선구간-2)에서 가장 높은 주시강도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피험자들의 B구간부터 안정적인 공간 탐색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실험영상에 대한 적응시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주시집중구역에 대한 공간특성을 살펴보면, 6개 구간 중 4개 구간에서 우측매장의 진열방식에 대한 시선의 집중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시선이 높게 머무른 요소는 소품위주로 시선이 유도되었으며, 매장 내 쇼케이스 같은 진열형식에 시선정보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시선이 선호하는 상품진열방법, 상품요소 배치 등 직접적인 디자인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게 제공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73.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eye movements of drivers on expressway ramp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using raw data from driving simulator and eye tracker(MyGaze) deducted though the previous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everal parameters including number of fixations, fixation time, horizontal & vertical eye movements, and gaze position were selected. With them, eye movements of older drivers and young drivers were compared and investigated. Average fixation time of older drivers is shorter and tend to focus more on the inside road edge for both left and right turning ramps comparing young drivers. Also, they tend to look wider at right turning ramp. All driver’s fixation points were spread along the inside road edge for both left and right turning ramps. Currently, road delineating facilities are installed on the side where centrifugal force is applied. However, considering the result, it should be installed where centripetal force is applied. In addition, road line marking management should be more taken care of. For future study, vehicle’s speed is also in need of consideration with eye movement.
        7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직장인의 수면의 질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장인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수면의 질, 안구건조 척도를 자기 기입식으로 하였다. 결과: 직장인의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구건조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일수 록, 8시간 미만 근로자, 스마트폰 5시간이상 사용자, 콘택트렌즈 착용, 수면제 복용, 흡연자, 주 3-5회 음 주, 1일 카페인 3잔 이상 섭취에서 수면의 질과 안구건조가 좋지 않게 나타났다. 수면의 질과 안구건조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면의 질이 안구건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을수록 안구건조를 많이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7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한국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관련 요인과 건성안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인구 기반 단면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를 완료한 총 4,586명의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복합표본설계 프로시저를 구성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건성안 유병 률을 산출하였고, 공변량을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내생적 및 외생적 호르몬 관련요인 과 건성안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폐경기 여성에서 건성안의 가중된 유병률은 14.2%(95% 신뢰구간: 13.0-15.8)이었다. 사회 인구학 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동반질환을 보정한 후에도 경구피임약을 23개월 이상 복용한 경우 건성안 발생 위 험이 1.47배(95% 신뢰구간: 1.03-2.09) 증가하였으며, 여성호르몬제를 36개월 이상 복용한 경우 건성안 발생 위험이 1.70배(95% 신뢰구간: 1.17-2.47) 증가하였다. 결론: 한국 폐경기 여성에서 장기간의 경구피임약과 여성호르몬제의 복용은 건성안의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4,500원
        76.
        201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make a link between eye movement measures and reading comprehension (RC) to further examine how reading span (RS) differences contribute to differences in L2 reading performance. The variability of text processing was measured by duration and frequency of fixations using an eye tracker. Thus,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S in terms of processing as well as RC performance. To this end, forty-fiv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t an intermediate level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ur types of eye movements were tracked: first-fixation time (FFT), total-fixation time (TFT), secondfixation time (SFT), and fixation count (F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RS group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low-RS group on the RC test, suggesting a significant role of RS in RC performance.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S groups were found in TFT and SFT. RC performanc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FT and SFT. Due to their limited RS, the low-RS group needed more time for comprehension and left few resources available for integration of meaning in the text. The findings suggest that fast and efficient EM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 better RC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shed light on how RS affects the students’ text processing and that, in turn, leads them to different outcomes from the L2 reading comprehension tests.
        5,400원
        7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동체시력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체시력과 정지시력, 순간시력 및 안구움직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20-30대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동체시력, 고대비 및 저대비 정지시력, 순간시력,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동체시력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된 Snellen E 시표를 임의로 투사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표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최고 각속도를 동체시력으로 지정하였다. 정지시력은 4 m 거리 에서 logMAR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시표의 대비에 따라 고대비(100%) 및 저대비(10%) 시력으로 나 누었다. 순간시력은 다섯 자리 숫자 시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시표 노출 시간은 14 ms와 7 ms이었다. 안구움직임은 고정형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YSOA King-Devick 검사의 하위 세 가지 시표를 읽는 동안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을 추적하였다. 결과: 동체시력은 고대비 정지시력(r=-0.43, p=0.01), 저대비 정지시력(r=-0.40, p=0.01)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순간시력은 동체시력과 상관관계가 없었고(r=-0.29, p=0.07), 시표 식별 시 개입되는 시기억능력(visual memory)의 영향을 축소시켰을 때에도 상관성이 없었다(r=-0.10, p=0.57). 동 체시력과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fixation counts: r=0.07, p=0.65, fixation duration: r=0.27, p=0.10, saccade counts: r=0.02, p=0.93, saccade duration: r=0.01, p= 0.98, saccade amplitude: r=0.22. p=0.18, saccadic velocity: r=0.23, p=0.15).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체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대비 정지시력으로 나타났다(β=-0.43, p=0.01). 결론: 동체시력은 고대비 및 저대비 정지시력에 따른 시각 능력 및 시각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정지시력, 순간시력 및 안구움직임 중 동체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고대비 정지시력이었으며, 순간시력이나 안구움직임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7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이 인지장애가 있는 뇌손상 환자의 주의력 및 인지능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연구방법 : 인지장애가 있는 뇌손상 환자 7명에게 16주 동안 총 48회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도구는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인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Eye-tracking & ear system based Attention training System; EYAS)을 적용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운동시지각검사(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으로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을 참가자에게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한 후 주의력, 정보처리속도, 기억력 및 시지각이 향상되었다. 아이어스 중재 전보다 중재 후 MVPT 평균점수가 높았다(p<.01). MMSE-K 역시 평균 점수가 향상 되었다. 시각 주의력과 정보처리 속도에서 효과를 알아본 결과 CNT의 VCPT(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p<.05)와 VCCPT(Visual Controll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p<.01)에서 중재후가 중재전보다 평균점수가 높았다. 아이어스가 기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CNT 평가를 통해 알 수 있었는데 CNT의 VST(Visual Span Test)(p<.01)와 DST(Digit Span Test)(p<.05)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중재 후 VST 역순 검사에서는 평균값 상승이 있었고, DST 역순 검사에서는 중재 전후 평균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은 인지저하가 있는 뇌손상 환자의 주의력, 정보처리 속도, 시지각, 기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안구운동은 주의력과 관련성이 있고, 주의력의 향상은 다른 인지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실험설계로 효과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4,600원
        7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건성안 증후군이 눈 피로도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시기능 이상이 없고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며 양안 교정시력이 0.8 이상인 19 ~ 83세(평균 연령 40.27세)의 5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성별, 연령, 음주 및 흡연 여부), 건성안증후군, 눈 피로도 검사의 설문점수 및 주의집중력의 하위요인별로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여자가 312명(60.9%)으로 남자보다 많았고 평균 나이는 40.27세이었다. 음주를 하는 응답자가 260명(50.8%)으로 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많았으며, 비흡연자가 438명(85.5%)으로 흡연자보다 많 았다. 건성안증후군은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눈 피로도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주의집중력의 하위요인 BET, NAR, OET, RED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건성안증후군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주의집중력이 낮았고, 건성안증후군이 증가하면 눈 피로도 가 높아졌다.
        4,000원
        80.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pulsed electric field (PEF) treatments on tenderization of beef were investigated. The beef was prepared by using the eye of round. PEF treatment of beef was performed using a newly manufactured movable batch chamber. The PEF treatment was conducted with electric field strength of 0.5~2.0 kV/cm using a fixed pulse width of 30 μs and frequency of 20 Hz.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ppearance of PEF treated beef. The cutting force [N] of the sample was greatly reduced as the field strength of the PEF was stronger. The cutting force of beef treated with PEF at 2.0 kV / cm was 41.18 ± 3.28 N and the control was 57.25 ± 4.16 N.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weakened as the field strength increased (p <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springiness, cohesiveness, resilience before and after PEF treatment (p <0.05).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