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61.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형철근과 FRP 보강근의 복합 이중근을 갖는 FRC 보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이 수행되었다. 인장근의 종류(CFRP 보강 근, GFRP 보강근, 철근)과 PVA 섬유 혼입률(0.5%, 0%)을 주요변수로 한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FRC 보의 균열 및 휨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적 방법이 제안되고 분석되었다. 복합 이중근을 가지는 실험체들에서 철근으로 이중근을 가지는 실험체가 철근과 FRP 보강근을 이단으로 배치한 실험체들에 비하여 26∼34% 균열하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휨강도에서는 복합 이중근을 가지는 실험체들 중 CFRP 보강근을 최외측으로 한 실험체가 가장 큰 내력을 나타내었다. 해석과 실험을 통한 휨강도를 비교한 결과, 강도비는 평균 1.2, 표준편차 0.085, 최대 오차율은 22%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본 연구의 유한요소해석방법이 복합 이중근을 가지는 보의 실제 거 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63.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양생조건이 다른 압축강도 9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정상 및 저온 양생 조건, 인장 철근량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준 등을 고려하였다. 8개의 보 부재를 제작하여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균열 간격, 하중-처짐 관계, 하중-변형률 관계 및 연성지수를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철근량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 개수는 증가하고 균열간격은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내며, 콘크리트 강도가 높을수록 균열개수가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 효과는 철근량보다는 상당히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설계기준에서 제안된 평균 균열 간격 식과 비교한 결과, 실험결과가 제안식의 결과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제안식은 콘크리트 강도 및 양생조건을 반영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정상 양생된 부재들의 연성지수는 3.36~6.74이며, 저온 양생된 부재들의 연성지수는 1.51~2.82으로 나타나, 저온 양생된 부재들의 거동은 정상 양생된 부재들에 비해서 연성도지수가 저감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와 기존 연구의 연성지수를 비교한 결과,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연성지수는 선행연구의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연성지수 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더 구체적인 결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64.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lexural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HPFRCC) with single steel fibers. to do this, we considered different types of steel fibers such as hooked, twisted and straight fibers. Test results indicated the flexural performance tends to increase as the incorporation rate of steel fiber increases and when the length of the fiber is long and at the high volume fractions(vf of 2.0) the flexural high performance was reduced.
        65.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termining the effects of flexural behavior of aramid fibers i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The 10 kinds of aramid fibers with different length, diameter and twisting were used. The flexural behavior was determined by bending tests on specimens, which was prepared by mixing 1 % of volume fractions of aramid fibers into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mortar. Consequently,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curves were obtained by using the test results for each kinds of aramid. While the specimen that contains the small diameter of aramid fiber gives the strong flexural strength due to large contact area between the fiber and concrete matrix, that specimen by small diameter of aramid fiber does not guarantee the ductile behavior of specimen like the steel fiber. But the length and twisting of aramid fiber gives the ductile behavior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flexural specimen.
        6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vides the flexural test result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rism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of steel fibers (60 and 67). All mixtures have specific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and steel fiber volume fraction of 0.75%. According to ASTM C 1609 and EN-14651, SFRC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e and tested under bending lo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pect ratio of hooked-end steel fibers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cracking strength and flexural behavior of SFRC prisms.
        6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flexural test result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risms with different lengths of steel fibers. The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of SFRC is 40 MPa. Two types of steel fiber used in this study have lengths (0.5 and 0.9mm). Test results indicated that steel fibers with longer length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concrete prisms than steel fibers with shorter length.
        6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udies on the lattice girder of the cross sectional form and construction works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he numerical analysis for structural behavior such as deflection and stresses on the lattice girder, however,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stiffness of a lattice girder was examined by using MIDAS.
        6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bio-inspired high energy absorption cementitious composites was developed which is a new structural material performing a high energy absorption and ductility property imitated from shells. The flexural performance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s was evaluated and as a result, excellent ductility was obtained.
        7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 using H-beam specimens was carried ou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test. As a result, although experimental strength value was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analytical value, load-strain relationships from the experiment and analysis were relatively similar to each other.
        7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flexural behavior of RC member recycled heavy 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was evalu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the results, yield point and maximum load decreased with decreasing concret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Also,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does not reflect the ductility loss of RC members using heavy 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72.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vides the flexural test result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rism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of steel fibers (60 and 67). All mixtures have specific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and steel fiber volume fraction of 0.75%. According to ASTM C 1609 and EN-14651, SFRC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e and tested under bending lo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pect ratio of hooked-end steel fibers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cracking strength and flexural behavior of SFRC prisms.
        73.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flexural test result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risms with different lengths of steel fibers. The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of SFRC is 40 MPa. Two types of steel fiber used in this study have lengths (0.5 and 0.9mm). Test results indicated that steel fibers with longer length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concrete prisms than steel fibers with shorter length.
        74.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폴리머 모르타르로 보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을 실험적 ·해석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적 연구에서 는 보수위치, 모르타르 재령을 실험변수로 고려하여 제작된 13개의 보에 대한 3점 휨실험이 실시되었다. 인장측 및 압축측을 보수한 실험체들 의 파괴는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의 계면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며, 폴리머 모르타르의 인장변형률이 극한변형률을 초과하는 순간 발생하였다. 압축측을 보강한 실험체들은 기준실험체의 최대하중과 유사하였다. 그들의 연성지수는 기준실험체보다 훨씬 컸다. 인장측을 보수한 실험체 는 매우 취성적으로 파괴되었으며, 연성지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폴리머 모르타르로 보수된 철근콘크리트의 보의 휨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Opensees을 사용한 재료비선형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 모델을 단순화하기 위해 2차원 골조요소를 적용하였으며, 재료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해 파이버 모델을 적용하였다. 해석결과는 비선형 구조해석은 압축측 보수 실험체의 휨거동을 적절하게 예측하나, 인장측 휨거동는 다소 과 대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5.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과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PET 섬유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특성과 휨거동을 각각 부착실험 및 휨실 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착실험은 CSA S806에 따라 수행하였고, 실험변수는 섬유 종류와 보강량(CF 및 GF 시트 각 1겹, PET 시트 10겹)이었다. 총 8개의 보 실험에서 주요 실험변수는 단면의 연성비(μ = 3.4, 7.0), 보강섬유 종류(CF, GF, PET) 및 보강량이었다. 보 단면의 모 멘트-곡율 해석을 병행하였다. 부착실험의 결과, CF, GF 시트 1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각각 120, 60 mm 이었고 최대부착응력은 각각 3.25, 2.99 MPa 이었다. PET 10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60 mm, 최대 및 평균 부착응력은 각각 2.30, 2.10 MPa 이었다. 또한 최대 강도 시 CF, GF, PET의 변형율은 각각 0.36%, 0.49%, 6.29% 였으며 CF, GF 부착실험체는 계면에서 시트가 최종적으로 탈락하였지만 PET 부착 실험 체에서 박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휨실험의 결과, PET 10, 20, 30겹으로 보강한 RC 보의 휨강도, 휨강성이 모두 무보강 보에 비해 증가하였 고, 연성적인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나 PET 30겹의 경우 20겹에 비하여 연성이 감소하였다. 모멘트-곡율 해석의 결과, PET 보강 보에서 접착제 의 물성을 해석에 포함시키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하였다. 한편 PET 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문헌이 없어서 현재 연구 진행 중이다.
        76.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tensile strength and aspect ratio of steel fiber on flex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SFRC notched beam. Test results indicated that flexural properties of SFRC improved with increasing in aspect ratio and tensile strength of steel fiber.
        7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flexural strength and deflections developed of FRC beam with tensile bars composed of two layers combinations of steel bar, GFRP bar, and CFRP bar. As a test result, specimen with CFRP bars had the greatest maximum flexural strength. Specimens with FRP bars had more brittle failure behavior than only steel bars.
        7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ltimate load of beam reinforced with polymer cement slurry(PCS)-coated rebar is a little lower than that of un-coated rebar, and almost the same as that epoxy-coated rebar. In special, that using EVA 50% with is in range of 97.0% of un-coated rebar. In this study, it is also apparent that PCS-coated rebar can replace epoxy-coated rebar to solve the corrosion problem in marine construction field.
        7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큰 지지력의 말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기성 PHC말뚝의 경우에도 700~1,200 mm 범위의 대구경 말뚝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고 있고 최근 국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구경 PHC말뚝의 휨성능을 향상시키기 위 해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합성 PHC말뚝을 제작하였다. 휨강도 평가는 4등분점 제하실험을 통해 변위제어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휨실 험을 통해 LICPT 실험체 횡방향 철근의 변형률 분포를 분석한 결과 횡방향 철근의 배근은 전단균열의 진전과 균열폭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복부전단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LICPT 실험체는 LICP 실험체 보다 휨강도가 약 1.08배, 중앙부 변위가 약 1.19배 증가하였 고, 횡방향 철근의 배근은 말뚝의 연성적인 휨거동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 제작시 사용되는 각각의 재료가 휨강도에 기여하는 수준을 층상화 단면 해석으로 계산된 축강도-휨모멘트 상관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기성 PHC말뚝과 LICP 실험체의 실제 휨강도를 1.13배, 1.16 배의 안전율로 예측할 수 있었다.
        8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uctile and flexural strength for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HPFRCC). The test was evaluated by compressive and flexural behavior of HPFRCC(compressive strength : 180 MPa) according to aspect ratio and volume contents of steel fiber. The flexural strength was increased by aspect ratio near 100 or increasing volume contents of steel fiber while there is no clearly resul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