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

        6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스탠다드 국화 ‘백마’와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 품종에 있어서 재식밀도와 멀칭재료에 따른 절화 생육과 흰녹병 발생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는 6줄 정식 처리구에서 절화장, 줄기직경, 엽수, 절화무게, 화폭, 꽃무게 등의 생육이 8줄이나 10줄에 비해 양호하였다. 또한 흰녹병 발생률도 10줄 정식 처리구에서 68.9%로 가장 높았고, 6줄 정식 처리에서 48.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는 6줄 정식 처리구에서 줄기직경, 엽수, 절화무게, 화폭 등 다른 처리에 비해 절화생육이 양호하였다. 흰녹병 발생률은 10줄 정식 처리구에서 68.9%로 가장 높았고, 6줄 처리에서 28.9%로 가장 낮았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에 있어서 무멀칭에 비해 PE 필름으로 멀칭한 처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PE 필름색에 따른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흰녹병 발생률은 무멀칭 처리구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녹색과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구에서 42.2~60%로 낮았고 감염 엽수 및 병징수가 적었다.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의 절화장은 투명과 녹색 PE 필름으로 멀칭한 처리구에서 길었고, 줄기직경, 엽수, 화폭, 꽃수 등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녹병 발생률은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흰녹병 발생엽수와 병징수도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6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비닐의 생분해 특성과 작물 재배에 따른 특성 변이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인 벼 부산물(왕겨와 쌀겨)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멀칭 비닐을 제조하였다. 2.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특성 검정을 위한 표준 생분해도 측정결과 셀룰로오스 대비 75%의 생분해가 되어 친환경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3.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비닐과 비교해서 인장강도와 인장력에서 우수함을 보였고, 파단점 비후 비교에서도 생분해성 비닐은 지속적인 힘을 유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4. 작물을 대상으로한 시험에서 기계화도 가능하며, 인장강도와 인장력을 통한 분해력 비교에서 작물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장력에 차이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작물의 토양 피복도가 생분해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64.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멀칭재료와 재식방법에 따른 shallo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멀칭비닐 종류별 시험에서 투명 PE필름 처리구에서 흑색 PE필름보다 엽수, 초장, 엽초장, 엽초경이 더 좋았고, 상품수량도 21%나 증수되었다. 그러나 구의 크기별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allot의 재식밀도별 수량은 120 cm 5조(10 a당 20,833주)에서 1,332 kg으로 120 cm 2조(10 a당 12,500주)에서보다 1.7배가 증수되어 밀식재배가 유리하였다. 따라서 shallot의 재배는 투명 PE필름 멀칭에 휴폭 120 cm에 5조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6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direct-sown Platycodon grandiflorus seeds cultured by three ridge width, 0.4, 0.8, and 1.2 m and four mulching materials, rice straw, rice bran, black plastic film, and no mulching in upland. Seedling establishment rate (70%) was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plot of 500 seeds/m2 sowed and root yield after one year was also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treatment and followed by rice bran, no mulching, and black plastic film treatment. In this result, ridge width 120cm and rice straw mulching combined treatment was best for getting the highest seedling establishment ratio and seedling numbers per area. However, ridge width and mulch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soil moisture content and weed population for saving labor cost.
        6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필름의 개발과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생분해가 가능한 필름의 제조를 위해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천연고분자를 이용하여 개발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필름과 비교해서 신장율은 낮으나 인장강도는 2배 이상 강함을 보였다. 그리고 파열점 비교에서도 멸칭필름은 뚜렷한 파열점이 존재하고 그 이후에는 같은 힘을 주어도 계속 늘어난 반면, 생분해성 필름은 서서히 늘어나며 점차 힘을 증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3.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시험에서 중금속 들이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친환경 인증 기준이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기준에 충족하였다. 4. 작물을 이용한 토양 분해력 시험에서도 3 개월 이후에 서 대부분 분해됨을 보여 일반 농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67.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국가 경제 및 산업 발전에 따른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해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의 양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자원순환의 개념 강화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임목폐기물을 단순 위탁 처리 방안에서 순환처리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임목폐기물의 자원순환처리를 위하여 관련 지침을 제정하고, 임목폐기물의 재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실용화 방안을 마련하여 건설공사에서 발생한 임목폐기물의 재활용을 극대화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임목폐기물을 도로 보호길 어깨 포설에 재활용 하는 친환경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에는 임목폐기물을 폐기물로 분류하여 폐기물 전문업체를 통해 위탁 처리하였으나, 임목폐기물의 효율적인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자 도로 보호길 어깨에 임목폐기물을 파쇄하여 포설하고자 한다. 포설 방법은 보호길 어깨를 굴착하여 파쇄칩을 포설 및 다짐한 후 친환경성 접착제를 살포한다. 위 활용 방안의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수 침식 시험기를 자체 제작 후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접착제의 친환경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침식 시험기를 이용한 시험 결과 현장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친환경적인 활용 방법이라 할 수 있다.
        6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usum Rottler) and weed control. Chinese chive was grown under five mulching materials, pine leaf, oak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20, 2009 to September 30, 2009. Amaranthus mangostunus, Digitaria sanguinalis, Portuclaca. oleracea, Echinochioa crus-galli var. frumetacea and Setaria viridis were dominant weeds. Both pine and oak leav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mulching materials in terms of weed control indices in both nursery and fiel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1.2~3.7% higher in mulching, especially in oak leaf mulching. Mulching with pine leaf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sheath length, leaf length, bulb-, root- and leaf-weights and yield of Chinese chiv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mulching materials although better than those in non-mulching.
        6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growth of soybean plants and thereby brings about lodging, decrease in pod number, damage by disease and insect pest, etc.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um decapitation method in vinyl mulching soybean cultivation. Sinbuseoktae, local soybean variety was sown on May 25 and June 15 in 2009. Decapitation treatments(Non-decapitation, V8 stage-stem, V8 stage-apex, Flowering initiation stage, V8 stage-Stem+Flowering initiation Stage) were practiced on major growth stage on May25 seeding. Lodging did not occur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hile other treatments had severe lodging. NAR from R5 to R7 stage was also highest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hich meaned optimum plant organ structure in utilizing light. On the other hand, flowering date and maturity date among treatments were similar. Seed yield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as highest with 274kg/10a, followed by flowering initiation stage with 249kg/10a. The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had 26% yield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of 216kg/10a due to heavy 100-seed weight.
        71.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멀칭재배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피복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 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필름의 물성은, 생분해성인 PBSA와 PLC + Starch는 일반멀칭재료인 LDPE 에 비하여 인장강도는 2~27 % 상승하였으나 신율은 2~22 % 낮았고, 인열강도도 2~6 %가 낮았다. 2. 피복기간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생분해성 필름의 경우 피복 후 60~70 %일 동안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후 완만한 감소를 보였고 제조 원료별로는 PLC + Starch가 PBSA에 비하여 변화율이 낮았다. 3. 신율의 변화는 피복 후 60~70 %일 동안 매우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후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제조 원료별로는 PLC + Starch와 PBSA 제품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15 um PBSA의 경우 60~70 %일이 지나면서 급격한 물성저하를 보였다. 4.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용출시험에서는 중금속들이 아주 작거나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환경마크협회가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 제품에 대한 유해물질 함량기준을 충족하였다. 5. 멀칭재료간의 윌별 지온차이는, 6월 하순~7월 중순에는 PLC + starch > PBSA > LDPE > None 순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7월 하순~9월 하순에는 LDPE > PLC + starch > PBSA > None 순으로 온도가 높아졌다. 6. 고구마 멀칭재배 후 분해양상은, 생분해성 필름 PBSA(EA, EB, EC)과 PLC + Starch(DD, DE, DF)는 고구마 삽식 후 60일이 지나면서 분해되기 시작하였고, 수확기인 120일이 지나서는 95%이상이 분해되었다. 7. 피복재별 괴근 수량은 PBSA는 3,070 kg/10a, PLC + Starch은 3,093 kg/10a, LDPE는 2,946 kg/10a으로 멀칭재료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재배에서 생분해성인 PBSA와 PLC + Starch와 같은 필름을 사용한다면, 필름의 물성, 분해도, 환경친화성, 수확작업의 간편성 등을 고려해볼 때 실제 농업현장에서 이용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7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 생육과 수량 및 flavonoids 생합성에 멀칭과 토양개량제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녹두 흑색 polyethylene film 멀칭처리의 입모율은 98%, 경장은 61 cm, 개체장 협수는 15.1개로 무멀칭보다 각각 13%, 9 cm, 1.8개 많았다. 2. 녹두 멀칭처리의 수량은 243kg~cdot10a1로 무멀칭 176kg~cdot10a1보다 38% 많았으나,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생합성에는 효과가 없었다. 3. 토양개량제 중 표준시비+유박과 표준시비+광석분말 처리가 녹두 개체당 협수가 많고, 수량은 표준시비에 비해 표준시비+유박(119%), 표준시비+광석분말(115%) 순으로 많았다. 4. 표준시비에 유박과 광석분말 혼용은 녹두 vitexin과 isovitexin이 유의적으로 많아 이들 성분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7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yield of sesame and the movement of nitrogen and carbon in soil under mulching cultivation. The seven fertilizer treatments investigated are as follows: 1) 8-4-9 kg N-P2O5-K2O 10a-1-control, 2) 8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ixed expeller cake (MEC)-MEC 80%, 3) 10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EC-MEC 100%, 4) 8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ixed organic fertilizer (MOF)MOF 80%, 5) 10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OF-MOF 100%, 6) 8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latex coated urea complex fertilizer (LCU)-LCU 80%, and 7) no nitrogen. The soil mineral N available in the applied organic MEC and MOF fertilizers was less than the available N in the applied urea fertilizer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of sesame but the amount was observed to increase with time. The concentration of nitrate-N in leached solution 35 days after application was highest at 75 mg l-1 in the control,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MEC 100%, MOF 100%, LCU 80%, MOF 80% and MEC 80%. The concentration of nitrate-N in the leachate in all treatments was observed to rapidly decrease 45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recorded at less than 20 mg l-1 65 days after application.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leached solution and organic carbon in the soil of the organic fertilizer plots was higher than in the urea- and LCU-fertilized plots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The yields of sesame applied with MEC and MOF organic fertilizers were 2 to 7% higher than those fertilized with urea. The amount of retained mineral N or organic carbon in the soil is higher in the LCU and organic fertilizer plots than in the urea-fertilized treatments,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nitrate leaching, increasing N efficiency and sesame yield.
        7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s (SRF),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latex coated urea (LCU), on nitrogen (N) use efficiency (NUE) and nitrate-N leaching in a silty clay loam soil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PFM) for sesame cultivation. In PFM plot, concentrations of NO3-N and NH4-N in SRF applied soils were less than that in the urea plot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However, NO3-N and NH4-N in all the non-mulched plots (N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rea-N in soil treated with SRF was higher than urea plot until 50 days after application and was comparable in all the treatments after 50 days. NO3-N concentrations in leached solution in 21 days after urea fertilization in PFM and NM were 26 mg L-1 and 83 mg L-1 , respectively. However, NO3-N in leached solution at applied CDU and LCU was less than that of urea similar to nitrate concentration in soil. NO3-N in leached solution in applied CDU and LCU in 44 days after application was about 25% lower than that urea plot and PFM, while the NO3-N concentration of CDU and LCU treatment in NM did not changed. Application of SRF increased the yield of sesame and N recovery compared to urea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SRF and N levels.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80% N level with SRF increased N recovery and reduced nitrate leaching without reduction of yields compared with urea application.
        75.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최근에 경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강활재배에서 노두로 번식되고 있는 북강활을 중심으로 피복재료에 따른 추대반응과 생육특성을 분석하여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피복재료별 오전 10시의 지온은 무피복구에 비해 흑색P.E피복구와 투명P.E피복구가 각각 0.5, 2.9℃ 높았고, 오후 2시의 지온은 각각 0.8, 4.8℃ 높았으며, 볏짚피복구는 무피복구에 비해 지온이 낮았다. 2. 추대율은 무피복구 및 볏짚피복구에 비해 투명P.E피복구와 흑색P.E피복구구는 각각 11.4, 13.6%로 유의하게 높았고, 개화기는 투명P.E피복구와 무피복구에서 빨랐으며, 화경장과 화경수는 피복재료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근생엽장은 흑색P.E피복구가 가장 길었고 다음이 투명P.E피복구이며, 엽수 및 노두수는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많았다. 지하부의 건근수량은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투명P.E피복구이며 벗짚피복구과 무피복구가 가장 낮았다. 토양 피복재료별 잡초발생은 무피복구와 투명P.E피복구에서 많았고,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적었다. 강활재배에 있어서 흑색P.E피복이 추대율을 다소 증가시키는 반면 잡초방제와 수량 증대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6.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P.E.(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followed by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highest temperature in Tr. PE(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also root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mulching cultivation system.
        7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 생력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최적 멀칭방법을 확립하고자 무멀칭, 볏짚, 투명비닐, 흑색비닐, 이들 비닐과 왕겨를 혼용한 멀칭이 삽주의 어린싹, 초기 및 후기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주의 어린싹 무게는 투명 비닐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어린싹과 관련된 형질중에서는 엽수, 어린싹의 길이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작았다. 2. 생장초기에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시 엽수, 근수, 경수, 엽폭, 지상부 및 근경의 생체중이 가장 적었던 반면, 왕겨와 흑색비닐 혼합멀칭시 뿌리 관련 형질인 근수, 근경중 및 근중이 가장 많았다. 3. 생장후기에는 지온이 낮았던 생장초기의 멀칭효과가 고온기를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사라져 생장 및 형태적 형질에서는 멀칭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4. 단위면적당 수량과 상품 수량은 볏짚 단독멀칭과 왕겨와 흑색비닐의 혼합멀칭 에서 가장 높았다.
        7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79.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and polyethylene(PE) tunnel.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higher in PE mulching and PE tunnel than in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temperature in PE tunnel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tunnel and root production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tunnel cultivation system.
        80.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종자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1일, 2일 및 3일 빨랐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피복 및 투명 PE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2일, 2일 및 3일 빨랐다. 2. 생근경중은 종자형성계통 군에서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16.7%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 군에서는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29.4%, 26.5% 증수하였다. 3. 메탄올엑스함량은 종자형성 계통 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42.60%로서 가장 많았으며, 흑색 PE 피복이37.50%로서 무피복보다 많았으나,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각처리 모두 무피복과 차이가 없었다. 4.조사포닌 함량은 종자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8.25%로서 무피복, 흑백 PE 피복 및 녹색 PE피복보다는 높았으나, 흑색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7.75%로서 흑색 PE 피복이나, 녹색 PE 피복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무피복 및 흑백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