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61.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국의 독도 교육정책이 어떻게 강화되고 있는지를 조명하고 있다. 논의는 영토교육 강화로서의 독도 교육이란 관점에서 초·중·고등학교의 독도 교육 내용 체계를 검토하고, 당면하고 있는 한국의 독도 교육정책 실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독도 교육 내용 체계의 완성은 2015년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독도 교육 강화방 안이 수립되면서부터이다. 교육부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독도 교육을 범교과 학습주 제로 채택한 취지에 부응하여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교육 전반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하 는 방침을 채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독도 교육정책은 대응적 성격이 강하다.일본 문부과학성은 2010년 3월 초등학교 사회과 검정교과서에 독도를 일본령으로 명기하면 서부터 왜곡된 영토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였고, 2017년 3월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2018년 3월 고등학교 학습지요령 및 학습지도요령 해설을 개정하였고, 그해 7월에 개정판을 고시하였다. 이에 한국의 교육부는 2009년 교육과정에서 2015년 교육과정으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독도의 영토교육을 강화하는 대응적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한국의 독 도 교육은 교과 영역에서 독도의 영토교육 강화,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독도의 영토교육 강화, 뉴미디어 공간에서 독도의 영토교육 강화로 특징지을 수 있지만, 초등학교에서 저학년과 고 학년 교육과정에서의 분류 항목의 분량과 난이도가 존재하고, 중등학교의 경우는 현장 교육 에 맞지 않게 교육과정이 진행되기도 하고, 고등학교에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 때문에 형 식적이거나 일회적인 활동으로 독도 교육이 진행된다는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62.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COVID-19에 대응하는 원격수업을 진행하면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파악하고,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게 된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경기도 소재 원격교육선도학교 교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88)의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원격수업을 시작하던 당시 교사들의 효능감은 매우 낮았다. 그 당시의 기억에 대하여 ‘두려움과 불안함’이라고 표현한 것처럼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냈지만, 지속적인 노력으로 나름의 원격수업 체계를 형성해 나가면서 떨어졌던 효능감은 다시 상승하였다. 원격수업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첫째, 원격수업 준비로 인한 교사의 에너지 소진, 둘째, 학생들의 참여 의지에 따른 학습결손 및 부진의 누적, 셋째, 원격수업 참여를 위한 환경적 제약, 넷째, 학생의 이해도 점검의 어려움이었다. 이외에도 교사의 신념과 실제 수업 간 차이에서 오는 수업 딜레마 측면의 어려움은 첫째, 원격수업과 학년의 발달단계에 맞는 수업 간의 딜레마, 둘째,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수업 설계를 할 수 없다는 것, 셋째,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집중도가 저하가 있었다. 교사들이 원격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찾은 의미는 첫째, 동료와 협업의 중요성, 둘 째, 학생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의 중요성, 셋째, 원격수업의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중요성, 넷째, 원격수업을 위한 환경조성의 중요성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원격수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원격수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원격수업 참여에 대한 학생들의 내적 요인 탐색, 원격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개발, 원격수업을 위한 환경조성 및 통합된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63.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과서는 시대적 이념과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공식적인 지식 전달의 매체이다. 학습자는 교과목에 대한 첫 이미지를 교과서의 표지를 통해서 갖는다. 교과서 표지는 교과목에 대한 인지가 시작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충분히 연구되어 오지 않았다. 초등학교 국어과는 언어 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초 교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에 대한 조형성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를 시각적 ⋅상관적 요소의 6가지 항목인 형상, 크기, 색채, 방향, 레이아웃, 배경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의 경우, 단일한 메인 오브제를 강조하고 제한된 색채를 적용하여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분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학습자의 창의력을 유발하기 위하여직 접적인 그래픽 모티브와 구체적인 공간과 상황의 묘사보다는 추상적 발상에 근거하여 시각이미지가 구성되어야 한다.
        64.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양성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초 연계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 여부를 통해 유·초 연계교육의 실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진로정보망 커리어넷(www.career.go.kr)’ 누리집에서 ‘보육’ 또는 ‘유아교육’이 포함된 학과와 ‘초등교육’ 학과가 설치된 대학을 검색한 후 각 대학 및 대학원 누리집에서 해당 학과 또는 전공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 양성 대학은 209개 학과 중 11개 학과에, 유아교사 양성 대학의 대학원은 78개 학과 또는 전공 중 11개 학과 또는 전공에, 초등교사 양성 대학은 13개 대학 중 3개 대학에,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대학원은 13개 대학원 중 8개 대학원에 유·초 연계교육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개설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유 초 연계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대학 및 대학원이 적극적으로 그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에서 강조하는 유 초 연계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대학 및 대학원에 유 초 연계교육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
        6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 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601교 중 102교, 6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는 학교조직 몰입에 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를 경유하여 학교조직몰입에 정적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이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었고, 또한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 율성, 학교조직문화는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변화하는 학교조직 환경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수과정 제공, 컨설팅 지원, 교사 공동체 학습 문화 형성, 교사 리더십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사는 학교조직문화에 영향만 받는 수동적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교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능동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6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 주변 자투리땅에 각종 농작물을 심어 농사도 체험하고 생산된 농작물을 학교 급식에 활용하는 스쿨팜이 인기를 끌고 있다. 스쿨팜을 운영하는 학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정규수업·특별활동 등을 통해 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며 스쿨팜을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 는 ‘매우 효과적이다’ 67%, ‘효과적이다’ 32%로, 교육효과에 대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심고 수확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을 배 우고 학생들의 정서함양에 도움을 주면서 친구에 대한 적대감이나 공격성이 줄어든다든지 패스트푸드에 익숙한 학생들이 안 먹던 채소를 먹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낳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교육의 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학교의 스쿨팜 운영현황을 서울시농업기술센터가 지원하고 있는‘스쿨팜’기반으로 조사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서울시 농업기슬센터의 스쿨팜 운영지원사업 참여 초등학교는 216개교(전체 602개의 35%), 중학교는 30개 교(388개의 7%),고등학교는 15개교(전체 326개의 4%)로 나타났으며 상급학교로 올라감에 따라 스쿨팜 조성 비율이 현저히 줄어듦을 알 수 있다. 23개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전체 교육기관대비 스쿨팜 참여비율이 높게 난 지역은 강서구 74%, 노원구 71%, 송파구 67% 순이며, 종로 구는 24%로 최저를 나타내 지역별로 최대 3배의 차이 나는 등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스쿨팜 공간에 대한 유형으로는 농지형, 화분(상자)형, 혼합형으로 구분되는데, 스쿨팜 조성비율이 높은 3개구인 강서구, 노원구, 송파구는 각각 농지형, 화분형, 농지형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타지역구 대비 녹지 비율이 높은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의 스쿨팜 조성 비율은 각기 56%, 67%, 40%였으며, 녹지비율이 낮은 광진구의 경 우 35%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각 지역별 혹은 초·중·고별로 스쿨팜 조성의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별 혹은 초·중·고별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바, 각각 상황에 맞춘 스쿨팜 조성 지원사업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학생들이 스쿨팜의 혜택을 볼 수 기회 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급학교로 진학하면서 스쿨팜을 접할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자치구별 그리고 학교 (초·중·고)별로 스쿨팜 조성 비율 편차가 존재하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파악해서 각 자치구별 맞춤형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서울시 전체적으로 스쿨팜이 더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67.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과도서는 국가적인 수준에서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구현하는 하나의 학습 자 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초등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국내의 사례분석과 편집디자인 구성 요소에 따라 현황을 분석 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통해 교과서를 이용하는 학습자들의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의 교과를 돕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더 나아가 앞으로 교과서 편집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연구자가 밝혀낸 현교과도서의 개선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그 결과 워드 중심의 과학의 원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학습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틀에 박혀있는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 자가 스스로 학습하면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어떤 사건이나 학습내용을 시간에 따라 차례로 배열해야 한다. 이는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게 학습내용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디자인 구성체계는 다양한 서체사용을 지양함으로서 보통 고딕체와 명조 기타로 유지하여 학생이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분별한 그래픽적 요소들을 지양해야 한다. 스토리진행이나 컨셉상 사용은 흥미 유발에 적절하나 무분별한 만화나 템플릿의 사용은 자칫 과학을 흥미위주로만 접하게 되어 고학년 학습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 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68.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초등학교에서 이중언어강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7명의 이중언어강사 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론의 심층면담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교육은 우리 사회가 성공적인 다문화 사회로 전이되기 위한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다. 둘째, 일선학교에서의 이중언어강사들의 활동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이중언어교육 및 이중언어강사에 대한 충분한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연구자들은 그 밖에 여러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6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외국인 혐오증에 가정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878명의 응답을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외국인 혐오증 척도를 개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가정요인이 외국인 혐오증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외국인 혐오도에는 부모 학력, 부 종교, 부모 정치성향, 부모와의 친밀도, 가족구조, 거주지, 성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혐오도는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편부·편모·기타 가정의 학생이 양부모 가정 학생에 비해, 농어촌에 거주하는 학생이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부모의 정치성향은 아버지 요인과 어머니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부직업, 모종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혐오도를 약화시키는 데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주고 있으며, 아울러 외국인 혐오증 개념이 우리나라에서 주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는 다문화 수용성과는 차별화된 학술적, 정책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70.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심리환경요인에 따른 심리욕구 및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태권도 수련생 중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370부 자료를 사용하여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심리환경요인의 하위요인 중 지도자와 부모님( p<.001), 학교친구( p<.05)는 심리욕구의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수련동료와 지도자( p<.001),부모님( p<.01), 학교친구( p<.05)는 심리욕구의 자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환경요인의 하위요인 중 수련동료, 지도자, 학교친구( p<.001)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환경요인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p<.001)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2.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s fundamental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fulfill people’s desire of living in a pleasant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promoting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e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it is very important that each person hold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ind that constantly tries to preserve and protect the environment which should be acquired through experiencing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s the sense of attachment of peopl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carry out education on environment related knowledge and the condition of environment damage side by sid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cultivating student’s awareness for active participation on matters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to change their behaviors towards the environment. This study has tested the effect of 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about the environment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willingness to act of 5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For the sole purpose of this study, 70 students out of 141 5th graders of M Primary School were divid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71 students were divided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activities in where they were asked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writing regarding 10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near the M Primary School.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10 environmental education lectures focusing on the lecturer.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about the environment were effective i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about the environment can affect the environmental willingness to act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willingness to act.
        73.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교육현장에서 아동의 욕구를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 심리욕구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4개의 질문지를 토대로 초등학교 체육수업과 아동의 인지에 적합하도록 통합과 수정, 예비조사의 과정을 거쳐 18문항의 질문지 초안을 완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240명의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자율성 4개 문항, 유능성 4개 문항, 관계성 5개 문항 총 3요인 13문항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3요인 13문항을 토대로 초등학생 4, 5, 6학년 403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상황적 동기척도, 체육수업에서의 사회적 요소의 변인을 나타내는 질문지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상관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준거관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성별에 따른 기본적 심리욕구 요인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은 체육수업상황에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욕구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design proposal was made for the school forest plan of Samdeok Primary School and which goals were to realize the programs of making the school forest and removing the school wall. The results of developing programs could enhance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school from the primary educational state to the sustain-able and friendly nature state.The site is located at 361 Samdeok-3ga, Jung-gu, Daegu and which is about 15,150㎡ and divided into 2 parts of design site of 150m in length, 15m in width respectively. The client suggested some guidelines to develop spaces of environmentally and educationally-friendliness without reducing athletic area. The design concepts are divided into 4 thematic activities such as Open Education, Outdoor Music Activity, Ecological Educational Activity and Social Interrelated Activity. The master plan has two seperated areas which are the main gate area and the back side of the school. The basic plan of the main gate area is characterized by the school forest which has Pine Tree Forest, Rock Shelter, Forest with Pictures and Books, Wild Flower Bed, Gravel Road, Outdoor Music Theater, Forest with Poets and Music, Monumental Sculptures. The back side area has also many various design components such as Decorated Seating Wall with Tree Shades and Bird Nests, Street Mini Park, Small Pond, Shaded Trees and Hedges. This project was constructed from May to June, 2005 as the first year budget of the school. But the limited budget cut down and reduced many parts of the whole design and that is the main problem of this project. The school could solve this problem gaining many kinds of funds from the various sources such as Dea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P.T.A etc.
        75.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운동부에 존재하는 집단규범을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그 구성적 타당성과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초등학교 운동부원들로, 설문 문항에 개발에는 150명, 설문문항의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에는 511명, 확인적 요인분석에는 431명이 참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초등학교 운동부 집단규범의 하위요인으로 태도규범, 상하 서열규범, 연습행동규범, 업적규범, 상하 가벌규범, 등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 중 태도규범, 상하서열규범, 상하가벌규범은 하급생과 상급생간의 태도와 관련되는 상위요인들, 연습행동규범과 업적규범은 업적과 관련되는 상위요인을 가지고 다차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운동부원들을 대상으로 집단규범의 요인구조로 나타난 문항들의 적합성을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Q지수=1.84, 기초적합도지수(GFI)=0.93, 조정적합도지수(AGFI)=0.91, 비교적합도지수(CFI)=0394, 원소간 평균차이(RMSEA)=0.05로 모든 적합성 판정지수 값들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요인의 내적일치도를 검토하기 위해 알파계수를 구한결과 상하 태도규범이 .82, 상하 서열규범 .78, 연습행동규범이 .65, 업적규범이 .69, 상하가벌규범이 .63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