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2

        6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원인과 기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Z로 유도된 세포독성으로부터 노인성 질병의 예방과 항산화 효과로 잘 알려진 비타민 C를 이용하여 SH-SY5Y 신경세포 내 보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Z를 SH-SY5Y 신경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타민C를 전처리함으로써 세포생존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C가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자멸사 과정에서 신호전달을 통해 다양한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MAPKs의 인산화를 살펴보았다. 비타민 C 처리시 ERK의 인산화가 증가하며,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ERK와는 반대로 염증, 세포사멸과 관련된 JNK의 인산화는 비타민 C에 의해 인산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TZ는 Bax 단백질의 발현 증가와 Bcl-2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apoptosis antibody array로 확인한 결과, Cytochrome C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비타민 C 처리에 의해 Bcl-2가 증가하여 세포사멸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1의 발현을 증가하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이는 비타민 C가 항산화 방어체계를 강화시켜 STZ에 의한 세포손상을 보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STZ로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 손상 에서 비타민 C가 여러 기전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억제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는 일부 기전들만을 확인한 것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타민 C의 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른 기전의 차이를 분석하고, 실험동물을 통한 검증 및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4,000원
        6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Brucella proteins expressed in a pMAL expression system, RocF and EF-Ts, as subunit vaccines on immune modulation and protective efficacy using a mouse model. Mice vaccinated with MBP-RocF and MBP-EF-Ts displayed increased production of TNF, IFN-, MCP-1, IL-10 and IL-6, and TNF and MCP-1, respectively. Furthermore, mice vaccinated with MBP-EF-Ts showed decreased induction of IFN- and Th2-related cytokines, IL-10 and IL-6. Higher proportions of CD4+ and CD8+ T cells were observed in the blood of mice vaccinated with MBP-RocF than in the PBS-vaccinated group, although the increases were not significant. Furthermore, significantly reduced Brucella proliferation in the spleens of the MBP-RocF and MBP-EF-Ts groups were observed, but inflammation of these organs was not attenuated.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ocF and EF-Ts could be potential subunit vaccine candidates against animal brucellosis.
        4,000원
        6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피룰리나는 지구상의 가장 오래된 조류중 하나이며 피코시아닌, 토코페롤,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를 방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이 다른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의 UVB로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저해와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배양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ICAE)과 야외배양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OCAE) 0.1, 0.5, 1 ㎎/㎖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UVB로 유도된 ROS의 저해 효과는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ICAE와 OCAE 0, 0.01, 0.05, 0.1, 0.5, 1 ㎎/㎖을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에 처리하고 UVB로 ROS를 유도하였고 DCFH-DA로 염색하여 세포내 ROS의 양을 검출하였다.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3%, SOD 유사 활성은 86%로 나타났다. ICAE와 OCAE 1 ㎎/㎖의 농도에서 각각 43, 57%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20, 19%의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낮았지만 유의적인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UVB로 유도된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의 ROS가 음성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ICAE와 OCAE 처리된 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UVB만 조사된 양성대조군 보다 ROS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이 피부보호용 화장품 소재로 사용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6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염식식습관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고 공중보건을 위협할 수 있다. 그 동안 고염식식습관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건강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염식식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고염식의위험성과 식습관의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고염식식습관을 얼마나 예측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식습관 개선 교육을 위한 시 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호동기 이론의 하위요인인심각성, 취약성, 효율성, 효능 및 행동 경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설 문지를 충남소재 대학의 대학생들과 그들의 가족을 대상 으로 배포하였다. 설문결과를 SPSS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은 장년층보다 나 트륨섭취가 더 많았다. 둘째, 상관관계분석에서 장년층은 고염식으로 인한 위험에 취약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고 염식을 억제할 수 있다고 확신할 때 까지는 식습관을 바꾸지 않는다. 셋째, 구조모델분석에 따르면 대처지각이 높을수록 고염식식습관의 경향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결과는 고염식식습관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염식을 하였을 때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인식 시킴으로써 대처지각을 높이는 방안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4,000원
        67.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of the extract of Epimedium koreanum and its main constituents icariin and icariside I. After screening the seven identified flavonoid glycosides from E. koreanum through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assay, E. koreanum, Icariin and Icariside I exhibited significant effect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 koreanum, icariin and icariside I were examined using DPPH,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FRAP (ferric reducing ability power) assay. In all antioxidant assays, E. koreanum, icariin and icariside I showed hig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Protective effects against H2O2-induced PC12 cells were assessed with MTT assa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ell viability and protection on PC12 cells of icariside I and icariin increased dose dependently.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E. koreanum, icariin and icariside showed high antioxidant capacities and cell protective effects. Icariside I, one of the metabolites of icariin, may be a new and effective flavonoid compound as a functional component.
        4,000원
        68.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흰 쥐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4주간 SD rat 암컷을 정상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비파 식초군 으로 나누어 샘플을 처리하였고, 29일째 되는 날 사염화 탄소를 처리하였다. 혈청 AST 및 ALT 효소 활성 수치 변화에서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 다 유의한 수치로 각각 49.77%, 75.88%로 감소하였다(p < 0.001). 간 조직에서는 CAT 및 SOD 효소 활성은 비파 식초군이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음성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은 활성 수치를 보였다. 조직학적 관찰에 서는 비파식초군이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음성대 조군에 비해 지방변성이 적게 분포하고,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정상군과 비슷한 간세포의 구조가 관찰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 비파 식초는 항산화 효소의 증가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간 손상을 억제할 뿐 아니라 혈청의 AST 및 ALT 효소 활성을 감소시켜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건강기능식품으로써 긍정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6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yloid-β protein (Aβ) is known to increase free radical production in neuronal cells, leading to cell death by oxidative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ineXol® on Aβ25-35 induced neuronal cell death.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were pre-treated with 100 μg/mL of PineXol® for 2 h. The cells were exposed to single dose of 30 μM Aβ25-35 for 24 h. Cell death was assessed by a cell count kit-8 (CCK-8) assay, lactate and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 An Apoptotic process was analyzed by a protein expression of the Bcl-2 family using western blotting. Cell viability increased in PC-12 cells treated with both Aβ25-35 and PineX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ineXol® induced a decrease of the Bcl-2 protein expression (p<0.05), while Bax and Sod1 increased (p<0.05), indicating attenuation of Aβ25-35 induced apopto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Xol® may be a good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AD).
        4,000원
        7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Eugenia caryophyllata Thunb.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thanol extract than in the water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water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200 μ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800~1,000 μg/mL.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in the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800~1,000 μg/mL.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In a cell viability using MTT, the water extract (50 and 100 ppm) and methanol extract (100 ppm) ha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neurotoxicity.The result ssuggest that the extract of E. caryophyllata Thunb. ha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be useful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4,000원
        7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이 흰쥐모델 에서 스트레스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때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소재는 지표성분인 hamabiwalactone B의 함량이 15.23 ± 0.057 mg/g 로 규격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동물실험에 있어 군분리는 정상군(normal), 양성 대조군(control, 수침 구속 스트레스 위염 유발), 약물 대조군(ranitidine, 50 mg/ kg),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저농도 투여군(LJF-HE-L, 30 mg/kg),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중농도 투여군(LJF-HEM, 60 mg/kg),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고농도 투여군(LJFHE- H, 120 mg/kg)의 총 6군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투여그룹(LJFHE- L, LJF-HE-M, LJF-HE-H)에서 염증의 길이가 control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육안 병변 관찰에서도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투여그룹에서의 위염증과 점막출혈 부위가 control 그룹에 비하여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까마귀쪽나무열 매추출물(LJF-HE) 투여그룹에서의 펩신 활성도도 control 대비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까마귀쪽나무 열매추출물은 펩신 활성도를 낮춰 위염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투여 그룹(LJF-HE-M, LJF-HE-H)에서 gastrin에 의해 활성화 되는 CCK-2r 유전자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성 cytokine중에 하나인 IL-1β의 혈장 내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고, 세포보호물질로 점액 및 혈류량을 증가시켜 위점 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PGE2의 혈장 내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이 스트레스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7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학대피해아동의 학대후유증에 대한 치유를 위하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처벌법)」 제47조 제1항의 피해아동 보호명령과 제49조 보조인 조치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2016 정책개선 권고 결정을 바탕으로 피해아동보호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이유로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강조되었고, 이에 대한 피해아동보호와 학대 행위자의 처벌을 강화하기 위한 아동학대처벌법이 제・개정 되었다(강동욱, 2014a: 235). 아동학대처벌법의 제정・시행에 따라 종래 아동훈육으로 치부되던 아동학대를 범죄로 인식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국가가 개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두었다.(김성규, 2014: 23) 아동학대는 심각한 신체・심리・정서적 후유증을 동반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발달권, 모든 형태의 학대나 폭력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등 아동의 권리에 대한 중대한 침해에 해당한다. 특히 신체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정서적 손상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하여 충분한 상담과 안정적인 환경에서의 치료가 절실하다. 하지만 아동학대처벌법 제47조에서는 피해아동보호명령 조치중 이러한 치료 규정이 없으며, 장기간 학대를 당한 아동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나 학대행위자에 대한 과도한 공포 등으로 진정한 의사가 왜곡되거나 자신의 진술이 해당 절차나 본인의 삶에서 가지는 법적인 의미와 효과 등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조인의 조력이 절실하다. 따라서 피해아동보호명령제도에 대해 피해아동이나 그 법정대리인은 제대로 알지 못하고, 대부분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의해 활용되는데,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2016년 5월 29일 아동학대처벌법이 개정되어 신고의무자 불이익 금지, 인적사항 공개 금지 등 신고자 보호 규정이 신설되었다. 피해아동의 보호명령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피해아동의 의견은 존중되어야 하고,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행 피해아동보호명령제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6,100원
        7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tential abilities of 3-methylbenzaldehyde derived from Myosotis arvensis oil and its structural analogues to actas new acaricide and mite kit (mite color deformation)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Schrank) were evaluated in thepresent study. Based on the LD50 values, 2,4,5-trimethylbenzaldehyde (0.78 μg/cm3) had highest vapor action against T.putrescentiae, followed by 2,4-methylbenzaldehyde (1.14 μg/cm3), 2,5-dimethylbenzaldehyde (1.29 μg/cm3), 2-methylbenzaldehyde (1.32 μg/cm3), 2,3-dimethylbenzaldehyde (1.55 μg/ cm3), 3-methylbenzaldehyde (1.97 μg/cm3), and4-methylbenzaldehyde (2.34 μg/cm3). The color deformation of seven methylbenzaldehyde analogues mixed with2,3-dihydroxybenzaldehyde against T. putrescentiae showed mite color deformation, from coloress to reddish brown, andvaluable to distinguish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there was no antagonistic interactions between 2,3-dihydroxybenzaldehydeand the methylbenzaldehyde analogues. These finding suggests that the methylbenzaldehyde analogues could be developedas dual functional agent to protect from fall in the commercial value of stored food products.
        7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ntinus tigrinus (L. tigrinus), a white-rot fungus that grows naturally on rotten hardwood during spring and summer in China, is 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containing a valuable combination of nutrients including high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low sugar levels. However, no reports have isolated and characterized FIP genes from L. tigrinus to date. In our study, two novel fungal immunomodulatory proteins (FIPs) from Lentinus tigrinus were identified and named Fip-lti1 and Fip-lti2. The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Fip-lti1 and Fip-lti2 were compared to a well-known FIP (LZ-8 from Ganoderma lucidu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p-lti1 and Fip-lti2 expression on Concanavalin A (ConA)-induced liver injury. Both Fip-lti1 and Fip-lti2 protected livers from ConA-induced necrosis, as evidenced by decreased serum aminotransferase levels (AST, ALT) and relieved liver histology.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and IL-6) and oxidative stress (SOD, MDA) were shown to be reduced by expressing Fip-lti1 and Fip-lti2. In additi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Fip-lti1, Fip-lti2, and LZ-8 correlated with ameliorating the imbalance of Th1/Th2 (IFN-γ/IL-4). The observed liver protection of Fip-lti1 and Fip-lti2 was mechanistically explored. Treatments with Fip-lti1 and Fip-lti2 regulated GATA3/T-bet expression, activated the decreased Nrf-2/HO-1 pathway, and countered the upregulated NLRP3/ASC/NF-κBp65 signaling in ConA-stimulated liver injury.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wo fungal proteins (Fip-lti1 and Fip-lti2) that can protect liver from ConA-induced liver injury.
        7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awley 계 숫컷 흰쥐(200∼210g)를 정상군, CCl4-대조군, CCl4-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은 갈근 에탄올 추출물을 1,000mg/kg,b.w의 용량으로 1일1회7일간 경구 투여 후 사염화탄소를 0.6mg/kg,b.w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 후 다음날 개복하여 혈청내의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kaline phosphatase(ALP), Glutamyltranspeptidase(γ-GT), Lactate dehydro-genase(LDH)의 활성도와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근 추출물 투여 군에서 CCl4-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감소(p<0.05)를 나타내었으며,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인 증가(P0.05)를 나타내었다. 간조직중의 지질과산화 함량과 Catalase(CAT),Glutathione peroxiddase (GSH-Px)의 항산화 효소 활성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간 조직중의 glutathione 함량은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 실험 결과 갈근 에탄올 추출물은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한 간 손상을 억제하는 보호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MRI는 부분 영역을 자세히 영상화하는 검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위해 한 RF를 전신에 주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부분 촬영 시 RF를 차단할 수 있는 방호복을 자체 제작하여 적용함으로써, 전신에 인가되는 RF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인체의 위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 방법은, RF 차단 섬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원통형 fluid phantom을 이용하여 phantom 실험을 시 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방호복을 제작하여 무릎에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영상 획득은,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 치와 32 channel anterior 코일을 사용하여, T1 WI, T2 WI, T2 FS 영상을 획득하였고, 영상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의 소거 정도와 aliasing artifact 발생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적용 전, 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평가하였다. 결 과 : 실험 결과, phantom 실험의 경우, 영상의 소거 정도와 aliasing artifact 발생 정도 모두 적용 전보다 후가 평균 98.94% 감소하였다. 이는, RF 차단 섬유가 RF를 완벽히 차단한다는 것으로, RF가 인체와 반응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임상실험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임상실험 또한, phantom 실험과 마찬가지로 영상의 소거 정도와 aliasing artifact 발생 정도 모두 적용 전보다 후가 평균 95.89% 감소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의 방호복이 RF를 완벽히 차단하여 인체에 유해한 온도 상승을 제어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개선 방안이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RF 방호복은, RF와 인체와의 상호작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규정된 SAR의 초과 우려가 없으며, 이는 곧 온도 상승으로 인해 인체에 발생할 수 있는 위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주자장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RF 방호복이, 부분 촬영 시 전신에 인가되는 RF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체의 위해를 줄일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4,500원
        77.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staxanthin added to freezing buffer on semen parameters, total sperm oxidation stress after post-thawing of boar sperm and lipid peroxidation (LPO) which i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sperm membrane. Varying concentrations of astaxanthin (0, 10, 50, 100 and 500 μM) were used in the freezing buffer during cryopreservation to protect the DNA of thawed miniature pig sperm. Semen parameter was measured using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 (CASA) for sperm motility and determine ROS rate, oxidative stress of boar sperm using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Sperm motility was higher (p<0.05) in the astaxanth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perm motility and the number of progressive motile sperm was higher (p<0.05) in the astaxanthin 500 μM group (66±1.7%) than in the control group (49.8±4%). In ROS evaluation, the astaxanthin group lowered intracellular O2 and H2O2 in viable sperm. The Yo-Pro-I/HE and PI/H2DCFDA staining as revealed using flow cytometry was lower in astaxanthin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As the result, we found that astaxanthin could protect the sperm plasma membrane from free radical and LPO during boar sperm post-thawing.
        78.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various grain methanolic extracts against UVB-induced photo-aging in human skin fibroblasts. Various grain methanolic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2,2-Ddiphenyl-1-picryhydrazyl radical (DPPH) and ABTS 2,2-azino-bris-(3-ethylbenzoth 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ie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rains.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s in the extracts were evaluated using spectrophotometric methods. Human skin fibroblast (Hs68) cells were pretreated with various grain methanolic extracts (25 μg/mL). Skin toxicity was simulated by exposing the cells to UVB (30 mJ/cm2) irradiation. In response to the UVB-irradiation, an increased amount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release was observed, whereas pretreatment of various grain methanolic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MP-1 in Hs68 cells. We also found that pretreatment of the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UVB-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collagen content in Hs68 cells. These results provide that grains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ingredient in natural cosmetics, used for UVB protection.
        4,000원
        7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PineXol® on H2O2-induced cell death in SK-N-MC cells, and in early stage focal ischemia rodent model. SK-N-MC cells were pre-treated with 200 μM H2O2 or various concentrations of PineXol® (10, 30, and 50 pg/mL) for 24 h, and then exposed to H2O2 for 3 h. Cell death was assessed by the CCK-8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 and lactate and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expressions were also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Focal ischemia rodent model was used as the in vivo model,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ineXol® (1, 10, and 100 mg/kg) were administered. One week after administration, reduction of infarct volume was analyzed by TTC staining. Cell viability of H2O2-treated SK-N-MC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e-treatment of PineXol® (p<0.05). PineXol® pre-treatment also induced significant decrease of ROS and LDH expressions. However, PineXol® did not affect the infarct volu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Xol® has significant neuroprotective effect in vitro,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confirmed in the in vivo focal ischemia mo
        4,000원
        8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tive human saliva obtained through the centrifugation of whole saliva showed characteristic salivary protein complex (SPC) peaks in gel filtr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sing Superose 12 column1,2). In the previous study the SPC peaks in chromatography were explored to know their composition and functions by different detection methods, but still the nature of SPCs was not clearly elucidated so far. In this study the SPC peaks were examined by direct antibody interaction in order to target different antimicrobial and protective proteins distributed in the SPCs via gel filtration HPLC. As the SPC peak shape and migration speed can be changed by antibody binding to specific proteins of SPC, it was found that mucin1 is evenly distribution in all SPCs, while PRPs are more abundant in the late dominant SPC than the early dominant SPC and also in the intermediated SPCs. Most of antimicrobial proteins including lysozyme, LL-37, lactoferrin, β-defensin-1, -2, -3, IgA, mucocidin, and α1-antitrypsin were more abundant in the late dominant SPC than the early dominant SPC, while histatin showed relatively even distribution in all SPCs. Therefore, it was presumed that the late dominant SPC containing abundant antimicrobial and protective proteins could be applied as a biomarker to measure the defensive potential of whole saliva in oral diseas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