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5

        6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a and self-image congruity of ideal body image on the dieting and exercising behaviors of Korean and U.S. femal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self-image congruity in order to examine how respondents perceive actual and desired self-images compared to an ideal female body image selected by respondent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resulting in 331 total responses (194 from Korean students and 137 from U.S.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t-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 female college students. U.S. students were more exposed to body image ideals in the media than Korean students; however, Korean female students valued the information regarding ideal body image conveyed by the media more than U.S. respondents. Among Korean female students, exposure to media messages regarding ideal body image and media import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sired self-image congruity, while thes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among U.S. students.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media exposure on actual self-image congruity among U.S. respondents only. Additionally, the study uncovered that Korean students manage their body image through dieting behaviors while U.S. respondents manage body image through exercise behaviors (weight training as well as cardiovascular exercise). The study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self-image congruity, which extends its applications to the body image field.
        4,900원
        6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미중관계의 전개와 현안문제 및 시사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 및 적대적 대결기의 미중관계, 미중접근·관계정상화기 및 1980∼90년대 미중관계, G2시대 개막후 2010년대 중반까지의 미중관계, 트럼프-시진핑시대의 미중관계와 주요현안과 시사점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의 중국의 급속한 성장은 기존의 미국중심의 단극적 국제질서를 변화시키며 양국간의 경쟁을 촉발시키 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전략·경제대화’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고, 주제 역시 양자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글로벌 이슈까지 논의하는 나라로 발전해왔다. 미중협력·갈등의 현안문제는 양국관계는 물론 글로벌 이슈를 망라하고 있다. 예컨대 남중국해, 북핵과 사드, 통 상·금융질서, 대만문제 등이 바로 그것이다. 미중갈등은 남의 일이 아니라 한국의 외교·안보·경제에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우리는 미중관계에 있어서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이 나오지 않도록 튼튼한 한·미 안 보공조관계를 유지·강화해 나가는 한편, 한·중 경제협력관계도 조화롭 게 추진해 나가는 헤징전략이 요구된다.
        9,300원
        65.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정분야의 자격 취득 또는 산업현장 기술 습득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장실습은 학교 교육을 벗어나 학생들이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발생된 실습생들의 안전사고 들을 보면 과도한 노동을 요구하는 현장실습의 악습과 함께 산업현장에 위탁으로 이루어지는 현장실습 제도의 미비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선박의 해기사 면허취득을 위해서는 IMO STCW협약에 따라 반드시 일정기간 승선실습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승선실습은 해양계 지정교육기관이 보유한 실습선에서도 이루어지지만 일반 상선 및 어선에서 운항되는 선박에서도 이루지고 있다. 특히,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노출된 실습생들이 선원들과 같이 생활하면서 승선실습이 진행되기 때문에 노동과 훈련이 공존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들의 법적 지위 그리고 관리 제도도 국가마다 상이한 양태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승선실습에 참여하는 해기사 실습생의 제도적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서 영국, 미국 및 인도의 실습선 및 상선 현장실습 제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실습생에 대한 법적 지위와 이들에 대한 관리제도 분석을 통해서 실습생이 조사대상 국가에서 법적으로 어떠한 신분을 보장받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지속적 해기사 육성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6,000원
        6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a brand personality model that could be us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brand personality of a same brand across cultures. The results suggest that for West (the U.S.) and East (Japan), the bicultural BPD have five distinct dimensions of Sincerity, Sophistication, Ruggedness, Excitement, and Peacefulness, represented by the 15 attributes (wholesome, warm, kind, upper-class, elegant, romantic, masculine, tough, rugged, trendy, exciting, imaginative, shy, naïve, and childlike). The results show that many global brands have different brand personality perceptions across cultures. Only four (Levi’s, Nintendo DS, Shell, and Visa) out of 21 global brands had the same brand personality perceptions in two cultures. These results may be in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of global brands—brands whose positioning, advertising strategy, personality, look, and feel are same or at least similar from one country to another. However, the results confirm the findings of Aaker et al. (2001) that brands have culturally specific meaning. The results also confirm the “the lure of global branding”—the goal of developing one strong global brand is often unrealistic (Aaker & Joachimsthaler, 1999). Still, in the business world,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globalize their own brands in order to enjoy the high economies of scale. Hence, it is important for the business managers to be able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ir global branding efforts. This research provides a tool, the bicultural brand personality model, the managers could use to measure their global brands in Western and Eastern cultures, and understan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across two cultures.
        67.
        2018.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 이래 미국에서의 특허침해소송 재판지는 인구도 얼마 되지 않는 텍사스동부지역의 연방지방법원에 집중되어 왔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방항소법원이 특허법으로부터 비롯되는 사건에 관한 특별재판적 규정에 회사에 관한 일반재판적 규정도 보충적으로 적용된다고 해석함으로써 원고가 사실상 미국 전역의 연방지방법원에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결과였다.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나타난 포럼쇼핑(forum shopping) 현상에 대하여 제동을 건 것이 바로 미국에서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TC Heartland 사건의 2017년 5월 연방대법원 판결이었다. 이 판결은 특허침해소송에 관한 특별재판적 규정에 회사에 관한 일반재판적규정이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 특허침해 사건이 몰리는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민사소송법과 법원조직법의 개정으로 특허권에 관한 소송의 관할집중이 이루어졌고, 서울중앙지방법원에는 중복관할이 인정되었다. 비록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의 사건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는 보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제반 사정에 비추어 볼 때 미국에서와 같은 포럼쇼핑의 문제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200원
        6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식품 안전관리 확보와 효율성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수출국의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현황을 평가하고 이를 자국의 수입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미국을 중 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평가도구와 도구를 활용한 평가사례를 비교조사하고, 관계 전문가의 의 견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 FDA가 개발한 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는 외국의 식품안전 전문성을 이용하여 수입식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으 며, 평가도구는 10개 기준으로 구성되어 외국의 전반적인 식품안전관리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FDA는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뉴질랜드와 캐나다를 대상으 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두나라 모두 미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를 통해 수입 전 위생평가 와 수입식품의 국경검사 빈도관리에 활용함으로써 수입식품 안전관리에 있어 국가예산의 효율적인 배분과 대국민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향후 국가식품안전관리체 계 평가에 대한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국제적인 조화와 전문가·예산의 확보도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평가도구 조사·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으로는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 논의의 국제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식품 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국내 식품안전관리체 계를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식품안전관리 체계 평가결과는 수출입 안전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보이며, 이러한 국제흐름에 따라 향후에는 우리나라 자체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000원
        6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의 시민소송은 행정절차법(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PA)상 시민이 정부 행위의 작위와 부작위에 관해 이의를 제기할 능력 을 부여한 조항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개별 환경실체법을 통해 시민들에 게 정부, 그리고 직접적인 환경오염 원자를 제소할 수 있는 보다 강력한 권리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시민소송 제도의 활용은 환경정책의 개발과 이 행에 있어서 시민이 강력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본고는 미국의 시민소송을 개괄하고, 시민소송이 환경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Ⅱ장에서는 시민 소송과 사법심사 제도의 세 가지 유형을 살펴보고 Ⅲ장 에서는 미국 환경법상 시민소송 사례를 살펴보고 IV. 장에서는 시민소송 을 제기하기 위해 넘어야 하는 법적 장애물과 구제수단을 논할 것이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환경정책의 집행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동반자로 서 참여할 수 있는 소송 구조의 문제점과 소송절차의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며 미국 법원이 환경행정처의 정책과 집행에 영향을 미쳤던 교 훈을 참고하여 시민소송 제도의 도입과 평가가 요청된다. 지난 40년 간의 시민집행제도는 여전히 미국의 권력분립과 대의민주주의 원칙에서 논쟁의 주제이며 시민소송은 계속해서 향후 미국 환경법 제도에 걸쳐 중 요한 영향을 줄 것임에 분명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 침해에 대한 사 법적 구제는 대부분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한정되어 있 어 환경 보호의 본령이라고 할 수 있는 사전 환경 침해방지는 거의 외면 되다시피 한 실정이고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행 환경 정 책 기본법을 위시한 개별 환경법에 대한 근본적인 수술이 절실하며 그중 여기에 소개되는 시민소송 제도의 장․단점을 면밀히 검토한 뒤 가까운 시 기에 그 입법화를 과감히 추진해야 되리라고 본다.
        7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using the synetics technique for strategies by making unfamiliarity into familiarity in the case of 911 terrorism. This study has meaningful messages for citizens and firefighters’ illness caused by disaster sites in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There are 7 stages to explain cause of a variety of cancers happening to citizens and firefighters in this study. The 7 stages are composed of real situation, direct analogies, personal analogies, symbolic analogies, new direct analogies, and review. This synetic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etter ideas for citizens and firefight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4,500원
        7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북한 핵위협에 대한 대응과 미래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한·미·중 3 개국의 공조체제와 협력구상에 관한 것이다. 북핵문제와 한반도 통일문제에서 한·미·중의 공조와 협력 및 역할과 책임에 있어서 한국은 민족분단의 당사자 이고, 미국은 국제문제의 책임국가이자 북한과는 적대적 미수교국이라는 점이며, 중국은 전통적 사회주의 우호관계의 당사국이자 북한 후견인 당사국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등의 전략무기는 국제적 문제로서 향후 김정은의 돌발적 행동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한·미·중 3국의 적극적인 공조와 협력 등 대응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북핵 문제의 로드맵에 있어서 G2체제의 미국과 중국의 인식과 대응방법은 유엔안 보리결의사항인 대북제재 이행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북핵 위협에 대해 한미동맹차원에서 공동위협에 기반한 대북제재와 대북군사력 억제정책을 강력히 추진한 반면, 중국은 북핵위협에 대해 미국의 한반도개입에 대한 안보불안 등으로 북핵해결 과정에서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북한 은 체제생존 차원에서 중동국가들과 전략무기 거래를 지속적으로 해 온 전례 국가라는 점에서 세계평화유지 차원에서라도 중단된 6자회담 다자안보 채널 가동 등 압박과 외교협상의 현실적 방안으로 전환해야 한다. 한반도 통일문제 는 남북한 당사자의 문제가 전제되어야 함에도 남북한은 민족적 문제를 강대국에 논리에 편승하려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북핵과 남북통일문 제는 민족 당사자문제로서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북한의 해법보다는 한국주도의 평화적 해법에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한·미·중은 한반 도 평화정착을 위한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와 ‘북한과의 대화’라는 투트랙 전략을 전방위적으로 강구해 나갈 필요성이 있으며, 북한자체의 경제적 자생력 을 꾸준히 향상시키는 지원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6,400원
        7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 연방 제2순회 항소법원은 2012년 10월에 중요한 내부자거래 판결 인 오부스(SEC v. Obus) 판결을 내렸는데, 그 판결은 내부자거래 요건 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자를 기소하기 위하여는 개인적 이득에 관한 입증이 요구되는데도 불구하고 법원은 정보가 부당하게 공 개되었다거나 혹은 내부 정보원이 개인적 이득과 교환으로 정보를 제공 하였다는 것을 실제로 알지 못할 수도 있는 정보수령자에 대하여 잠재적 책임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SEC는 지이(GE) 캐피털의 직원 토마스 스트릭랜드(Strickland), 그리 고 윈필드(Wynnefield) 캐피털의 직원 두 사람 피터 블랙(Black)과 넬 선 오부스(Obus)에 대하여 내부자거래 위반으로 기소하였다. SEC는 스 트릭랜드가 자신의 대학 친구인 블랙에게 지이 캐피털이 자금을 대출해 주고 있던 얼라이드(Allied) 캐피털 회사가 선소스(SunSource) 회사를 인수할 가능성에 관하여 정보를 전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블랙은 차례 로 이 정보를 오부스에게 넘겼고, 오부스는 그 정보를 토대로 선소스 주 식을 거래하였다는 혐의를 받았다. 미 연방 뉴욕 남부지방 지방법원이 피고인에 유리한 약식재판을 승인 하였고, SEC는 부정유용이론의 관점에서 항소하였다. 제2순회 항소법원 은 SEC가 제시한 증거는 각 피고인의 책임에 관한 중요한 사실에 관한 진정한 논쟁을 제기하며, 따라서 약식재판은 잘못되었다고 판결하였다. 그리하여 항소법원은 그 판결을 파기 환송하였다. 이 판결에서 그 항소 법원은 (1) 정보전달자와 정보수령자의 책임의 요소들을 분명하게 하였 고, (2) 양 정보전달자와 정보수령자의 고의 요건에 관하여 완화된 견해 를 채택하였고, (3) SEC는 정보전달자가 내부자거래의 부정유용이론과 전통적이론 두 이론에서 개인적 이득을 받았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고 판결하였고, 그러나 이것은 SEC가 입증하기에 어려운 요소는 아니라 는 것을 경고하였으며, (4) 내부정보원이 개인적 이익을 받았다는 것을 정보수령자가 알지 못하고 책임을 부담할 수 있는지 여부의 문제에 대하 여는 미해결 상태로 남겨놓았다.
        73.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후 원전 해체의 경우 부지 특성 및 최종 상태 조사 보고서에 해당 부지내 잔존가능성이 있는 방사성 핵종 정보에 대한 내용 을 포함하여야 한다. 미국 NRC의 경우 이에 해당하는 해체기술관련문서(DTBD)를 부지 특성 조사시에 부지이력조사(HSA) 와 같이 사업자 측이 제출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해체기술관련문서는 방사선학적 부지 조사와 해체완료계획서에 포함 되어야 하는 내용으로써 부지 규제 해제와 재이용에 관해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부지 별 잠재적 핵종에 대해 미국 원전의 해체 사례중 부지 특성 및 최종 상태조사 과정에서 결정하는 방법론을 분석하고 2017년 고리 1호기의 영구 운 전정지 후 이루어질 해체 과정에 필수적인 규제 지침과 기술적 근거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4,200원
        74.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에서 향후 원전 해체로 저준위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관련 규제 기준을 분석하고,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및 해체를 포함하는 전주기에서 발생하 는 폐기물의 처분 옵션을 확장하는 방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블랜딩에 대해 검토하였다. 2007년 미 국 NRC는 미국 저준위폐기물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전략분석 결과, 방사선위험도와 성능평가에 기반한 새로운 저준위폐기 물 관리 규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특히 방사성핵종 농도가 다른 폐기물의 블랜딩을 처분에 대한 옵션을 다양화할 수 있는 안전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NRC는 블랜딩을 처분에 적합하도록 방사성핵종의 농도가 다른 저준위폐기물을 비교적 균일하게 혼합(mixing)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2015년 2월 농도 평균과 포장에 대한 NRC BTP의 개정판으로 공표된 블랜 딩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요건을 분석하였고 국내 해체폐기물에 대한 적용 방안도 예시하였다. 대량으로 발생할 해체폐기물 에 대해 블랜딩과 농도평균을 적용하면 처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이오쉴드 콘크리트에 대한 농도평균 적용에 대 해 예시하였다.
        4,000원
        7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에서 동성애 및 동성혼과 관련된 논쟁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미국의 일부 주법은 동성애행위자체를 법으로 금지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동성애자들의 권리투쟁은 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동성혼 역시 이성혼과 법적으로 동등하게 취급되어야 하며, 동성혼을 법 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권리투쟁을 계속해왔다. 그리고 2015년, 마침내 미국의 연방대법원은 5대 4로 동성혼 역시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 조항과 평등보호조항에 의하여 보호되어야 함을 선언함으로써, 미국 전 역에서 동성혼을 합법화하였다. 한국은 아직 미국처럼 동성애 및 동성혼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지는 않은 단계이다. 그러나 지난 2013년, 광화문에서 한 동성커플의 공개적인 결혼식 및 혼인신고 이후로 이에 대한 주목은 예전보다 높아져가고 있다. 한국에서 동성애 및 동성혼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는 아직도 미미하지만, 성적소수자로 분류되는 이들의 권리 또한 보호받아야 하기에 과연 그 범 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법적 논의는 분명 필요하다. 이 논문은 미국에서의 동성애 및 동성혼 관련 판결분석에 주된 초점을 맞추었다. 연방대법원의 판결문 내용을 검토하여 판결의 점진적인 변화 를 살펴보고, 또한 그러한 변화를 이끌어 낸 원인은 무엇인지, 이전 판례 와의 차이는 무엇인지 등을 분석해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에서 동 성혼을 제도화하는 데 있어 고려가 되어야 할 헌법조항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떤 단계들이 필요한지 간략하게 논한다. 미국의 연방대법원 판 결분석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충분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
        76.
        201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우 빠르게 확장되어 가고 있는 지식산업사회, 안전사회 및 복지사회 등의 양태는 정부에게 그에 상응하는 공적 기능의 정교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정부가 수행하는 국가사무는 단순반복적인 것에서부터 고도의 과학기술 적인 사안에 이르기까지 비약적으로 다양화되었고 복잡하게 되었다. 정부는 국가사무를 한정된 예산 내에서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점차 민간에게 사무를 맡겨 처리하게 함으로써 행정의 간소화와 시민의 참여확대를 도모하게 되었다. 정부가 민간에게 국가사무를 맡기는 방식은 대한민국은 정부조직법상 민간위 탁이 상정되어 있으나 개별법상으로는 대행 등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해상의 분야에 있어서는 주로 국제항행선박에 대해서 국제협약, 국내법령, 선급규칙 등 에 따라 감항성에 관한 규칙적합성 검사를 수행하는 선급법인과 같은 민간 선 박검사단체가 정부로부터 일정한 위탁유사의 관계를 맺고 국가사무에 참여하 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민간위탁제도가 가장 오랫동안 정립되어 왔고 국가사무 를 기능적으로 유형화하여 운용하고 있는 미국의 위탁제도를 살펴보고 그 제도 내 공인선박검사기관에 대한 규제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8,300원
        77.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What is fast fashion? Does this term just define all the latest or the most popular or the most famous clothes? In reality, this social phenomenon goes beyond the conventional notion of industrialized fashion and carries more importance than is implied by this view. Fast fashion, defined as “the retail strategy of adapting merchandise assortments to current and emerging trends as quickly and effectively as possible” (Sull & Turconi, 2008, p. 5), has received a great amount of attention from fashion marketers and consumers since its inception during the 21st century (Tokatli, 2008; Jang et al.,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fast fashion consumers.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key variables related to fast fashion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consumer characteristics (i.e., fashion leadership, price consciousness), consumer awareness (i.e., awareness of sustainable practices of fast fashion retailers, perception of fashion democratization), and attitude toward fast fashion retailers. The three dimensions were examined in a sequential manner to assess the power of each set of antecedents in explaining college students’ repatronage intention of fast fashion retailers. Related Literature While fast fashion retailers have experienced a huge financial success mainly due to their affordable and accessible fashion products, they have also been harshly criticized by some members of the public because of their lack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deed, fast fashion retailers’ low cost and efficient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s hav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 society, and people (Barnes & Lea-Greenwood, 2006; Bruce & Daly, 2006; Ro & Kim, 2009).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announced that about 14.3 million tons of textiles were generated in 2012, making up 5.2 percent of total municipal solid waste. Such massive textile waste has been attributed to fast fashion retailers because the cheap and trendy items they produce encourage consumers to make frequent purchases and to frequently dispose of unwanted clothing. Furthermore, several fast fashion retailers (e.g. Gap and Forever 21) have been criticized for the use of child labor and the sweatshop-like conditions of their factories (Ramishvili, 2012). Moreover, some fast fashion retailers have been involved in intellectual property lawsuits because they replicated the runway designs of prominent designers to produce knock-off products (Pous, 2013). In response, a few fashion experts claim that fast fashion retailers destroy fashion because the styles produced lack of aesthetic expression and creativity (Choufan, 2013). However, these issues are not solely a problem associated with fast fashion retailers. In fact, the entire fashion industry is responsible for adverse environmental and societal consequences to some extent. Traditional fashion retailers (e.g. Diesel, Levi’s, Dolce & Gabbana, Chanel, Hermès) also generate huge amounts of textile waste along with hazardous waste that results from the chemical materials used in production processes. Their products are also manufactured in developing countries to keep production costs low. They also may not pay attention to the labor environment. Therefore, traditional fashion retailers along with fast fashion retailers have responsibilities related to sustainability issues (Casey, 2014; Greenpeace, 2013). Nevertheless, fast fashion retailers have received the majority of the public’s criticism regarding these issues. Contrary to a popular belief, fast fashion retailers have taken some steps to appl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to their business practices. For example, H&M collects unwanted garments for recycling, uses recycled or reused materials for producing new garments and uses organic cottons (Lanyon, 2013). Other fast fashion retailers like Zara, Topshop and Uniqlo as well as H&M also have launched eco-friendly collections (MacDonald, 2012). Moreover, H&M, Zara, Mango and Uniqlo have committed to eliminate the release of toxic chemicals by 2020 in response to Greenpeace’s Detox campaign and to public pressure (Greenpeace, 2012). Furthermore, fast fashion retailers are also paying attention to labor issues. For instance, after more than 1,100 people died from the Rana Plaza building collapse on April 24th in 2013 (Chua, 2013), major fast fashion retailers signed the Accord on Fire and Building Safety in Bangladesh. This accord indicates these retailers agree to be responsible for the working environment for employees in apparel factories in Bangladesh. Although their ultimate goal might be to increase their sales by recovering their brand images damaged by unfavorable media coverage, it is clear that movement toward sustainable practices will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their business practices on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nd encourage other retailers to incorporate sustainable practices. In spite of the harsh criticism directed at fast fashion retailers, consumers still like wearing fast fashion products considering that fast fashion retailers have continuously expanded their businesses worldwide and have been successful. Prior researchers interested in fast fashion retailers have focused on supply chain management issues (Barnes & Lea-Greenwood, 2006; Mihm, 2010), the value of fast fashion (Cachon & Swinney, 2011), and indentifying business strategies of a particular fast fashion retailer (Ferdows, Lewis, & Machuca, 2005; Ghemawat, Nueno, & Dailey, 2003; Tokatli, 2008). However, few researchers have theoretically explained why consumers still like fast fashion products and visit fast fashion retailers. With that in mind,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various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 attitude and their patronage intention toward fast fashion retailers. Furthermore, although fast fashion retailers have positive motivations toward consumers (e.g. provide inexpensive fashionable items,participate in sustainable practices), consumer research has highlighted their nega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 and society (e.g., Morgan & Birtwistle, 2009). Methods An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ology was employed with a purposive sample of U.S. college students who had shopped at fast fashion retailers. A total of 154 usable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lick through rate was 79.79%.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antecedents (consumer characteristics, consumer awareness, consumer attitude) and repatronage intention. The measurement items employed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ll items were reviewed and modified to fit the context of this research: consumer attitude and patronage intention toward fast fashion retailers (Madden, Ellen, & Ajzen, 1992); perception of fashion democratization (PFD) (Dubois, Czellar, & Laurent, 2005); fashion opinion leadership (Flynn et al., 1996; Goldsmith & Hofacker, 1991); and price consciousness (Lichtenstein et al., 1993). The items for measuring awareness of sustainable practices of fast fashion retailers (ASP) were created based on news articles presenting sustainable practices fast fashion retailers actually engaged i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mong the participants, 48.1% were majoring in a fashion related area (e.g. fashion design, retail merchandising).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85.1%). Most participants (92.2%) were between 18 and 25 years old. With respect to ethnicity, 63.0% were Caucasian. Approximately half of the participants (52.6%) reported that they earned less than $10,000 annually. Also, 26.0% of the participants shopped at fast fashion retailers once a month. Results A weighted least squares (WL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Fast fashion shopping frequency was used as a weight variable as it is related to the variability in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revealed that: (a) fashion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repatonage intention (Model 1); (b) after controlling consumer characteristics, PF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variance explained in repatonage intention (Model 2) and (c) after controlling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awareness, consumer attitud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partially mediating the linkages from fashion leadership and PFD to repatronage intention (Model 3). Implications and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fashion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ast fashion market because it initiates the acceptance of new trends and leads to diffusion of new fashion.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fashion leaders (versus followers) are willing to take risks in trying new items offered by fast fashion retailers, are interested in fashion information, tend to retain fashion items for socializ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need various and unique fashion items (Goldsmith, Freiden & Kilsheimer, 1993; Kang & Park-Poaps, 2010). Given that fast fashion retailers promote frequent purchases and decrease the financial burden by offering new products on a weekly basis and charging low prices, our finding is consistent with fashion leaders’ characteristics prior research identified.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role of PDF in defining fast fashion consumers. Fast fashion products look similar to high-end products, but are comparatively inexpensive because the fast fashion retailers apply or copy high-end designs into their products and use cheap materials (Niinimäki, 2009; Reinach, 2005). Also, fast fashion retailers open tremendous stores across the world, which make fashion more accessible to consumers globally. As a result, fast fashion retailers accelerate the fashion democratization and it means that both concepts of fast fashion and fashion democratization are highly related. As Wang (2010) stated, “fast fashion’s soul is to make fashion democratized with its low price and speed” (p.10).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tend and corrobor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4,000원
        78.
        201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노후준비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이들 이 경험했던 생애과정 및 국가별 정책과 제도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의 은퇴·노후 준비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정책과 제도개선에 대한 사회적 함의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의 노후준비관련 정책은 장기적인계획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단계별 준비를 해왔다는 것이 미국·일본 등 선진국 노후준비관련정책의 공통된 특징이었다. 또한 진정한 은퇴·노후준비의 가치와 본질의 추구를 위하여 개인에게 요구되는 키워드는 ‘소득·관계·학습’으로 요약할 수 있다.
        6,400원
        7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ined soldier bug, Podisus maculiventris (Hemiptera: Pentatomidae), is a generalist predator commonly found in North America. The spined soldier bug can feed on more than 70 species of insects including immature stages of Lepidoptera and Coleoptera. The spined soldier bug can inhabit various agricultural ecosystems (i.e. crop fields, forests, and grasslands) and plays a key role in the control of major insect pests. The spined solider bug has high the potential for augmentative biological control because it has a high reproduction rate. In 2016, 500 eggs of the spined soldier bug were introduced to South Korea from U.S.A. under the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between West Virginia University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NI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urrently the spined soldier bug is being reared in a quarantined facility at NIAS.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describe the natural history of the spined soldier bug in North America including its feeding ability as a generalist predator, its potential for biological control of various agricultural and forest pests, and its response to aggregation pheromone. In addition, current research at West Virginia University including mass rearing and aerial releas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a.k.a. drones) of the spined soldier bug will be presented.
        8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 내부자거래 규제에서 전통적이론 하의 책임은 내부자가 회사의 주주에게 부담하는 신임의무에 위반한 경우에 부담하게 되기 때문에 회 사 외부자는 책임을 부담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그 후에 채택된 부정 유용이론은 정보원(정보의 원천)에게 부담하는 의무의 위반으로 증권거 래 목적을 위하여 기밀정보를 유용하는 자에 대하여 내부자거래 위반의 책임을 부과한다. SEC v. Rocklage (1st Cir. 2006) 사건은 회사 최고임원의 부인이 남편 회사에 관한 중요한 미공개정보를 자신의 형제에게 전달하고, 그 형제가 또 자신의 친구에게 전달하고, 증권을 거래한 것에 대하여 SEC 가 부정유용이론에 바탕을 둔 내부자거래제재 소송을 한 사건이다. 피고는 증권거래를 하거나 정보를 전달하기 이전에 정보원에게 이것을 완전히 통지 내지 공개를 하였으므로 그 거래에 관하여 모든 기만행위가 제거되어서 내부자거래규제 위반이 아니라고 항변하였다. 피고들은 만약 수임인이 정보원에게 당해 미공개정보를 바탕으로 증권거래를 할 계획이 라는 사실을 알리거나 공개하였다면 그 거래에는 기만적 수단이 없다고 할 수 있으므로 증권거래법에 위배되지 아니한다고 하는 유명한 O Hagan 사건 판결의견을 근거로 하였다. 한편 원고 SEC는 O Hagan 판결문에 있는 공개라는 것은 수임인의 본 인에게 유용한 공개만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 피고의 주장에 동의하지 아니하였다. 그 근거로서 SEC는 그 공개는 정보원이 거래에 대하여 구 제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 는 O Hagan 사건 판결문 각주를 인용하였다. 제1항소법원은 원고・피고 양측의 주장 모두를 거부하고 다음과 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O Hagan 사건은 이 사건과 다르게 정보의 기만적인 취득을 포함한 사건이 아니었다. O Hagan 판결에 있는 그 공개라는 문 언은 합법적으로 취득된 정보로써 거래 혹은 정보전달을 할 의도가 수임 인의 본인에게 공개가 있게 되면 면책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 러나 기만적인 정보취득 후에 이어진 기만적인 정보전달이나 거래를 한 사건은 다르다. 기만적으로 취득한 정보를 사용하면서 정보전달 의도의 공개는 당초의 기만을 반드시 제거시킨다고 추정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아니한다. 따라서 피고들의 행위는 사기로 인정된다고 하였다. 제1항소법원의 판결로 인하여 일부 탈법적인 내부자거래가 규제의 범 위 내로 포함되고, 더욱 규제범위가 명확해지는 효과가 생기게 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