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1

        6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남자 실업팀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플라이휠 운동을 적용한 웨이트 트레이 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해예방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주간 복합 플라이휠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체력요인, 무산소성파워, 등속성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팔굽혀펴기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지방률, 무산소성 파워는 시기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자리멀리뛰기, 제자리높이뛰기, 악력, 배근력, 무산소성평 균파워 그리고 등속성근기능검사는 좌굴근과 우굴근에서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12주 간 플라이휠 운동을 활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결과는 상해예방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dividuals with scapular winging may have proprioceptive dysfunction which is important for motor control and causes shoulder instability. Reduced serratus anterior (SA) and lower trapezius (LT) muscle activity accompanied by over-active upper trapezius (UT), and pectoralis major (PM) may be contributing factors. Flexi-bar (FB) exercise may be used to increase joint position sense (JPS) and alter the target muscle activitie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flexi-bar exercise prior to knee push-up plus (FPK) versus knee push-up plus (KPP) on JPS and muscle activity of SA, LT, UT, and PM i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Methods: Eightee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were recruited. JPS was investigated at baseline, after KPP and after FPK. Passive and active JPS errors were calculated by isokinetic equipment.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record muscle activities during KPP and FPK.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JPS error measured at baseline, after KPP and after FPK. 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muscle activities between KPP and FPK. Results: Passive JPS erro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KPP (p = 0.005) and after FPK (p = 0.003) compared to the baseline. Active JPS error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KPP (p = 0.016) and after FPK (p = 0.012) compared to the base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ve and active JPS errors between KPP and FPK. SA activity during FP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24), and LT activity during FP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T and PM activity. Conclusion: FB might be recommended to immediately improve passive and active JPS and to selectively increase SA and LT muscle activities during KPP in individuals with scapular winging.
        4,000원
        6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lthough the Schroth exercise is widely used in idiopathic scoliosis, the Schroth exercise with kinesiotaping is not. And,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ir effectiveness.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roth exercise with kinesiotaping on idiopathic scoliosis.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Participants with hamstring tightness were allocated into the Schroth exercise with kinesiotaping group (SETG, n=12) and the schroth exercise group (SEG, n=11). Participants groups performed Schroth exercise with kinesiotaping or Schroth exercise according to group assignment. To identify changes in spine alignment and balance were performed at pre- and postexercise. Results: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spine alignment, balance ability (X mean, LOS forward, LOS right) after exercise in SETG (P<.05). SETG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ability (LOS right) than SEG. Conclusion: Schroth exercise with kinesiotaping are effective in improving spine alignment and balance ability in idiopathic scoliosis.
        4,000원
        6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chin tuck exercise is a therapeutic approach for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dysphagia. However, the clinical evidence of the effect is still lacking.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ultidirectional chin tuck exercise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dysphagia. Design: A two-group prospective study. Methods: In total, 14 patients with post-stroke dysphagia were enrolled and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chin tuck exercise in the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wherea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exercis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2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VDS) and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scores determined via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were the outcome measures used for evaluating swallowing function. Results: Post-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in the pharyngeal phase score of VDS and PAS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ultidirectional chin tuck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the vertical chin tuck exercise in improving the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dysphagia.
        4,000원
        65.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복합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혈중 도파민 농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60 대 이상의 파킨슨병 환자 24명을 운동군(n=12)과 통제군(n=12)으로 분류한 후 운동군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70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실시 전·후 항목별 차의 비교를 위해 그룹 내 차이는 대응 t 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 t 검정, 상호작용 검증을 위해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 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파민 농도는 운동군(p<.01)이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제군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능적 체력에서 악력은 운동군(p<.001)과 통제군(p<.05) 모두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덤벨들기(p<.001), 의자 일었다 앉기(p<.001), 3m 걸어갔다 돌아오기(p<.01)가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통제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은 운동군(p<.001)이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6주간 의 복합운동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키고 근력, 근지 구력, 평형성 및 보행능력 등 기능적 체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4,300원
        6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TPB)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과 참여의사 및 참여행동에 관하여 인과 관계(SEM)를 적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을 탐색하고, 생활체육 종목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1일 ~ 2021년 5월 1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총 267명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계획행동이론는 생활체육 참여의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는 생활체육 참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의사는 생활체육 참여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67.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만 40-60세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0주간 스마트머신 순환운동이 체조성, 폐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n=8), 대조군(n=6)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스마트머신 순환운동은 주 3회, 회당 55분으로 유산소 운동의 강도는 스마트머신과 POLAR T31이 연동 되어 스마트머신에 적용되며, 1-4주차는 40-50%HRR, 5-8주차는 50-60%HRR, 9-10주차는 60-70%HRR을 적용하였고, 저항성 운동의 강도는 스마트머신을 이용하여 등속성 운동 기반으로 대상자들의 1-RM test의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1-4주차는 1-RM의 40%, 5-8주차는 1-RM의 60%, 9-10주차는 1-RM의 80%를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엉덩이둘레비율에서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폐기능의 FVC는 시기 간 주 효과와 사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FVC 및 FEV1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TC 및 TG는 시기 간 주 효과가 나타났으며, TC, TG 및 HDL-C는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Insulin, Glucose 및 HOMA-IR은 운동 전·후 시기 간 차이에서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주간 스마트머신 순환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조성, 폐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중년여성의 비만을 개선하거나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4,300원
        6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re women than men experience genu recurvatum, which can lead to knee pain and arthritis if left unattended. Pilates combined with taping is a suitable rehabilitation method for women with genu recurvatum. Objectives: To aimed the effect of taping and Pilates stabilization exercise on physical alignment and improvement of genu recurvatum in women with genu recurvatum.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one wom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aping group (back of knee taping and quadriceps femoris taping, n=7), Pilates exercise group (hip, knee and abdominal muscles exercise, n=7), and combined group (taping with pilates exercise, n=7). The measured variables were sagittal plane alignment and back and abdominal muscle, knee flexor and extensor strength.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all sagittal plane alignm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the Pilates and combined groups. Sagittal plane alignme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mbined group compared with the taping group. Back and abdominal muscle streng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ilates and combined groups compared with the taping group. Knee flexor and extenso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mbined group compared with the Pilates group and in the Pilates group compared with the taping group. Conclusion: Pilates exercise with taping or Pilates exercise alone wa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physical alignment and strength in women with genu recurvatum.
        4,000원
        69.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have weak trunk muscle strength due to brain injury, so a single type of exercise is advised for restoring functionality. However, even after intervention, the problem still lies and it is suggested that another interven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with exercise in order to deal with such problem.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From July to August 2020, twenty stroke patients was sampled, ten patients who mediated bridge exercises combin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I, and ten patients who mediated general bridge exercises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Ⅱ. For the pre-test, using surface EMG were measured paralyzed rectus abdominis, erector spinae, transverse abdominis/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and using trunk impairment scale were measured balance. In order to find out immediate effect after intervention, post-test was measured immediately same way pre-test. Results: Change in balanc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and between groups, but muscle activity of trunk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ctus abdominis and erector spinae within groups I (P<.01), also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Conclusion: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FES could improve trunk function more effectively than general bridge exercise due to physiological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4,000원
        7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척추전문병원 입원환자 중 미세현미경 요추간판제거술을 받은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가간호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기 관리지식(p=.001)과 일상생활관리지식점수(p=.005)가 더 높아 지지되었다. 또한 자가간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보조기 관리이행도(p=.011), 일상생활 이행도 (p=.007), 유해생활 습관관리 이행도(p=.011)가 높아 지지되었다. 따라서 자가간호프로그램은 요추간판제 거술 환자의 수술 전후 적용을 통해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이행도를 향상시켜 보다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4,300원
        7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모바일 홈트레이닝과 운동몰입, 지속의도에 대한 기술수용 이론을 적용한 인과관계 모형에 대한 구조분석 방법(SEM)을 적용하여 소비자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한 전략적 도구를 파악하기 위해 2021년 2월 1일부터 5월 21일까지 표본 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 “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유효표본 총 287명의 소비자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용모델이 운동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수용모델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몰 입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의 가정기반운동(home-based exercise)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환자 특성별 염증관련 혈액지표, 관절가동범위, 통증척도 및 심리적인 지표 세부적이고 종합적으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강직성 척추염을 진단받은 환자 10명을 선정하여 연령별(30대 vs. 40대 vs. 50대), 성별(남성 vs. 여성) 및 유병기간(5년 미만 vs. 5년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가정기반 운동 프로그램은 유산소운동과 필라테스 기반 저항성 운동의 복합운동 형태로 최대심박수 (maximal heart rate, MHR)의 50-70% 강도에서 주 4회, 12주 동안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12주간의 가 정기반운동 중재 후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혈중 CRP (C-reactive protein) 농도가 감소됨으로써 (-35.6%, p=.017) 혈중 염증 수치가 개선되었으며, 각 관절(고관절, 허리, 경추)의 가동성이 향상되었다(p<.05). 또한 질병활성도(Bath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 activity index, BASDAI)는 -67%(p=.005), 시각통증지표 (Visual analogue scale, VAS)는 -64.8%(p=.005) 감소됨으로써 강직 및 통증이 전반적으로 완화되었다. 특히, 우울 정도가 -65.5%(p=.005), 불안 정도는 -55.2%(p=.008) 감소됨으로써 12주간의 가정기반운동은 신체적 변화 뿐 아니라 심리적인 요인도 개선 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연령, 성별, 유병기간에 따른 운동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적용된 12주 간의 가정기반운동이 환자 특성과 상관없이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7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전신 운동인 맵시 운동 프로그램을 중년여성들에게 8주간 적용하여 보행 시 수직 지면반력 크기, 발생시간, 압력 중심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로 운동군 13명(연령, 41±4.4 세; 신장, 162.5±5.8 cm; 체중, 57.8±6.7 kg; 신체질량지수, 21.9±2.4 kg/m2), 대조군 12명(연령, 41.1±5.6 세; 신장, 160.9±5.5 cm; 체중, 576.2±8.1 kg; 신체질량 지수, 21.7±2.9 kg/m2) 총 25명이 참여하였다. 운동군은 7영역 23종 77동작의 맵시운동 프로그램을 8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보행 시 지면반력 요인들의 검증을 위하여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bonferroni adjustment로 분석하였다(a=.05). 맵시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군은 보행 시 FMWA와 FPO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 FMWA와 FPO에서 발생한 수직 지면반발력 그리고 AP 방향 COP의 RMS 요인들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8주간의 맵시 운동 프로그램은 보행을 수행하는 중년여성들의 가속과 감속 운동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VID-19사태로 인하여 현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형식의 교양 수영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의 교양 수영 수업의 질은 지도자가 갖추고 있는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실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운동몰입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확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영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교양 체육 및 생활 체육 종목에 있어서 앞으로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양 수영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81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이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양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실습능력, 기초지식)이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의기술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기초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동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7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운동시간의 변화가 자아존중감의 변화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그릿의 변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중1 코호트 2개년도 자료 중 결측치를 포함한 케이스를 제외한 2,438명(남=1,327명, 여=1,11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각 변인의 변화량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1차년도 측정값과 2차년도 측정값의 회귀분석에서 생성된 표준화잔차점수를 변화량 변수로 활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운동시간의 변화량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량, 그릿의 변화량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운동 시간의 변화가 그릿의 변화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시간의 감소가 청소년의 그릿과 자아존중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7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폐경 후 비만 여성의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수영운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영운동을 하지 않은 모의수술군(S/N), 수영운동을 하지 않은 난소절제 수술군(O/N) 및 수영운동을 실시한 난소절제 수술군(O/S)으로 구분되어 8주 동안 고지방식이 사료를 섭취하면서 사육되었다. 간 조직의 지방축적, 간 무게 및 혈청 속 AST와 ALT는 S/N에 비해 O/N 에서 증가하였으나, O/N에 비해 O/S에서는 감소하였다. S/N에 비해 O/N는 간 조직에서의 IκBα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MCP-1,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O/N에 비해 O/S는 간 조직에서의 IκBα이 증가하였고 MCP-1,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난소절제 후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비만이 유도된 비만 쥐에서 수영운동이 비만으로 유도 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염증을 개선함으로써 건강증진에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4,300원
        7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인 한국무용 참여가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문제와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의 보다 나은 삶의 질에 관련된 노인여가복지정책과 한국무용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한국무용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우울감 변화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한국무용을 하기 전과 후의 우울감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한국무용 참여시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감의 변화 정도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무용의 참여빈도가 많아질수록, 참여기간이 길수록,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노인의 우울감 변화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700원
        80.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hysical therapy applied to stroke patients is recognized as a treatment that promotes function recovery, and it is a widely known fact that constant exercise should be performed.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time that can minimize side effects and maximize function recovery for exercise therapy. Objectiv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ercise variables on CPK generation during aerobic exercise in stroke patients and to discover how to use appropriate exercise intensity and time when conducting an exercise for function recovery in stroke patients. Design: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lassified subjects into three groups (low-intensity exercise group: LIE, moderate-intensity exercise group: MIE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HIE)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and was further classified into two groups (10-minute exercise group: 10MG and 20-minute exercise group: 20MG) according to exercise time variables within each exercise intensity group. After, the change in CPK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and time was confirmed through hematological analysis. Results: In LIE and MIE, the CPK blood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increased in 10MG and 20MG,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HIE, the CPK blood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increased in 10MG,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HIE, the CPK blood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increased in 20MG,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In 10MG and 20MG, the CPK blood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exercises were increased in all intensity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HIE.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dering CPK, it will be helpful to recover and improve function if the exercise intensity setting is applied in the type of moderate intensity exercise during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in stroke patient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