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

        8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rack detection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s developed based on the use of digital image analysis technologies through on - site tests. The problem of aging of infrastructure is a serious threat to the national and national security an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inspection and maintenance techniques for related infrastructure. Therefore, instead of the existing traditional manpower-based infrastructure inspection and maintenance techniques, which involve lots of time and money consumption and reliability of results, research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technology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8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mpressive tests were carried out on seamless circular tubular short columns with corrosion-damaged end, and investigated change in compressive strength of columns with local corrosion at the end. Local corrosion was artificially introduced by milling machine, and differed in corrosion depth (0, 1.5, 3, 4.5 mm), corrosion height (0, 20, 60, 120 mm), and corrosion circumference (0, 90, 180, 360˚ ). As a result, the compressive loads were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corrosion degrees,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for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of seamless circular tubular short column with corrosion-damaged end was suggested by using corroded volume loss ratio.
        8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effect of steel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SFRCC) on damage resistance of steel tube member. Test results show that the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of SFRCC specimen was about 14% higher than that of Con specimen.
        8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investigation for relationship between local damage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7-wire strand. This strand is often used additional reinforcement of bridges such as PSC (Prestressed Concrete) bridge and cable-stayed bridge. Stay cables are continuously damaged after completion and corrosion is the main cause of damage.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egradation cable damag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damages on strand and structural performance is experimentally and analytically evalu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use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cable supported bridges in the future.
        8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tent damages of concrete structures due to fire occurrence are evaluated. The evaluation of fire safety is evaluated by using the inspection, non-destruction test, fracture test(concrete SEM analysis, concrete heat analysis, rebar fracture tes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safety of concrete structures are presented using evaluation results.
        8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atigue crack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suspension bridge`s center-stay area is generated. Therefore, the stress and caused of occurrence of each member are analyzed by measurement. When similar cases occur in the future, they shall be utilized as basic data such as research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measures for maintenance.
        87.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교량은 유지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 해안 과 같이 가설위치의 환경이 고온 다습한 경우 단면에 국부적인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강거더 교량 의 지점부에서는 교대부와 강거더 단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고 신축이음부로부터의 강 우 및 동결 방지제가 누수되어 침전물을 습윤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복부판과 지점부 보강재에 집중적으로 부식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한 구조성능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생할 수 있는 강거더 단부 복부판과 보강재의 국부부식손상을 모사한 강 재 실험체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단부 지압강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국부적 부식손상은 강거더 단부의 지압강도에 영향 을 주며, 특히 수직 보강재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8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화재 손상을 입을 경우 노출온도 및 지속시간에 따라 구조물의 심각한 성능 저하를 야기하며, 콘크리트의 재료 물성 저하를 수반한다. 화재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사용여부 및 보수보강 판단을 위해서는 손상 직후 및 재양생 조건에 따른 주요 손상 부위의 면밀한 손상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양생 조건에 따른 화재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의 재료물성 회복에 관한 실험적 연구 를 수행하였다. 화재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 시편을 상대습도 및 재양생 기간을 달리한 재양생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충격공진기법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시편의 화재 손상 전후 및 재양생 이후의 동탄성계수를 측정하여 손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재양생 조건 중 높은 상 대습도 조건에서 지배적으로 재료물성의 회복이 발생하였다.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시편의 동탄성계수 및 인장강도의 직접적인 비교 및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재양생 조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높은 습도 조건에서 동탄성계수의 회복이 인장강도에 비해 두드 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8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cable supported bridges under the occurrence of damages on cable system. There are more than 50 cable supported bridges currently buil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fficient and systemat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in great demand. However, safety of the bridges cannot be under estimated and should be properly evaluated. In this paper, two bridges (one cable-stayed bridge and one suspension bridge) in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their safety based on the damage scenario of cable system. FEM analysis for safety evaluation of the two bridge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explained. The result could be used by operators and owners of bridges for the fu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9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based damage detection method is prposed for the steel moment frames with beam-hinge collapse mechanism. The natural frequencies, modeshapes, flexural moment of columns are employed as the values for the input layer while the raios of rotational stiffness of connections before and after damage are employed as the values for the output layer. The 5-story steel moment frame with beam-hinge collapse mechanism is used as the example structure.
        9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 ASTM specification provide an approach for directly correlating attenuations of the bottom deck or the top rebar from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to deck condition when corrosion is the primary mechanism for concrete deterioration. In this study, GPR tests were conducted on the bridge decks in public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gnal attenuation were investigated with deck condition. As will be discussed, this approach is recommended for further evaluation and incorporation within ASTM D 6087-08.
        9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al of research is that budget of maintenance were estimated in network-level bridges. We determined the life cycle of exchangeable bridge element with HBMS(Highway Bridge Management System) data and In-depth Inspection Results by the survival analysis probability model. We developed the method that predicted cost of maintenance in all of the highway bridge in korea considering a characteristics of failures.
        9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ltimate strength of existing offshore structure is calculated by Nonlinear Push-over analysis and the damage of structure is assessed through a reserve strength ratio(RSR). High-risk members are detected through the failure mechanism to analyze the plastic analysis results.
        9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주기 성분의 지진파는 주로 일반적인 구조성 지진과 화산대의 화산폭발로 인한 화산성 지진이 대표적이며, 국내의 경우 일본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지진에 의한 부산 해운대의 피해와 최근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는 백두산 화산폭발로 인한 화산성 지진으로 인한 서울 및 인천 송도지역의 피해가 예측되며, 이 지역들은 고층건물의 밀집지역이라는 점에 대하여 장주기 성분 지진에 취약한 고층건물들의 방재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로 최근에 Tohoku(M9.1 2011, Japan)지진으로 인하여 장주기 성분의 지진파가 발생하였으며, 진원지에서 약 400km 정도의 거리에 있는 고층건물들의 비구조재에 대한 피해가 보고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비구조재에 관한 내진설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장주기 성분의 지진파에 의한 고층 건물의 피해를 고려하여 고층건물 내의 비구조재 손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주기 성분 지진파 및 장주기 성분 지진파를 적용하여 그에 따른 시험체의 층간변위 및 가속도에 인한 피해를 예측을 위한 실험을 실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고층건물 내의 비구조재의 손상을 분석하였다.
        96.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timation of damage probability of buildings under a future earthquake is an essential issue to reduce the seismic damage. In this study, capacity spectrum method is applied to develop seismic fragility curve of low-rise non seismic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under peak ground acceleration.
        9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of the local damage evaluation method for the SC structure subjected to impact load was carried out. The conventional RC formula and SC formula to calculate wall thickness to prevent perforation were studied and compared. Finally,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using LS-Dyna, and the future direction to develop the reasonable local damage evaluation method of the NPP SC structure was suggested.
        9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n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has been enforced, the precision safety Inspection result was being collected. but it was not performed to comprehensive analysis and D/B.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tilizing the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of Dam.
        9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도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및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확보를 위해서는 상시적인 계측을 통하여 교량의 구조적 성능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기법은 대부분 경제성 및 적용성이 뛰어난 가속도계 측정값을 이용하여 추출한 고유진동수, 모드형상 등의 모달응답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추출과정은 동적응답의 수치해석적 후처리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구조적 성능평가 결과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교량에서 추출한 시간영역 회전각을 이용하여 산정한 변형에너지의 변화에 기반한 손상 평가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시간영역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산정한 구조물의 회전각에 기반하고 있어 모달응답 추출과 같은 별도의 후처리 과정이 없으며 실제 구조물에 적용이 용이하다. 제안된 이론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이용한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검토 결과 제안된 이론은 충분한 사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5층 이하 비내진상세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지진시 긴급 위험도 평가를 위한 부재의 정량적 손상도 평가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대형 크기의 철근콘크리트 1층 1경간 골조 실험체의 정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체는 기둥의 휨항복후 전단파괴에 의하여 파괴되었으며, 기둥과 접합부에 균열, 압괴 등의 손상이 발생한 반면, 보에는 균열 등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비내진 상세를 가지며 휨항복후 전단파괴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손상도를 5단계로 분류하고 손상단계별 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으로서 지진시 상대적으로 측정이 용이한 잔류 층간변형각과 잔류 균열폭을 이용하였다. 손상한계상태의 잔류 층간변형각 및 잔류 균열폭은 실험결과에 따른 손상한계상태의 최대 층간변형각과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하였으며, 한계 최대 층간변형각은 실험결과에 의한 부재의 하중-변형 관계 및 손상발생 현황을 바탕으로 결정하였다. 한계 잔류 층간변형각은 해당 최대 층간변형각에 의한 잔류 층간변형각 중의 최대값 이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한계 잔류 균열폭은 해당 최대 층간변형각에 의한 잔류 전단균열폭의 최소값 및 잔류 휨균열폭의 평균값으로 결정하였다. 한편, 본 논문을 통하여 제시한 손상한계상태의 잔류 층간변형각과 잔류 균열폭은 지진으로 동일한 부재 변형이 발생할 경우 내진설계가 실시된 부재를 대상으로 하는 국외 손상도 평가 기준에 의한 값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