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

        8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researchers carried about SFRC, it was found that SFRC was effective to achieve flexural toughness according to higher volume fraction. On the other hand, higher volume fraction did not effect at compressive strength and toughness.
        8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fire. Composite fibers that are mixed in concrete are used to improve vulnerable point. The role of each fiber is to prevent of spalling effect and improve of flexural strength.
        8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strength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GGBF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GGBFS as a admixture was advantageous in terms of long-term strength. Therefore, GGBFS can be a replacement for the Flyash which is currently used in the NPP.
        8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ctility properties of RC members are influenced by the strength of each materials as well as amount of reinforcing bar. In this study, the ductility factor has analytically been calculated in rectangular RC beam and the effects of each material strength on the ductility of RC member have been evaluated.
        85.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수준(20, 35, 50 MPa)에 따라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 변화가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순환 굵은 골재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유 동성(슬럼프)은 순환골재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동등하거나 양호한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국내에서 생산 되는 순환골재의 양호한 입형이 유동성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순환 곩은 골재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압축강도는 순환골재 혼 입률이 증가할수록 약 9~1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염화물 확산계수는 순환골재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144%까지 증가하 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낮은 강도 수준의 콘크리트 일수록 순환골재 활용에 따른 내염성 저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가 증가할수록 순 환골재 혼입에 따른 영향은 감소되어, 고강도 영역에서는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한 염화물 확산 특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순 환골재를 콘크리트용 재료로 대량 활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내염성 개선을 위한 혼화재료의 적용 또는 배합설계상 조정을 통한 강도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8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S기준 및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27 MPa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7 MPa를 초과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 사용의 확 대를 위해 압축강도 30∼60 MPa 범주의 굵은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포함한 역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변수로써 물- 시멘트 비와 굵은순환골재의 치환율을 고려하였다. 고려된 물-시멘트 비는 0.36, 0.46 및 0.53 이고, 순환굵은골재의 치환율은 30, 50, 70 및 100%이다. 실험변수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7일 및 28일 압축강도, 탄성계수, 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시멘트 비가 0.36일 때의 탄성계수에 비해 0.53일 때의 탄성계수는 10% 이상 감소하였다. 탄성계수 실험결과와 기존설계코드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설계코드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결과는 실험결과를 과다평가하고 있다. 반면에 설계코드에 의한 파괴계수 예측결과는 압축강 도 40 MPa 이상의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고 있다.
        87.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섬유의 일부를 철근집합체로 대체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철근 콘크리트 I 형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초고강도 콘크리트 I 형보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다. 철근집합체와 PS강연선 집합체가 압축구역에서 콘크리트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철근집합체와 강연선 집합체의 길이 도 실험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험요소를 조합하여 9개의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 형보를 제작하였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형 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 또는 1%와 철근집합체를 사용한 조합이 I형 보의 효과적인 연성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8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ducted to evaluate early-ag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apid-setting concrete containing waste pottery powder. The experimental variables selected were 5, 10, and 15 percent replacements of cement with waste pottery powder.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lump of the concrete de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of cement with waste pottery powder increased, and (2) compared with the strength of the control specimens with no replacement rat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creased at 5% replacement rate, and was comparable to the control at 10% replacement rate; however, at 15% replacement rate, compressive strength actually decreased.
        8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imate the effect of adding stone dust sludge into concrete strength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with stone dust sludge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strength of concrete.
        9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recycled fine aggregate on the behavior of cement-based concrete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compressive strengths through experiments. It can be observed that recycled fine aggregate can be useful to fabricate precast concrete products in terms of having of concrete strength equivalent to natural aggregate.
        91.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융아연도금(galvanizing)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융아연도금 철근 콘크리트 보의 부착강도 영향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용융아연도금철근이 콘크리트 보의 부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용융아연도금철근을 사용한 부재와 일반철근을 사용한 부재의 구조실험을 통하여 겹침이음 거동과 부착강도 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변수로써 철근의 용융아연코팅 유무, 철근 직경과 겹침이음 길이를 고려하였다. 용융아연도금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 및 파괴 특성을 파악하였다. 용융아연도금철근 콘크리트 보의 겹침이음부 휨 거동특성은 일반철근 콘크리트 보의 겹침이음부 휨거동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용융아연도금철근의 사용은 일반철근을 사용할 때에 비해 콘크리트 보의 부착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2.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거푸집의 측압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타설높이 및 타설속도를 주요변수로 정하여 실험체를 제작한 후, 수행한 실험으로부터 측압 및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유동 고강도 콘크리트의 최대 측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으로 나타났으며, 타설 직후 측압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 이후 안정화를 보였다. 3~4시간 이후 안 정화가 나타나는 보통 콘크리트와 측압이 감소하는 경향은 유사하다.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최대 측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감소량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수화열과 측압감소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9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strength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94.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of concrete reinforced by 3D Fiber Reinforced Polymer(FRP).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3D FRP concrete composites against impact or explosive loadings. For the comparative study, non-reinforced specimen and specimens reinforced by 3D FRP are constructed and tested. 20mm×10mm 3D fiber and 25mm×20mm 3D fiber was set to be variable.
        9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ogenous shrinkage isn't currently defined in Korean Highway Bridge Specifications. Accordingly, the structur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reflect the contents on the autogenous shrinkage of the Eurocode(fib Bulletin 55 : Model code 2010). As a result, we examined the possible initial crack caused by the autogenous shrinkage.
        9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초고성능 콘크리트가 RPC의 개념을 상용화하면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RPC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100 MPa 이상의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게 됨에 따라, 급작스러운 취성파괴를 방지할 수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높은 강도 수준은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 시 신뢰성의 확보가 어렵게 됨에 따라 재료의 성능에 기반한 상세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에 적용할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지표의 추정이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0MPa~200MPa 수준의 압축강도를 보유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 시험을 수행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기계적 성능을 검토하였다. 시험 결과 초고성능 콘크리트 또한 보통강도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 영역에서 나타나는 압축강도와 기계적특성 사이의 관계가 불안전측의 추정을 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기존 연구로부터 수집된, 쪼갬인장강도 원주형 공시체 시험 결과와 프리즘 공시체의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기존의 추정식들을 평가하였다. 통계적 평가 결과 시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상승과 함께 낮은 수준의 정확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된 시험 결과와 수집된 시험 결과들을 사용하여 넓은 압축강도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기계적 성질의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9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nsure durability and light weight of bridges, high-strength concrete is required for long-span deck slabs. Such a technology eventually extends the life of bridges and improves the economic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examines the minimum thickness of long-span deck slabs built with high strength concrete. The minimum thickness is examined based on the limit states indicated in the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limit state design).
        9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hich incorporated various amount of recycled aggregate(0%, 30%, 50%, 100%). For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 compressive stress and air content, slump were evaluated. Evaluated results of compressive stress was shown that compressive stress and slump decreased depending on amount of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On th other hand, air contents increased depending on amounts of recycled aggregate decreased.
        9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placing a large amount of mineral admixture, we satisfied the target, compressive strength of 30, 50MPa and manufactured lightweight concrete reducing CO2 emissions up to 42.1~52.8% comparing normal concrete
        100.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화재에 노출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과 폭렬 메커니즘을 규명한 기존 국내외 연구자들의 연구문헌들을 심도 깊게 고찰하였다. 그 후 고온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들의 주요 실험 변수를 분석하여 가장 최적의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10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내화실험을 계획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실험결과를분석한 결과 폭렬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PP섬유와 친수성 재료로서 시멘트 입자와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워커빌리티를 개선할 수 있는 NY섬유를 혼합한 신재료 HB섬유를 섬유혼입률 0.05%로 정해 배합설계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배합설계로 타설한 총 48개의 공시체를 28일 양생기간 후 온도변화 (100℃~700℃)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화재를 받은 후 냉간상태에서의 내화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