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9

        8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육상생태계의 토양에는 대기의 약 2배에 해당하는 많 은 양의 탄소를 가지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 상 승으로 대기로의 방출에 매우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다. 한반도의 육상 생태계 토양탄소 수지의 변화예측을 위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다양한 생태계의 토양호흡 자료 수 집을 위해 이용되는 방법론, 기기, 기기들 간의 오차, 시 공간적인 불균일성, 결측 자료에 대한 보충 (gap filling), 발생원 별 구분 등에 대한 현 상황을 정리하고 그를 바 탕으로 국내 토양호흡 연구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고 찰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토양호흡 연구는 기기 간 또는 방법들 간의 오차 보정이나 노력들이 매우 빈약하 게 행해져 왔기 때문에 과거 및 현재 축적되는 자료의 품질은 거의 보정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소되지 않고 지금까지와 같은 방식으로 토 양호흡 자료가 축적된다면 그 활용성은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장기적인 자료 축적, 토양호흡 조절 메커니 즘에 관한 조절 실험, 다양한 생태계, 토성, 토심 등에 대 한 자료 역시 장래의 토양권 탄소 동태 변화를 모델 수 단으로 예측하는 데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토양호 흡 자료 수집과 함께 수집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장기 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문제들이 연구자 간에 깊숙이 인 식되어 보다 양질의 자료가 생산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4,000원
        8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대 이후 웰빙 라이프스타일의 도입 및 인구 고령화 사회의 진입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지속적으로 측정가능한 생체 신호 센싱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지속적으로 호흡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비자 수요에 기반한 스마트 의류적용을 위한 호흡 측정 시스템의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호흡시 인체의 체표면이 변화하면서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호흡을 측정하는, 전도성 섬유기반의 전기용량성 섬유 압력 센서(Texti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TCPS)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센서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Nasal로부터 측정된 호흡율과 TCPS를 통해 측정된 호흡율간의 상관계수는 r=0.9553 (p< 0.0001)로 TCPS의 신호 측정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사용성 및 착용성 평가의 결과 인지적 변화, 착용성, 운동성, 관리의 용이성 및 유용성에서 모두 만족한다 정도의 평가 결과를 가져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TCPS의 착용성 및 의류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TCPS의 의류 적합 위치 평가 결과는 복부 부위에서 신호의 안정감을 갖으며, 착용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호흡 측정 기능의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4,000원
        83.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주 근교의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단근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토양호흡량에 대한 뿌리호흡량의 기여율을 파악하였다. 토양호흡구(control plot)와 미생물호흡구(trenched plot)를 설치하고 2011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IRGA 토양호흡측정기를 사용하여 CO2발생량을 측정하였다. CO2발생량은 하절기에 증가한 후 동절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의 CO2발생량은 8월에 가장 높았으며, 이때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의 CO2발생량은 각각 1.345, 0.897g CO2 m-2 hr-1로 토양호흡구에 비해 미생물호흡구에서 33.31% 낮게 나타났다(P〈0.05). CO2발생량은 1월에 가장 낮았으며, 이때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에서 각각 0.097, 0.032g CO2 m-2 hr-1로 토양호흡구에 비해 미생물호흡구에서 67.01% 낮게 나타났다(P〈0.01). 연간 CO2발생량은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에서 각각 4.320, 2.834kg CO2 m-2 yr-1로 나타났다. CO2발생량은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에서 토양온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간의 CO2발생량 차이로 추정한 뿌리호흡량은 토양호흡량 중 약 34.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호흡과 동작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무용전공 20세 이상의 대학생, 대학원생, 안무가 및 무용 지도자 총 184명이 응답하였으 며 총 1,630개의 반응이 도출되었다. 원자료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의 결과, 무용동작 발현과정 에서 경험된 호흡의 무용동작 외적측면은 동작의 연결성(49.8%), 동작의 범위(31.6%), 동작의 정확성(18.6%)의 3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고,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경험된 호흡의 무용동작 내적측면은 표현력(55.5%), 동작의 질적 변화(36.6%), 메시지 전달(7.9%)의 3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경험된 호흡의 자기 신체적 측면은 무용동작의 수행지속력(51.38%), 집중력상승(41.2%), 신체의 변화(7.5%)의 3개의 일반영역으로 도출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호흡이 우리 몸속의 에너지를 분출해 내는 원천적인 요소이며, 외형적인 움직임 뿐만 아니라, 무용수의 내재된 감정을 표현해 내는 원리로서 기존에 핵심개념으로 강조되어온 사 실에 경험적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무용동작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호흡의 사용법과 호흡훈련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5,100원
        8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dominal muscle plays a crucial role in postural control and respiration control. However,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 in the paretic side of a hemiplegic patient has not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lateral abdominal muscle thickness between the nonparetic and paretic sid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using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Twenty two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bsolute thickness of transversus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was measured at the end of inspiration and expiration during quiet breathing, and relative thickness was calculated (thickness of each muscle as a percentage of total muscle thickness). Ultrasound imaging was recorded thre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determined for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s in absolute and relative lateral abdominal muscle thickness between the nonparetic and paretic side were assessed with paired t-tests. Absolute muscle thickness of the paretic side TrA was thinner than that of the nonparetic side at the end of inspiration and expiration during quiet breathing. Relative muscle thickness of the paretic side TrA was thinner than the paretic side only at the end of expiration during quiet breathing (p>.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 TrA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uring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urther study is needed whether physical therapy intervension will induce TrA thick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n prospective study design.
        4,000원
        8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seroprevalence of PRRSV in breeding farms in Jeju 2008 using a commerci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The tested sera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a total of 1,947 sera from 9 breeding farms unvaccinated in Jeju. As a result, all breeding farms were seropositive for PRRSV. Seven hundred-eighty six of 1,947 sera (40.4%) were positive for PRRSV. Seropositve rate of PRRSV infection in 9 farms showed various levels: 1%, 8.9%, 9.1%, 43%, 46.9%, 48.2%, 51.6%, 60.9%, 85.5%, respectively. The results confirmed that PRRSV infection has been prevailing in breeding farms in Jeju. Also, these results must be taken into a consideration in strategy establishment for the control and eradication of PRRS.
        4,000원
        8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ung and lymph nod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786 pig farms associated with wasting and respiratory syndrome during 2005~2009. All samples were tested for the detec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and the differentiation of its genotype using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643 farms (81.8%) of the pig farms examined were positive for PRRSV, of which 57.2% accounted for PRRSV type 1 and 70.2% accounted for PRRSV type 2. Furthermore, 37.5% of the farms positive for PRRSV, showed the coexistence of two genotyp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RSV infections of single genotype or two genotypes are very common in Korean pig farms.
        4,000원
        8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PRRS) virus causes not only breeding disorder such as abortion, stillbirth and premature birth to pregnant sows but economic damage like high estrous return and low delivery rate. The presented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seroprevalence of PRRS in Jeju herds. PRRS positive rate was examined with pig serum from hog farms located in Jeju. Serum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11 of sow farms and 10 of hog farm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20, 40, 60, 80, 100 and older than 120 days of age and pregnant sows in hog farms. Anti-PRRSV antibody titers in sera were analyzed by ELISA. All the breeding farms and hog farms (10/10) showed PRRS positive except one breeding farm (1/11). Serological patterns determined by ELIS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regardless of whether pigs were vaccinated or not. Nevertheless, the farms unvaccinated pigs displayed low productivity in terms of piglet loss rate and prolonged period of shipment. Therefore, vaccination against PRRSV appears to be a crucial factor in sanitary management of hog farms. Taken together, since PRRSV was spread widely in Jeju already, stabilization of sows by PRRS vaccination after adapting PRRSV free sow by all-in-all-out method in farms is recommended for the control strategy for PRRS.
        4,000원
        8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eaker 단계 토마토의 저온장해 증상은 착색불량과 호흡률 증가 등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이러한 저온 장해 증상과 맞물려 나타나는 이산화탄소 발생 증가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저장 중 원예산물 저온장해의 판단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만들고자 실시하였다. Breaker 단계로 선별된 토마토는 2℃에서 1차로 0, 3, 6, 9일간 2차로 0, 1, 2, 3, 10일간 저장 후 상온으로 옮겨 3, 6, 9, 12, 24, 36, 48시간마다 호흡률을 측정하였다. 저온장해로 인한 토마토 과실의 호흡률은 1일 저장 처리구부터 증가하였으며 저온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생량 증가폭도 커졌다. Breaker 단계 토마토의 과피색은 a* 값으로 나타내었는데 각 기간별로 저온저장 후 상온으로 옮겨 10일째에 측정하였는데 Breaker 단계 토마토는 2일 저장 처리구부터 a* 값이 증가가 둔화되면서 착색불량이 나타났다. 저온저장 기간에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호흡률과 반대로 감소한 a* 값의 상관계수(r)는 0.9716로 1%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Breaker 단계 토마토의 경우 저온 저장후 상온으로 옮긴 직후 이산화탄소 발생 양상으로 저온장해를 미리 진단할 수 있었으며, 그 발생량 증가폭으로 저온장해 정도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000원
        90.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2 protocols recommended to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each protocol included breathing exercises (inhalation-oriented or exhalation-oriented) and facilitation maneuver for the accessory respiratory muscles. Seventee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 randomized these patients into 2 groups: the inhalation-oriented breathing exercise group (IOBEG) and exhalation-oriented breathing exercise group (EOBEG), consisting of 8 and 9 patients, respectively. Patients in the IOBEG performed inspiratory exercises using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breathing devices, while those in the EOBEG performed expiratory exercises using incentive spirometry. All exercises were performed by the subjects twice a day for 4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an average of 20 min. The outcomes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the pre- and post-treatment values of vital capacity (VC),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FEV1/FVC. In the IOBE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pre- and post-treatment values of any of the measured variables (p>.05); however, in the EOBEG, significant improvement was noted in the VC, FVC, FEV1 measured (p<.05) after the treatment. In addition, the rates of change in the values of VC, FVC, and FEV1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2 groups (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OBEs can enhance respiratory function and are clinically feasible i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Further studies will be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se findings.
        4,000원
        92.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postural changes on respiratory muscles and acoustic parameters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Nin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o required assistance when walking were selected. The ages of the children ranged from 6 to 9 years old. The phonation of the sustained vowel /a/ and the voice qualities of each child such as fundamental frequency(F0; Hz), pitch variation (Jitter; %), amplitude variation (Shimmer; %) and noise to harmonic ratio (NHR) were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 The muscle activity of three major respiratory muscles: pectoralis major muscle, upper trapezius muscle and rectus abdorminalis muscle, were measured by examining the root mean square (RMS) of the surface EMG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adjusted sitting posture of each subject. However, the RMS of pectoralis major musc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p<.05).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 Jitter and Shimmer between pre and post posture chan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HR (p<.05). The data were collected in each individual; once prior and once after the sitting posture change. The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test using SPSS version 14.0 for Wind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MS of upper trapezius and rectus abdorminalis muscl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sitting posture changes. From the result, it is concluded that changes in the adjusted sitting posture decreases the abnormal respiratory patterns in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hyperactivity of the respiratory muscles in breathing. Also, there is increased on the voice qualitie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4,000원
        9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당단백질(GP)2, 3, 4, 5, 및 막단백질(M), 그리고 뉴클레오캡시드(N) 등 6개의 구조단백질을 내포하고 있 으며 이들은 각각 ORF2-7 으로부터 암호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 핵다각 체병 바이러스(BmNPV)의 다각체 단백질 프로모터와 6개의 히스티딘 단편이 부착된 새로운 전이벡터인 pBmKSK4를 제작하여 각각의 구조단백질을 발현 시켰다. 목적유전자와 재조합된 전이벡터는 Bm5 세포에 bBpGOZA와 cotransfection 시킨 후, 순수 재조합 바이러스를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발현된 각각의 단백 질은 SDS-PAGE 분석 및 항-히스티딘 항체와 PRRSV 항체를 사용한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N 단백질만이 SDS-PAGE 상에서 발현이 가능하였고 나머지 구조 단백질은 항체수준에서만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P5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발현이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는데, 그 이 유는 GP5 단백질의 Bm5 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추정되었다. 각 단백질 발현 율의 향상을 위해 SUMO 유전자를 도입한 결과, 항원단백질의 발현율이 기존 보다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베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각 구조단 백질의 높은 발현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효과적인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94.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를 받은 토양생태계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토양온도와 수분함량은 완전벌채지 15.3℃, 11.5%, 일부벌채지 14.4℃, 13.5%, 대조구 13.7℃, 14.8%로 나타났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완전벌채지가 2.11~2.64%, 일부벌채지 2.26~3.33%, 대조구 2.27~3.10%의 범위에 있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호흡량은 계절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여름철에 높았으며, 토양온도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토양호흡량은 완전벌채지 0.24, 일부벌채지 0.36, 대조구 0.32 gCO2/㎡/hr로 나타나 소나무재선충 피해목만 벌채한 일부벌채지의 토양호흡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산림토양의 Q10값은 2.39에서 2.68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을 통한 년간 토양호흡량은 완전벌채지, 일부벌채지, 대조구에서 각각 8.1, 15.6, 14.6 tCO2/ha/yr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9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 sports players use dental mouth guards to reduce the risk of orofacial trauma. Althoug mouth guard have been shown to protect against orofacial injury, many players do not use them during training and playing because of discomfort and breathing proble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lteration of respirotory volume during wear the mouth guard. I checked 5 D university male students ventlation with and without mouth guard in steady state. Air flow and volume were decreased during wearing Mouth guards compare to not wering. It suggested that mouth guard would have change the ventilation patterns.
        3,000원
        9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자바틸라피아(체장 10±1.0cm, 체중 173±4.2g)를 사용하여 염분의 변화에 따른 산소소비율, 아가미 호흡수 및 암모니아 배설률을 조사하였다. 담수(0 psu)에서 사육하던 자바틸라피아를 염분 0(대조구), 3, 9. 15, 21 및 32 psu로 이동하였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단계적 인 염분변화는 담수(0 psu, 대조구)로부터 염분을 1일 3psu씩 증가시켜 3, 9, 15, 21 및 32 p
        4,000원
        98.
        2008.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enteeism is an important index that is related not only to health but also to direct daily activities. It may lead to a student's poor educational performance and overall reduction in educational quality. Particularly, diseases causing school absenteeism are important for environmental health of children's study. However only a few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school absenteeism due to respiratory disease have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absenteeism by respiratory disease, using school attendance reports from March 2002 to December 2004. In this study, we counted absenteeism numbers using school absenteeism data from the first to sixth grade and classified absenteeism into illness-related, non-illness-related and respiratory disease-related illness absences. To this end, we used air pollution data (CO, NO2, PM10, and SO2) and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Daily counts of absenteeism were analyzed by Generalized Additive Model after the adjustment of several factors such as seasonal variation, day of the week, and meteorological parameter confounders in a nonparametric approach. For each air pollutant, we analyzed illness-related absences, non-illness-related absences, and respiratory- illness related absences. Then, we considered both influenza and non-influenza related absenteeism type. In illness-related absences analysis, absenteeism risks increased to 1.05(1.02-1.08) for CO and 1.06 (1.02-1.10) for NO2 by each interquartile range change with adjustment for influenza. The risks for respiratory-related absences of CO and NO2 increased to 1.05(1.02-1.08) and 1.04(1.01-1.08), respectively by each interquartile range change with adjustment for influenza. However, in the analysis of non-illness-related absen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isks for the effect of all air pollution. This result shows that air pollution can affect respiratory-related absences and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y against air pollution.
        4,300원
        10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육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CO2(ppm/hr/㎥/병)농도는 증가하였고, 생육단계별로는 생육후기에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품종별로 춘추2호<수한2호<청풍<진미<흑백 순으로 호흡량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육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O2(ppm/hr/㎥/병)소비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생육단계별로 생육후기에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품종별로 춘추2호<수한2호<청풍<진미<흑백 순으로 소비된 O2량이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생육적정 온도인 15℃에서의 호흡지수는 춘추2호가 500일 때, 수한2호 528, 청풍 573, 진미 617, 흑백 634로 신품종의 호흡지수는 춘추2호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