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

        81.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Mokpo middle school. The study is accomplished by the survey which includes a total of 268 inquiry lists sampled from four groups of the middle school, one of which composing of two middle schools having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hereafter referred as 'the case group' and the other group of two middle schools without the curriculum, hereafter referred as the 'the control group'. From the results of the average scores o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ase group showed better knowled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case group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relatively high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attitude(p<0.05), and did not showed signifiant differences in the environmental practice.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the environmental knowledges w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problems (R2=0.130), economic statu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conservations in order. The factor most affecting to environmental attitude and practice were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parents.
        8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래 교육환경에서 요구되어지는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속성을 반영하는 콘텐츠 유형을 도출하고, 통합적 조직을 통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상황맥락형, 에듀테인먼트형, 스토리활용형, 자원기반 프로젝트수행형의 총 4종의 영어과 콘텐츠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학습자의 학습 경험 속성이나 활용 과제 및 자료의 속성, 구현 테크놀로지 속성 등에 의해, 의사소통상황맥락형은 제시형, 체험형, 구성형으로, 에듀테인먼트형은 퀴즈형, 게임형, 다중지능활용 과제수행형으로, 그리고 스토리활용형은 문학작품활용형과 에피소드활용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개념과 세부 형태를 기술하고 개략적으로나마 교수․학습 절차와 단계별 설계 전략을 규명하였으며, 그 적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 유형에 대한 아이디어를 시사하였다. 또한, 도출된 콘텐츠 유형의 통합적 적용을 통해 단원 중심의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구안하고 그 구성 요소별 설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콘텐츠 유형들은 맹목적이고 배타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교수․학습 과정상에서 필요한 맥락에 맞게 각 유형들의 핵심적 아이디어들이 통합적으로 고려되는 설계 전략이 필요하다.
        84.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행 7차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한 몇몇 연구들을 보면, 차기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요구들이 나타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최돈형 등(2004)의 연구와 황경미(2005)의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에서 환경과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목표, 내용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강창동 등(2006)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을 평가하여 차기 교육과정에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최돈형 등(2004)의 연구에서는 현행 7차 교육과정을 몇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황경미(2005)는 교육과정의 기본관점과 목적 부분에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강창동 등(2006)은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각각의 연구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8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주의 역사 150억년을 1년으로 축소했을 때 인간이 만들어낸 역사는 불과 1초에 불과하고, 200만년에 걸친 인류의 역사를 30분으로 축소해서 생각한다면 현대 산업 사회가 시작된 것은 마지막 1초 이내이다(Allen, 1992; 최돈형, 2006). 이 짧은 시간 동안 인간은 대량 생산과 소비를 통하여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그 결과 자원 고갈, 환경오염, 멸종위기 생물 증가, 기후변화 등의 많은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의 부작용으로 곳곳에서 크고 작은 환경 문제가 6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환경문제의 근본적 예방과 해결을 위해 교육적 접근이 중요하게 언급되었고, 국제적 수준에서 72년 유엔인간환경선언, 75년 베오그라드 헌장, 77년 트빌리시 환경교육에 관한 정부간 회의를 통하여 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논의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Environmentally Soung and Sustainabel Development: ESSD)'의 부각으로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의 학교환경교육에서는 4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어 5차 교육과정에서 분산적(융합) 접근이 시도되었으며, 6차 교육과정에서 환경과가 독립하여 중등학교에서 절충적(융합과 삽입) 접근을 시도하는 등 현재의 7차 교육과정까지 환경과가 독립교과로 운영되고 있다. 환경과의 독립 당시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과목이라는 점과 한국 최초의 신설 교과목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었는데,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입시체제의 한국적 교육 상황과 분과적 교과교육 현실 등의 어려운 문제에 부딪쳐 있는 실정이다(황경미, 2005; 한면희 외, 2003; 이학동 외, 1996). 최근 개정에 대한 기대와 사회적 변화에 따른 반영, 7차 교육과정 자체의 결함 개선,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대한 대비를 목적으로 차기 교육과정이 발표되었다(허경철, 2005). 6차와 7차 교육과정을 거쳐 논의된 환경과의 가능성과 현실적 문제가 새로 개정된 차기교육과정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환경교육이 차기 교육과정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의의를 분석하도록 한다.
        8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planting status of landscape plants and elem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spite of long historical background of school, this type of research was seldomly conducted before as innovation strategy of univer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design criteria of school to offer the new concept of eco-friendly design and analyzing plants species or compatibility of plants with surroundings. The natural environment was analyzed and light environment was specially investigated to compare the ability of plants. The current situation and compatibility of plan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ite and species. So, the result of the study should be implemented as valuable resources for improving the landscape spaces and plants of school in the future. The landscape design includes the followings: a survey of the present status, a site analysis, s schematic design, and the needs of students for design development. To create the landscape spaces, we proposed school spaces by the concept of eco- friendly of nature image. The university space was designed to have educational spaces like safety, green amenity and rest areas for the students which are designed to be harmonious with other surroundings. Based on that, some of the university space was specially proposed with CAD imagination work and all the results were accomodated under the concept of new strategy of university innovation for the future. Through the university space designed by this study, the university students ,faculties and other dwellers around university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nature and increase the value of university effectively.
        88.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환경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담당하는 공무원의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 및 교육훈련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공무원의 환경교육훈련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대상은 중앙 및 지방 환경관련부서에서 환경과 환경문제와 관련된 정책수립 및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 2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영역 4문항,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영역 6문항, ‘환경교육훈련의 실태 및 문제점’ 영역 13문항, ‘환경교육훈련의 개선방안’ 영역 4문항 등 총 2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환경관련부서 공무원들은 전반적으로 환경문제 및 환경문제의심각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환경보전은 인간과 환경과의 조화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견해가 많았다. 둘째,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면에서는 공무원에 대한 환경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환경교육에 대한 참여 의지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실적으로는 공무원에 대한 환경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셋째, 환경교육훈련의 실태 및 문제점에서는 환경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공무원이 63.4%로 그 비중이 그다지 많지 않았으며 환경교육을 받은 기관으로는 교육훈련기관이 가장 높게 나타나 대부분 교육훈련기관을 통하여 환경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훈련의 교육과정 및 내용에 대하여는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전문교육의 부족을 첫 순위로 뽑고 있어서 전문분야의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확대․신설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환경행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공무원 환경교육을 제고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관련부서 및 일반 공무원들의 충실한 환경교육을 위해서는 환경교육훈련기관 및 교육인원의 대폭적인 확대가 매우 필요하다. 둘째, 환경교육훈련의 교육과정 및 내용은 실제 업무에 적용․응용할 수 있는 실습, 체험 위주의 우수한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경관련부서 공무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하여 환경교육을 종합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는 전문적인 환경교육연구센터(가칭)의 설립이 필요하다 하겠다.
        89.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Mokpo city has been don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of student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Only 2 of the 14 middle schools have chos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s a required subject. The majority of middle-school students in Mokpo city have learn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subordinate course include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al science or technolog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done mostly through non-subject activities such as club activity, group work etc. The survey shows that almost all students think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serious problem(83% of respondents) and they are especially interested in separate garbage collection(72%)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63.9%)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students(57.7%) has increased after environmental education regardless educational methods or subjects. The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not been carried out enough and almost all of them(68.4% of students, 97.5% of teachers) agree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done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order to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ies should be given dur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other subjects to be taught independently. Moreover, it might be necessary to increase proportion of teachers in environmental disciplines an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91.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의 질은 수업의 질에 달려 있고, 수업의 질은 교사의 질에 달려 있다. 즉,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성공적인 환경교육의 핵심은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달려 있다(Jegede & Taplin, 2000; Kirk & Macdonald, 2001). 제7차 교육과정의 환경교육 성격과 목표(최돈형, 이향미, 진옥화, 2005a) 및 내용(최돈형, 이향미, 진옥화, 2005b), 교원 양성 대학의 환경과 교육과정(최돈형, 2004), Hungerford(2002)의 환경교육 목적 수준을 근거로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의 범주를 살펴보면, ‘교육전문가적 소양’과 ‘환경전문가적 소양’의 2개 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그 하위 구성 요소로 각각 7가지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부(2005)에 따르면 2004년 현재 중등학교에서 환경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 1,739명 중 환경 부전공자는 572명(32.9%)이고 전공자는 58명(3.3%)으로서, 환경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가 64% 정도에 이른다. 이러한 체제에서 교사들이 환경소양을 갖추고, 이를 환경교과에 대한 통합교육적인 이론 체계와 전문적 지식을 충분히 갖추기를 기대하는 것은 큰 무리가 있다. 이는 환경교사들이 스스로 환경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에 대한 자신감을 갖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남상준, 1995; 최운식, 2000). 중등학교에서 환경 과목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분산형으로 모든 과목에서 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교사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의 교사가 환경에 대한 기본적 소양을 갖추어야 한다. 환경에 대한 소양을 갖추지 못한 교사는 교과서에 비록 환경에 관한 내용이 있더라도 형식적으로 지나칠 가능성이 높고, 환경교육의 특성과 목적 및 내용 등의 측면에서 환경 담당 교사와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즉, 초등학교에서는 분산형으로, 중등학교에서는 절충형으로 환경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므로 환경과는 물론, 모든 교과에서 질 높은 환경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교사들의 환경 소양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환경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최돈형 등, 1992; 김인호 등, 1995; 박종윤과 최경희, 1997; 윤기순 등, 2001; 황수영과 남영숙, 2001; 이성희와 박상규, 2002)에 의하면, 환경교육에 관한 교사 연수가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연수내용이 환경오염 및 환경보전과 대책 영역에 치우쳐 간학문적이고 다학문적인 접근이 필요한 환경교육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수방법이 대부분 강의중심․환경지식 전달위주여서 전반적으로 환경교사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환경교사 연수 체제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환경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개발 노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환경교사 연수 프로그램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서 최신의 환경교육 이론을 근거로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기 위한 기초연구, 이를 근거로 한 새로운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 개발된 교사연수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보급하기 위한 일련의 환경교사 연수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에는 초․중등 학교현장의 교사, 대학 및 연구소의 환경교육 전문가, 환경교사 연수전문가, 민간단체(NGOs)의 환경교육 전문가, 시도 및 지역교육청의 환경교육 담당자, 지역이 있는 기업의 전문가 등이 주요 인사로서 포함되어 상호 협력체를 이루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중심대학: 교사연수기관)-지자체(지역 교육청)-각급학교(초․중등학교)-NGOs(민간단체) 등을 연결하여, 초․중등교사의 환경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교육 연수 시스템 및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방안을 탐색하고 제안하는데 있다.
        96.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Interior landscape design was proposed for the high school culture center in mansu- dong, Incheon. Today users of culture center ask plans for improving the indoor spatial quality of their school environments. Indoor to meet the user's needs, various effeorts and works should be implemented as soon as feasibl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to high school student by the creation educational space Recently one of the mainstream design approaches in space emphsizes to be synchronized with the nature and its basic attitude is the revival of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covers the following: a survey of the present status, a site analysis, a schematic design, and design development. To create the interior landscape space , the sit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at, we proposed educational space b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hich transform plan into the system of nature image. The high school space is designed to have educational spaces like water space, voice space, color space and the sense of smell space which are designed to be flexible in accommodating different time and events. We found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organize environmental art program in the interior land sacape space. Through the high school space created by this plan, the high school student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It aims to prove the fact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s the design which connect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space with natural environment.Key word; interior landscape design, highschool, environmental art education
        97.
        200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ving the Seorak mountain National Park as an object of study, this research grasps the problem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observatories through the awareness investigations of visitors towards the function of environmental observatories made by the e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 questionaire has been conducted for 26 days, starting from the 25th October 2002, directed towards 100 visitors to the Seorak mountain National Park about the maps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usage ofthe environment observatory and explan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general satisfaction on the environmental observatories are valued very negatively. This informs us that the present environmental observatories under the environment education are not fullfilling entirely their functions. Supporting itself upon the basis of the visitors' questionaire,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he resolution of the present problems having as an object of study the scenery and cultural resources present in the Seorak mountain National Park, and proposing an entertaining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environment observatory’s constitution.
        9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TO체제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친환경농업을 추진해온 우리나라 농업은 환경오염의 경감과 농업의 다원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친환경농업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며 이를 대학 교육에서 담당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4개 사례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 결과 한국의 농학계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교육은 대부분의 대학이 대학의 명칭이나 학과의 명칭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생명, 자원, 환경을 포함시키고 교육 목표에서도 환경과 관련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