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81.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caught in the East Sea, Korea was describ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 different kinds of mesh size (39.4, 45.5, 51.5, 53.0, 57.6mm)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06 in spawning season. The catch was mostly Japanese sandfish (93.3%) and some others (6.7%), and almost all of the female Japanese sandfish were larger than the fork length at 50% maturity (16.7cm). The selection curve for the female Japanese sandfish caught from the experiments was fitted by the Kitahara's method to a polynomial equation which was s(R)=exp{(0.2584R3-5.3445R2+32.269R-59.868)-0.6585} where R=l/m, and l and m are fork length and mesh size, respectively.
        4,000원
        82.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mesh selectivity and optimum mesh size of gill nets for silver promfret Pampus argenteus,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during June 27th to July 3rd, 2005 at the coastal area of Imja island. The experimental gill nets for silver promfret were used in two set, which one set was consisted of 12 sheets, and each set was connected alternatively four defferent sheets those were 141mm, 148mm, 155mm and 164mm in mesh size. The analysis of mesh selectivity curve was done by Kitahara's method. The total number of fishes caught by experimental fishing of gill nets for silver promfret was 1,409, and it was consisted of 1,022 silver promfrets(72.5%), 123 croakers(8.7%), 70 red tongue soles(5.0%), 67 blue crabs(4.8%), 22 red seabreams(1.6%), and 105 other fishes(7.4%). The number of fishes caught by the mesh size was 244 at mesh 141mm(mean 6.8/sheet), 261 at mesh 148mm(mean 7.3/sheet), 295 at mesh 155mm(mean 8.2/sheet) and 222 at mesh 164mm(mean 6.2/sheet). The body weight of fishes caught by the mesh size was 102.1kg at mesh 141mm(mean 2.8kg/sheet), 112.9kg at mesh 148mm(mean 3.1kg/sheet), 132.8kg at mesh 155mm(mean 3.7kg/sheet), and 100.4kg at mesh 164mm(mean 2.8kg/sheet). The value of maximum l/m on mesh selectivity curve and the value of l/m on the selection range of 50% was estimated at 1.91 and from 1.63 to 2.23, respectively. Therefore, the optimum mesh size of gill nets for silver promfret was estimated 135mm, and the total length at the selection range of 50% was from 220mm to 301mm. But, it will be useful to use the mesh size of gill nets which is about 10-15% larger than the estimated optimum mesh size of gill nets considering the number of fishes caught, body length and body weight etc.
        4,000원
        8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성 구조물은 축강성은 강하고 휨 강성이 매우 작은 재료를 주 구조재로 사용하므로 초기강성에 매우 민감한 구조체이다. 막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초기장력 도입으로 인한 구조물의 형상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모형을 통한 모델링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형상해석이 요구되며, 초기장력의 도입으로 형성되는 막 구조물의 곡면은 일반적으로 등장력 곡면이다. 따라서 연성 구조물의 해석과 설계는 기존의 강성구조물과는 다른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재단도 작성 및 시공해석의 3단계 해석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재단도 작성 프로그램 NASScut를 이용하여 경계면 곡률의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삼각형 Re-mesh 패턴을 제안하고, 재단도를 작성한다.
        4,500원
        84.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from August 13 to October 13 in 2002, using gill nets of different mesh size(30, 33, 35, 37, 39 and 42mm) constructed from two kinds of twine material(monofilament, twisted multifilament nylon web). The relative efficiency of two material gears was expressed as the ratio obtained by dividing monofilament catch by multifilament catch in number. The master selection curve of each material gear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The catch of experimental gears is mostly Pacific saury(98.6%), Cololabis saira. The kinds of bycatch are common squid(0.7%), Pacific mackerel(0.6%), etc. Catch comparisons in the two gears showed that monofilament nylon nets are 1.7 times more efficient. The optimum values in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Pacific saury are 8.28 and 8.23, respectively.
        4,000원
        85.
        200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sh selectivity of drum net traps for Buccinum opisoplectum Dall caught in the eastern sea of Korea was described. Sever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between July 2003 and March 2004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as fitted by SELECT (Share Each Length class's Catch Total) model with unequal fishing and sampling efforts. The selection curve was determined to be 'estimated fishing efficiency' by model deviance rather than AIC. However the fishing efficiency between 20mm and 35mm mesh size did not seem to be different. The L50 lengths of the selectivity for the 55mm and 75mm mesh size were 65.4mm and 96.0mm, respectively.
        4,000원
        86.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안의 연안성 어족인 빨간횟대에 대해 망목크기 등을 달리한 8종류의 장구형 통발을 사용하여, 2003년 6월부터 12월까지 총 6차례에 걸쳐 어선 2척을 용선하여 조업한 어획실험으로부터 망목선택성 곡선을 구하여 합리적인 자원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하고자 하였다. 망목 크기가 20mm와 35mm인 두 통발의 빨간횟대 어획물로부터 체장에 따른 어획비율의 차이에 대해 특별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망목 크기가 20mm와 55mm인 두 통발의 경우에 대해 SELECT방법을 이용하여 equal split model 과 estimated split model을 적용한 결과, AIC 값이 적은 전자가 더 적절한 모델이므로, 빨간횟대의 경우는 이들 두 통발에 대한 입망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목 55mm의 통발에서 SELECT 모델로 구한 50% 어획될 빨간횟대의 전장은 22.0cm였다. 망목 크기가 20mm, 35mm, 55mm인 통발의 어획 자료에 Kitahara의 방법으로 logistic식을 적용하여 추정된 선택성 곡선식은 와 같았고, 현재 규정 망목 크기인 35mm 장구형 통발에 대해 50% 어획될 빨간횟대의 전장은 21.4cm이었다.
        4,000원
        87.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뿔고동(통칭 소라) 통발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 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2003년 6월 27일~6월 29일까지 전북 군산시 말도 인근 해역에서 시험조업을 실시하였다. 시험어구는 망목 35mm, 50mm 및 65mm의 3종류의 그물감을 씌운 통발을 교호로 각각 70개씩 210개를 1개조로 구성하여 2개조를 사용하였으며, 망목선택성 곡선의 분석에는 Kitahara(196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뿔고동 통발의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1,682마리였으며, 피뿔고동 1,268마리 (75.4%), 배꼽고동 225마리 (13.4%), 쥐노래미 113마리 (6.7%), 기타 76마리 (4.5%) 등이었다. 2. 피뿔고동의 최대 각고/망목(max. 1/m)의 값은 1.79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각고/망목(max. 1/m)의 값은 1.79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각고/망목(1/m)의 값은 1.24~2.72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선택폭은 1.48이었다. 4. 피뿔고동의 어획금지체장(각고) 50mm에 대한 적정 망목은 40.3mm로 추정되었으며, 피뿔고동의 50% 선택각고 범위는 50.0~109.6mm로 나타났다.
        4,000원
        88.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어 자망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 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구 임자도 인근의 해역에서 2002년 8월 10~8월 14일 및 2003년 8월 10일~8월 17일까지 시험조업을 실시하였다. 시험어구는 망목 129mm, 135mm, 144mm 및 150mm의 4종류의 자망을 각각 1폭씩 교호로 연결해서 12폭을 1조로 구성하여 2개조를 사용하였으며, 망목선택성 곡선의 분석에는 Kitahara(196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민어 자망의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719마리였으며, 민어 526마리 (73.1%), 꽃게 168마리 (23.4%), 병어 17마리 (2.4%) 기타 8마리 (1.1%) 등이었다. 2. 망목선택성 곡선의 추정에서 최대 전장/망목(max. 1/m)의 값은 6.91으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전장/망목(1/m)의 값은 5.62~8.03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선택폭은 2.41이었다. 4. 민어 자망의 적정 망목은 약 142mm로 추정되었으며, 민어의 50% 선택체장 범위는 798~1,140mm로 나타났다.
        4,000원
        89.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우조망 끝자루의 망목선택성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은 여수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2002년 10월 중에 끝자루의 망목을 28, 38, 51 그리고 61mm로 구성하여 덮그물 방식으로 각각 5 회씩, 총 20회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실시하였다. 주 어획대상 어종인 수염대롱새우의 끝자루 망목별 어획률과 망목선택성 곡선 S=1/(1+exp-αCL+β))의 기울기 (a)와 절편 (b) 및 선택계수 그리고 표본망목선택성곡선 S=1/(1+exp(-α(CL/M)+β)))의 기울기(a)와 절편 (b) 및 적정망목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조업 결과 어획미수는 끝자루 11,504마리, 덮그물 12,879마리로 총 24,374마리, 313.1kg이 어획되었고 종별구성은 새우류, 어류, 게류, 연체동물 순이었으며, 부수 어획물은 어류의 자치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끝자루 망목 28.0, 38.0, 51.0, 61.0 mm에 어획되는 대롱수염새우의 어획률은 각각 0.72, 0.63, 0.46, 0.29로 나타났다. 3. 끝자루 망목 28.0, 38.0, 51.0, 61.0 mm에 대한 선택성곡선의 a와 b 값은 0.53 -12.65, 0.35 -9.40, 0.28 -8.97과 0.24 -8.27이었고, 선택계수는 0.85, 0.71, 0.62, 0.55이었다. 4. 표본망목선택성곡선의 기울기(α)와 절편(β) 값 은 8.44, -5.49이었고, 대롱수염새우의 최소성숙갑각장 20.6 mm에 대한 적정망목은 30.7 mm, 상품(上品) 최소갑각장 25 mm에 대한 적장망목은 38.5 mm로 나타났다.
        4,000원
        90.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서 2000년 8월 10~13일, 11월 9~13일 (18회), 부산 수영만에서 2001년 6월 1일~27일(21회), 시험조업을 행하였다. 또한 주문진 해역에서는 60, 75, 90 105, 135, 150, 180mm의 7가지의 삼중자망으로 조업하였고, 수영만에서는 60, 75, 90mm의 삼중자망과 홑자망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망목 선택성 곡선의 분석은 전체 어획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ster curve의 다항식이 포함된 Kitahara(1968)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어획미수는 삼중자망이 2,331미였고, 홑자망이 1,433미였으며, 가자미류가 59.8%~60%였다. 2. 최적 l/m값은 삼중자망이 2.56이었으며, 흩자망이 2.47로 삼중자망이 약 0.1 정도 크게 나타났다. 3. 50% 선택구간은 삼중자망이 1.88~3.36(1.48)로 나타났으며, 홑자망은 2.00~3.02(1.02)로 삼중자망이 약 1.5배 정도 넓게 나타났다. 4. 가자미의 최소성숙체장 265mm에 대한 적정망목은 삼중자망이 약 141mm, 홑자망이 약 132mm로 삼중자망이 약 10mm 정도 크게 나타났다. 5. 적정망목을 사용했을 경우 50% 선택 체장범위는 삼중자망이 265mm~474mm, 흩자망이 265mm~398mm로 삼중자망의 체장범위가 76mm 정도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Bubble Mesh 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최적 절점생성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Element-free Galerkin 방법에 적용하였다. 무요소방법에서 제안된 일반적인 적응적 절점배치방법의 경우 적분격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 절점의 분포가 평가된 오차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불균등한 세분화로 인해 주변 절점분포와 급격한 절점밀도의 차이를 보이게 되어 추가적인 해석오차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된 오차의 분포와 적분격자를 따라 구성된 불균등한 초기절점배치를 최적삼각격자 구성기법인 Bubble Mesh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화 시키는 적응적 절점구성기법을 제안하였다. 절점의 불균등한 배치에 따른 추가적인 오차의 발생현상을 보이기 위해 1차원 문제를 해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Bubble Mesh 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무요소해석법의 적용성을 보이기 위해 2차원 문제를 해석하였다.
        4,000원
        93.
        200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dvent of robust, reliable and accurate higher order Godunov schemes for many of the systems of equations of interest in computational astrophysics has made it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o solve them in multi-scale fashion. This is so because the physics associated with astrophysical phenomena evolves in multi-scale fashion and we wish to arrive at a multi-scale simulational capability to represent the physics. Because astrophysical systems have magnetic fields, multi-scale magnetohydrodynamics (MHD) is of especial interest.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general issues in adaptive mesh refinement (AMR), We then focus on the important issues in carrying out divergence-free AMR-MHD and catalogue the progress we have made in that area. We show that AMR methods lend themselves to easy parallelization. We then discuss applications of the RIEMANN framework for AMR-MHD to problems in computational astophysics.
        4,000원
        94.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균열의 특이성과 불연속성을 Element-Free Galerkin(EFG) 법에 반영하기 위해 특이기저함수를 포함하는 확장항을 기존의 EFG 근사함수에 추가하고 균열면을 가로지르는 형상함수 구성시 불연속함수를 적용한 향상된 EFG 균열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EFG법이 균열선단주변의 특이응력장을 표현하기 위해 상당한 절점추가를 필요로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은 절점의 추가나 해석모형의 수정이 필요 없다. 또한, 기존의 확장근사함수를 사용하는 EFG법이 계방정식의 크기를 상당히 증가시키는데 반해, 개선된 EFG 균열해석기법은 확장근사함수를 적용범위를 국소영역으로 제한하여 계방정식의 크기증가를 최소화하고서도 정도 높은 수치해를 얻었다. 수치예제는 제안된 기법의 향상된 면모와 효율성을 검증하여 준다.
        4,000원
        96.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대 3중자망의 망목 선택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각각 3가지 종류의 망목(70.5mm, 86.6mm, 101mm)으로 구성 된 자망 및 3중자망을 사용하여 1999년 5월부터 8월까지 전남 여수시 돌산도 연안에서 총 30회의 실험조업을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망목 선택성 곡선은 개서대를 대상으로 Kitahara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용어구 규격인 3중자망(내망 망목 70.5mm망)의 어획비율은 39.0%로, 자망 15.8%에 비해서 약 2.5배 높았다. 2. 3중자망의 선택률이 1이 되는 최적 l/m값은 3.51로 자망 3.38에 비해서 약 0.13 높게 나타났다. 3. 3중자망의 낮은 체장계급에서의 선택성은 자망과 비슷하였으나, 높은 체장계급에서의 선택성은 자망에 비해서 떨어졌다. 이 때 3중자 망의 50% 선택 구간은 1.33으로 자망 0.83에 비해 1.5배 넓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서대의 경우 3중자망은 자망에 비해 어획성능이 우수하고, 망목 크기를 조절함으로서 대상 어종의 어획 체장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변형 쉘 구조물에 효과적인 적응적 유한요소 자동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사후 오차평가에 기초하여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시 각 하중 단계에서의 요소 재생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응력오차로부터 얻어진 요소크기 함수로 등고선을 구성하고, 요소 재생성 기법으로 advancing front method의 일종인 패이빙법(paving method)을 이용하여 적응적 요소 자동생성을 수행한 결과,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9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 하코네지구의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내에 건축물이 건설될 경우 조망경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사와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GIS와 MESH 분석을 통하여 11개의 경관타입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건축물이 경관에 미치는 여향의 정도는 Y=0.47X+32.652(Y는 자연성의 평가치, X는 시거리, R2는 0.877)의 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조사지역에서 건축물의 신축이 지역경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체계적인 경관관리를 위한 자료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9.
        1997.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developed a cosmological N-body code which can simulate unprecedently large number of massive particles. This code is based on the Particle-Mesh scheme, and utilize the recent fast I/O devices to swap all variables. Using the new code we have simulated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structures at high redshifts in the standard Cold Dark Matter (CDM) cosmogony. A simulation evolving 1024^3 particles on a 2048^3 mesh with the initial standard CDM power spectrum is being made. This is the first billion particle cosmological simulation with initial conditions representing the theoretical model over the widest range of space. A smaller, but still very large CDM simulation with 512^3 particles on a 1024^3 mesh has been completed. We have found that the galaxy-scale CDM halos with diameters of tens of kpcs undergo complete collapse before redshift 10. Our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galactic and subgalactic structures have formed far before redshift 5 which is the present upper limit to the epoch of observed structures. We emphasize that the non-linear evolution of the galactic and subgalactic-scale structures starts as early as z ~ 50, and that cosmological simulations must start at such high redshifts. A high mass resolution is also indispensable to accurately represent the theoretical model in the initial conditions down to subgalactic scales, and to correctly study the subsequent formation and evolution of structures through hierarchical clustering.
        4,000원
        10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보나 아치, 판재 그리고 쉘과 같은 박판구조물의 경계부근의 매우 좁은 영역에는 경계층이 존재하는데, 이 영역에서 해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이 거동을 나타낸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물체의 거동을 해석하는 경우, 이런 특이성을 묘사하기 위해 유한요소 체눈패턴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논문은 경계층에 대한 이론적 해석과 최적의 체눈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또한 이론적인 결과를 입증하는 예제도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