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8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in relation to early growth and inorganic elements i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Chung Chi Ma’). In morphological changes of leaves, shoot elongation and hypocotyl length showed poor growth in red light irradiation, while the red+blue light irradiation induced shorter plant height and much greater leaf numbers resulting in increased fresh weight. In change of the Hunter's color and SPAD values, lettuce seedlings grown under in red+blue and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had a higher a* value, otherwise SPAD values were not changed in these light irradiations. Interestingly, relative chlorophyll contents showed 1.8 times increased redness in the treatment of red+blue light irradiation. Inorganic element (N, Ca, Mg, Mn, and Fe) and ascorb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in lettuce plants grown under LEDs light irradiation compared to those of lettuce grown under the fluorescent light which showed higher P and Mn content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red+blue light irradiation which stimulates growth and higher nutrient uptake in leaf lettuce could be employed in containers equipped with LEDs.
        85.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마음료를 제조시 첨가물로 천마 추출액을 달리하여 제조한 pH, 당도, 색도, 총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무기질 함량, 관능 검사를 분석하여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천마음료 제조 시 GCE 5(Brix 천마 농축 추출액), GCE 10(Brix 천마 농축 추출액), GCE 15(Brix 천마 농축 추출액), GCE 20(Brix 천마 농축 추출액)으로 나누어서 제조하였다. pH는
        86.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세천공 포장재가 신선절단 사과의 품질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형사과(Malus domestica Borkh. cv. Red Delicious)를 제심, 절단한 후 레이저로 미세공을 하나 천공한 것과 천공하지 않은 polyolefin 필름으로 밀봉 포장하고 에서 3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품질 특성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절단사과의 과육경도는 저장 1주 후부터 천공포장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은 보였고,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
        88.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거창과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로 20대부터 60대까지 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MA 필름으로 포장한 포장구 사과와 포장하지 않은 대조구 사과의 신선함, 단맛, 신맛, 향미, 아삭거림, 씹힘성, 구매의사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20대에서 신선함, 아삭거림, 씹힘성과 구매의사에서 대조구보다 포장구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0대는 신선함, 신맛, 향미, 구매의사에서 40대는 향에서, 50대에서는 단맛과 향에서만 대조구보다 포장구의
        89.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무의 이화학적 특성에 볶음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율무를 에서 각각 20분씩 볶음처리를 하거나 무처리 후 분말과 율무침출액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말의 L값과 a값은 볶음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와 증가하였으며 특히, 에서부터 큰 폭의 변화를 보였고, b값은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분말의 흡습 속도와 능력은 볶음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율무 침출액의 갈변도는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
        90.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서 수확한 대추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각각 30, 두께의 LLDPE필름, 기능성 MA 필름을 사용하여 이를 대조구와 포장구로 나누어 실온 및 에 10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량은 상온 저장 포장구는 3.6%, 0.4%, 대조구는 36.1% 감소하였고, 저온 저장 대조구에서는 10배 이상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높았다. 산도변화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포장구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말기에는 포장구가
        91.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딸기를 와 의 용액에 각각 15분간 침지시킨 후, PE film (0.011mm)으로 포장한 군과 포장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에 저장하였다. 그리고 , 용액에 침지시키지 않고 PE film(0.011mm)으로 포장한 군과 포장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에 저장하였다. 용액에 침지시킨 후 포장한 처리구에서 부패율은 낮고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타민 C함량이 높았고 외관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처리군에 비해 pH가 낮고 산도
        93.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yield in the cultivation of Job's tears.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Job's tears.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Wp, 75%, chlorothalonil Wp, 75%, dithianon Wp, 43%, difenoconazole Wp, 10%, benomyl Wp, 50%, and propineb Wp, 70%. Dry seed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Wp, 75% (33g/20l),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and control.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Job's tears.
        94.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MA 포장에 의한 저장 후 품질의 변화를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기 위하여 저장기간별로 24주까지의 중량, 경도, 산도, 당도, 부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저장 20주후 중량 감소는 대조구는 , 포장구는 로 현격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경도는 저장 24주후 대조구는 0.64 kgf, 포장구는 0.61 kgf로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며, 당도는 저장 24주후 대조구는 , 포장구는 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산도 역시 저장 24주후 대조구 , 포
        95.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의 호흡속도 측정 및 MA 포장 저장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호흡속도는 2에서 산소소비속도 28.9∼161.4mgO/kghr로 나타났으며 이산화탄소방출 속도는 53.4∼166.9mg/kghr로 나타났다. 산소소비속도와 이산화탄소발생속도를 반응표면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느타리버섯의 저장 가능 기체조성을 예측한 결과 2.5∼4.5% 와 11.5∼l3%로 나타났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0.03mmLDPE의 경우 농도 1.6∼3.0%, 농도 3.9
        96.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홍고추 및 생홍피망의 장기저장 방법으로 HDPE 및 LDPE포장내에 시료와 함께 서로 다른 양의 NaCl을 삽입함으로써 MA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HDPE 및 LDPE 포장내의 NaCl 함량은 0 g, 15 g, 20 g, 25 g이었으며, 대조구로 무포장이 사용되었다. 홍고추 및 홍피망의 각각 50일 및 35일간 MA저장 동안 주기적으로 중량 변화와 곰팡이 발생율을 조사하였고, 저장 초기와 말기에는 색도와 경도를 측정·비교하였다. NaCl을
        97.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느타리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해 PVC wrap과 20 Polyolefin계열의 PD941 필름을 이용하여 밀봉한 후 저장온도 , 5, 1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속도가 빠르며, 중량감소율은 저장온도 , 5, 1에서 Polyolefin계열의 PD941 밀봉포장이 PVC wrap 포장보다 중량감소가 훨씬 적었다. 포장내 가스농도중 농도는 PVC wrap포장과 Polyolefin계열의 PD941
        98.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MA) storage for fresh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investigated with storing in polyethylene film with various fine holes. During the storage of the both pepper fruits, the weight loss, color change, mold emergence, and firmness were evaluated. The weight loss of pepper fruits packaged without holes on film was less than 3%, even though it was each 50% and 25% for non packaged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The rates of mold emergence of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reached to each 60% and 50% at the end of storage period as stored in film without holes. However, the rate of mold emergence of pepper fruits was lowered when fruits were stored in MA with low relative humidity (70∼80%). The color and firmness of pepper fruits were not much changed when fruits were stored in MA with high humidity.
        99.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율무 종자소독제인 Fludioxonail 10% 종자처리 액상수화제의 침종기간이 발아율 및 병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시내 실험에 있어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발아율이 93.8%로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부패율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폿트 및 포장시험에서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출현율이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입고병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심해지는 경향 이었다. 포장재배에서 생육상황은 약제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0a당 조곡 수량은 무처리 194kg에 비해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구와 6일 종자소독구에서 26%~27% 증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율무의 출현율향상 및 병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3일간 종자소독 후 3알 침종처리 또는 6일 종자소독이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100.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xtend the shelf-life of red chili pepper, MA and CA technology were used. In MA storage, red chili peppers(Jinmi and Jangkun) were packaged in 0.03 mm PE film bags(3 kg/bag) having two holes(2~3 cm) at 2~3C or 7~8C. In CA storage, red chili peppers(Jinmi) were stored on following gas composition; 5 or 10% CO in combination with 2 or 5% O at 2~3C, respectively. The changes of weight loss and decay rates during MA storage were less in Jinmi than in Jangkun and less at 2~3C storage(except O 5%, CO 10% condition) while in CA it decreased after 40 days of storage. Red chili peppers would be stored for 30 days when stored in MA conditions(0.03 mm PE film bag) and for 60 days when srored in CA condition on O 2%, CO 10% based on overall quality of sensory evalu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