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53

        10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경수목 유지 및 관리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조경공사 표준시방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각 조사 대상지의『전체공정표』와 『조경식재 공사 하자현황 및 처리방안』보고서를 분석한 내용과 비교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참고하였다. 첫 번째 문제는 수목 식재 적기를 고려하지 않는 시공일정으로 인한 부적기 식재이다. 두 번째는 배수 와 관수의 불량이다. 생육상태가 좋지 않은 수목에 적절하고 충분한 관수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시공 이전 배수로 관리나 시공 이후 관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세 번째 는 경제적, 시간적 문제로 발생하는 수목 식재의 변경과 재이식이다. 네 번째는 공사현장의 구조적 문 제로 발생하는 불충분한 식재기반 조성이다. 현장에서 수목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하자율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정부지침은 식재 수목에 관한 상세한 내용들을 담고 있으나 조경 시공사가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은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식재의 반입 기준이나 자재관리, 식재시기, 토양관 리 등의 지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경시공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시공기간을 충분히 제공받아 야 한다. 본 연구는 공사현장 및 공사과정의 현실적 이해를 더 높이고 정부의 지침과 현실적인 문제 사이의 간극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추후 정부 지침의 보완하여 조경 현장여건을 적극적으로 반영하 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4,500원
        10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 압력이 심화되면서 전통마을의 축적된 고유의 주거건축 기법과 관련된 경험, 방법, 창조적 지 혜, 그리고 건전한 삶의 방식도 함께 쇠퇴하고 있음은 매우 안타까운 현상이다. 본 연구는 중국 주하이 시 탕자완(唐家灣)지역의 전통마을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마을 지역의 저탄소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향촌진흥 전략’의 촉진을 목표로 한다. 영남(嶺南) 민가 주거용 건물의 기후 적응성에 주목하여 통풍과 단열 개선 그리고 태풍 위협에 대한 저감기법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IRVIL과 HTB2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기법을 결합하여 3개 민가 유형별 기후 적응공 간 개선방법을 논의함으로써 전통마을 주거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에너지 소비 증가로 인한 주거환경 의 쾌적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 및 운영개념을 제시하였다. 전통마을의 패턴과 건축 디자인 방안을 모색한 본 연구가 향후 전통마을의 생태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공간 형태별 기후적응성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4,000원
        10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 지역의 전통 생활문화를 담고 있는 부안군 위도면 진리 소재의 원당과 당숲을 대상으로 문화적 및 식물생태적 현황을 분석하고 당숲의 생태적 및 문화적 보전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팔작지붕 형태의 원당은 잘 보존되어 있으나 당제(당굿)은 10여 년 전부터 중단된 상태이다. 진 리 원당의 주변에는 약 8,000㎡규모의 숲이 형성되어 있으며, 숲에는 모두 58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특히 진리 당숲은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동백나무, 센달 나무 등이 상층 수관을 형성하는 상록활엽수림이다. 당숲은 크게 후박나무-팽나무군락, 붉가시나무 -후박나무군락, 곰솔-아까시나무군락의 3개 대표군락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교목층과 관목층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가 우점하고 당숲에는 39그루의 노거수가 자라고 있다. 위도 진리 당숲의 생태적 및 전통 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당숲의 문화재 지정, 진리 원당제의 복원, 상록활엽수림의 관리, 노거수의 관리 및 덩굴류 제거, 지속적인 모니터링, 지속가능한 체험활 동 활성화 등이 요구된다.
        4,000원
        10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와첩 구성경관에 관한 이론정립과 와첩 관련 경관의 설계와 연출 근거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하남성 신양시 향촌경관을 사례로 SBE-SD법을 결합하여 와첩 경관에 대 한 경관미를 평가하고 선호요인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결과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 인 구통계학적 특성에 관계없이 일관적인 심미성을 보였지만 거주지 속성에는 차이를 보였다. 예술과 문화가치는 와첩 구성경관의 경관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평면구성 및 색채구성의 복잡도 는 오히려 경관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선호요인 을 추적한 결과 지역의 장소성 구현이 와첩 경관 연출의 우선적 고려사항임이 밝혀졌다. 또한 주변 경 관요소에 부합되는 척도 구성은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결정적 선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와 첩 구성경관이 대부분 근경의 경관요소로 작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와(瓦) 자체의 질감은 긍정적 선 호요인으로 드러났으나 색채의 풍부도나 다양한 색상의 경관 연출은 경관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800원
        105.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targeting the concept of "Ruralism," which is important in rural development, and the keywords "Rurality" and "Rural-amenity," which are similarly us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key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emo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which are methods of analyzing unstructured data online,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Ruralism for rural space mainten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conservation for Ruralism was the most important in the case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urality and Rural-amenity keywords, which were used similarly to Ruralism, were identified through major keywords, indicating that Ruralism is a concept that has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rural areas than other concepts. In the case of the network, the network shown in Ruralism was promine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visible residents, and the last emotional analysi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to overcome the possibility of preserving Ruralism and difficult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online perceptions and looks at them from a macro perspective so as not to be confused by looking at keywords used similarly to Ruralism at a time when setting mid- to long-term policy directions is important.
        4,000원
        106.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Dichlorobenzene (1,2-DCB) is in various industries as solvents in herbicides, pesticides, and wax, and as degreasers or in the production of dyes. Studies on the hazards and risks of 1,2-DCB showed that this substance can cause skin corrosion, skin irritability, respiratory irritability, and certain target organ toxicity. Industrial workers are exposed to 1,2-DCB by inhalation or skin exposure and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human hazards even though they can be exposed to organic compounds such as benzene or other DCB complexes rather than a single subst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ecific organ toxicity of 1,2- DCB and sex differences using whole-body inhalation in laboratory mice. Male and female mice were exposed to 0–120 ppm of the test substance for 13 weeks. After euthanization, the organs were collected, histopathological assessments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were performed, and lipid peroxidation was analyzed. Macro and microscopic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livers of male mice exposed to the test substance, and microscopic alterations were observed in the nasal cavities of male and female mice. IHC analysis of the liver confirmed a greater increase in cytochrome P450 induction in males than in female mice, and malondialdehyde and 4-hydroxynonenal were increased in both sexes by 1,2-DCB inhalation.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xperimental results, 1,2-DCB is believed to cause specific organ toxicity in the livers of male mice and the nasal cavities of both sexes of mice, which is supposed to be related to sex differences in cytochrome P450 induction and changes in lipid and oxidative products associated with the early metabolites of the test substance.
        4,900원
        107.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와 특징을 분석하 였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2년간의 시간적 범위를 기반으로 ‘#반려견산책’ ‘#강아지산책’, ‘#개산책’ 세 가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활용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추출된 622 건의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인기 산책 장소는 총 13개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상위 세 개 장소의 경우 국채보상공원, 두류공원, 수성못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견 동반 산책 선호장소의 공간적 특징 및 경향성 파악을 위한 719개의 사진분석결과 ‘수변산책로’, ‘거주지 주변’, ‘공원’, ‘도시/도시인프라’, ‘반려견운동장/카페’ 총 다섯 가지 분류체계 항목으로 조사되었 다. 사진들의 다양한 요소 및 특성(Attributes) 분석틀에 의한 유형분류 결과 반려견만을 집중하여 확대, 촬영한 사진들을 제외하고 ‘경관’, ‘자연요소’, ‘활동/레저’, ‘사람’, ‘도시/장소’의 다섯 유형 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와 유형들을 파악하여 반려견 산책환경 개 선방안을 도출하였다.
        4,000원
        108.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유농업의 목적은 건강회복 및 유지, 증진을 위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농촌의 활력, 소득원의 창출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있다. 이러한 치유농업의 가치는 치유농업 대상자뿐만 아니라 농 업인, 지역사회, 보건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주체가 혜택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치유농업의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핵심요인을 도출하여 환경생태적, 사회경제 적 편익, 지역사회발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적합도와 중요도 를 파악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치유농업에 실무와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 교수, 치유농가 등 전문가 15 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최종 1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조사를 하 였다. 분석결과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측정영역과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 분석결과 7개의 상위요인과 33개 하위요인을 선정하였다. 지역사회 의 다양한 주체와의 교류 활성화를 통해 농업, 의료, 사회, 교육 분야에서 농업의 새로운 대안으로써 치 유농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지원과 기초 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4,000원
        109.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10.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규모 도시공원의 치유환경을 평가하는 항목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 헌조사, 전문가 인터뷰, 전문가 AHP설문조사가 사용되었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도시공원에 도입 이 되었거나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는 치유항목을 추출했다. 추출된 항목은 영역별로 유형화하 였고 5개의 평가영역과 28개의 평가항목을 구성했다. 둘째, 추출된 평가항목을 치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검증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평가영역과 항목을 수정, 삭제, 추가했다. 그 결과 5개의 평가 영역과 27개의 평가항목이 개발되었다. 셋째, 개발된 평가항목은 클라우드 기반의 AHP프로그램인 SS RA를 활용하여 웹AHP설문지로 제작되었다. 치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웹AHP설문을 진행하였고 각 각의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평가영역별 우선순위는 옥외 자연기반 치유 (0.235), 치유환경 적합성(0.228), 치유공원 운영(0.215), 커뮤니티 강화(0.168), 문화·예술치유 지원(0.15 4) 순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옥외의 다양한 자연 기반 치유시설에서 진행되는 치유프로그 램이 가장 중요했고 그 다음이 치유환경이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치유적인 특성을 지닌 도시공원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 운영의 안정성, 사회적 연결성 강화, 문화 기반의 치유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대규모 도시공원의 치유환경을 평가하는 기초 연구로서 평가 항목이 개발되었고 항목별 가중치도 도출되었다. 평가방법, 배점 등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개발된 평가항목은 도시민들의 정신건강 치유에 기여하고 도시계획, 복지, 치유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밑들이자루맵시벌속(신칭)과 미기록종인 밑들이짧은자루맵시벌(신칭)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밑들이자루 맵시벌속은 잎벌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마디 끝부분이 위쪽으로 굽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는 미기록속, 미기록종의 기 재문과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112.
        2023.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Ni2+ substitution for Mg2+-sites on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Mg1-xNix)(Ti0.95(Mg1/3 Ta2/3)0.05)O3 (0.01 ≤ x ≤ 0.05) (MNTMT) ceramics were investigated. MNTMT ceramic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solid-state reaction. When the MgO / TiO2 ratio was changed from 1.00 to 1.02, MgTi2O5 was detected as a secondary phase along with the MgTiO3 main phase in the MNTMT specimens sintered at 1,400 °C for 4h. For the MNTMT specimens with MgO / TiO2 = 1.07 sintered at 1,400 °C for 4h, a single phase of MgTiO3 with an ilmenite structure was obtained from the entire range of compositions. The relative density of all the specimens sintered at 1,400 °C for 4h was higher than 95 %. The quality factor (Qf) of the sintered specimens depended strongly on the degree of covalency of the specimens, and the sintered specimens with x = 0.01 showed the maximum Qf value of 489,400 GHz. The dielectric constant (K) decreased with increasing Ni2+ content because Ni2+ had a lower dielectric polarizability (1.23Å3) than Mg2+ (1.32Å3). As Ni2+ content increased,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 (TCF) improved, from -55.56 to -21.85 ppm/°C, due to the increase in tolerance factor (t) and the lower dielectric constant (K)
        4,000원
        113.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유르베다(Āyurveda)에서 장수는 단순히 오래 살기 위함이 아니라 건강한 몸 상태를 유 지하여 깨달음의 시간을 얻기 위함이다. 아유르베다는 노화과정을 이해하고 노화와 관련된 건강문제를 해결하여 몸의 활력을 유지하고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에 대 한 구체적인 방법이 아유르베다의 내과학에 속한 『짜라까 상히따』(Caraka-Saṃhitā) 제6 치 유론(Cikitsā-sthāna)에서 나타난다. 아유르베다에서 ‘위대한 세 가지’(bṛhat-trayi)로 꼽히는 문헌 가운데 하나인 『짜라까 상히따』의 제 6치유론에서는 노화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라사 야나(rasāyana)와 바지까라나(vājīkaraṇa)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짜라까 상히따』에 서 술된 회춘요법 가운데 제 1장에서 서술된 라사야나를 산스끄리뜨(sanskrit) 원어를 그대로 번역하여 아유르베다 연구자들에게 이 내용을 알리고자 제6 치유론의 1장의 내용과 라사야 나의 목적을 알리고자 한다.
        5,400원
        114.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갑주백목’ (Diospyros kaki Thunb cv. Hachiya) 감은 현재 홍시 또는 건시로만 식용되고 있는데 탈삽된 생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CO2 및 ethanol 탈삽 처리와 동시에 1-methylcyclopropene (1-MCP)를 처리하여 탈삽과 연화억제에 대한 효과를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CO2 탈삽은 20L 아크릴 용기를 이용하여 95% CO2를 24시간, ethanol 탈삽은 PE 필름(85.0cm×63.5cm)을 이용하여 99.9% ethanol 20ml를 3일간 상온(23℃)에서 처리하였다. 1-MCP는 탈삽 처리와 동시에 1μL・L-1을 처리하였다. 탈삽 처리 후 상온 모의유통과 3주 저온저장 후 상온 모의유통의 두 가지 조건에서 과실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CO2는 처리 종료 후 2일에 ethanol은 5일에 식용이 가능한 상태로 탈삽 되었으며 탈삽이 완료되지 않은 과실은 3주간의 저온 저장에서 완전히 탈삽되었다. 1-MCP는 탈삽속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O2와 ethanol 탈삽 모두에서 우수한 연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3주 저온 저장 후 상온 유통에서 1-MCP의 연화억제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1-MCP는 감의 탈삽에 있어 별도의 처리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적인 연화억제 수단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갑주백목’ 탈삽 생과는 향후 국내 유통 및 해외 수출이 기대된다.
        4,000원
        115.
        202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red to operational wastes, nuclear power plant (NPP) decommissioning wastes are generated in larger quantities within a short time and include diverse types with a wider range of radiation characteristics. Currently used 200 L drums and IP-2 type transport containers are inefficient and restrictive in packaging and transporting decommissioning wastes. Therefore, new packaging and transport containers with greater size, loading weight, and shielding performance have been developed. When transporting radioactive materials, radiological safety should be assessed by reflecting parameters such as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package, transport route, and transport environment. Thus far, safety evaluations of radioactive waste transport have mainly targeted operational wastes, that have less radioactivity and a smaller amount per transport than decommissioning wast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ossible radiation effects during the transport from NPP to disposal facilities were evalua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containers and decommissioning wast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 exposure dose to transport workers, handling workers, and the public was lower than the domestic regulatory limit. In addition, all exposure dose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to satisfy the evaluation criteria even under circumstances when radioactive materials were released 100% from the container.
        4,800원
        11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삼의 일반적인 가공법인 물과 주정 혼합용매로 추출여과하여 농축액으로 제조 시 증숙 등의 가열처리에 의해 가수분해되거나 중합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현재 기능성이 밝혀진 30여 가지 주요 진세노사이드 외 극미량인 200여 종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고 있어서, 오히려 홍삼 본래 의 기능성 규명과 효능 구현을 복잡하게 만들고, 추출 횟 수를 거듭할수록 떫은맛이 강해지는 등 건강기능식품으로 서 부정적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저온(40oC 미만)에 서 1차만 추출한 홍삼농축액을 제조한 결과 수율은 고형 분 66-77% 정도에서 26-30%를 나타내어 기존의 연구 결 과인 40.47±0.47% 보다 현저히 적은 수율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분말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분석시험을 진행한 결 과 시료 18종 전체에서 진세노사이드 34종이 검출되었고, 특히 홍삼 지표성분 3종인 Rb1, Rg1, Rg3 합계는 42.48 mg/ g으로 시판 홍삼제품의 환산량 9.0 mg/g과 8.7 mg/g 보다 4-5배 많았다. 본 시료는 진한 홍삼의 향취와 함께 면역력 증진 등 6가지 기능발현에 9-25%의 소량 복용으로 1일 복 용량이 유의성 있게 작아서 복용의 편의성과 함께 제품의 보관, 유통에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에 영향 을 미치는 일자리, 주거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자리 관련으로는 직장 만족도가, 주거 관련으로는 주거비에 대한 주관적 부담 수준이 종속변수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보통 직장 만 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고, 주거비 부담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지 않았다. 정규직 여부나, 근무 기간 등도 부분적으로 종속변수 와 관계가 있었는데, 특히 근무 기간이 길수록 삶의 질이 높지 않았다. 주거 관련해서는 주거 형태, 점유 형태, 주거지 크기 등은 예상만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경기도 남부와 북부, 성별 차 이에 따라서는 몇몇 변수에 대해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청년 1인 가구의 복지 수요가 어느 분야에 많은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6,300원
        118.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3-다이옥솔란은 용매, 전해질 및 시약으로서 화학, 페인트 및 제약 산업에서 광범위한 관심을 받고 있는 화합물 이다. 1,3-dioxolane은 주로 독성, 발암성, 폭발성, 자동 인화성이 없으며 다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유기 및 수성 용 매 조건에서 우수한 용해성을 가져 고분자 전구체로서 사용된다. 최근 몇 년 동안 이 물질은 배가스 및 천연 가스 혼합물에 서 CO2를 분리하기 위한 CO2 선택적 고분자 전구체로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Poly(1,3-dioxolane) (PDXL)은 폴 리에틸렌 옥사이드(PEO)보다 높은 에테르 산소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극성 에테르 산소 그룹이 CO2에 대해 강한 친화 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우수한 막 CO2/N2 분리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PDXL 기반 분리막은 비극성(N2, H2 및 CH4) 가스에 대해 탁월한 CO2 용해도 선택성을 보인다. 그러나 PEO와 마찬가지로 PDXL의 극성기는 고분자 사슬의 밀집도를 증가시키고 고분자 결정화를 유발하여 기체 투과도를 감소시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기체 분리 응용 분야에서 PDXL기반 고분자막의 최근 발전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O2 분리 공정에서 1,3-dioxolane 기반 고분자의 한 계를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분자 설계방안에 대해 다루어 보기로 한다.
        4,900원
        119.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erotonin receptors can be divided into seven different families with various subtypes. The serotonin 1A (5-HT1A) receptor is one of the most abundant subtypes in animal brains. The expression of 5-HT1A receptors in the brain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animals but has not been studied in horses. The 5-HT1A receptor functions related to emotions and behaviors,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effects and distribution of 5-HT1A receptors in horses to better understand horse behavior and its associated mechanism. Methods: Brain samples from seven different regions, which were the frontal, central, and posterior cerebral cortices, cerebellar cortex and medulla, thalamus, and hypothalamus, were collected from six horses.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cross-reactivity of rabbit anti-5-HT1A receptor antibody in horse samples. Immunofluorescenc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localization of 5-HT1A receptors in the brains. Results: The protein bands of 5-HT1A receptor appeared at approximately 50 kDa in the frontal, central, and posterior cerebral cortices, cerebellar cortex, thalamus, and hypothalamus. In contrast, no band was observed in the cerebellar medulla. Immunofluoresc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cytoplasm of neurons in the cerebral cortices, thalamus, and hypothalamus were immunostained for 5-HT1A receptors. In the cerebellar cortex, 5-HT1A was localized in the cytoplasm of Purkinje cell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5-HT and 5-HT1A receptor system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horses, based on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the receptors in the horse brain.
        4,000원
        12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generally have an elevated expression of homeobox C6 (HOXC6) gene. We found that HOXC6 was the significantly upregulated gene in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FaDu) cells using RNA-seq analysi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HOXC6 plays a role in tumor process mechanism. Our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oncogenic role and the detailed molecular mechanism of HOXC6 in FaDu cells. In this study, Sirt1 was validated to be overexpressed in FaDu cells and associated with HOXC6 expression. Overexpression of HOXC6 promoted the cell colony formation, whereas inhibition of Sirt1 by Sirt1 inhibitor EX527 reduced cell proliferation/colony formation and migra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HOXC6 overexpressed FaDu cells. Interestingly, mechanistic study showed that EX527 mediated Sirt1 suppression led to decreased HOXC6 expression and upregulation of Sirt1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HOXC6. HOXC6 was shown to cooperate with Sirt1 to enhance cell survival. We propose that HOXC6 promotes cell growth/colony formation, and that the HOXC6 may be a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rcinoma by activating Sirt1 pathways.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