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2

        10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idging stabilization exercise on balance ability and gait performance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rty-one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in HongSung-Gun Senior Citizen Welfare Hall.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ree groups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mat, whole body vibration, and Swiss ball) and participated in each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Each exercise began in the bridging position. The dynamic balance and gait were measured by limit of stability area using force plate,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imit of stability in thre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posterior and medial-lateral lean after 4-weeks intervention (p<.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mit of stability among three groups after 4-weeks intervention (p>.05). 3) The BBS and TUG in thre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4-weeks intervention (p<.05).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BBS. Post-hoc test showed that Swiss ball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t and whole body vibration groups.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UG among three groups after 4-weeks intervention (p>.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4 weeks of the bridging stabilization exercises were effective on balance and gait in all three groups. Particularly Swiss ball exercise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than two other exercise groups (mat, whole body vibration group).
        4,000원
        102.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BGA 교육프로그램이 좌우뇌균형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제 실험을 통하여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의 대상은 2010년 9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원아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에게 BGA 검사와 뇌파측정을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BGA 교육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3회씩 6개월 동안 진행하였으며 1회교육시간은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BGA 교육 실시 후 좌우뇌 편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BGA 교육프로그램이 좌우뇌균형지수에 유의미한 변화를 미쳤다.
        5,700원
        103.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ance is a complex motor skill that depends on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ensorimotor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texts. Many rehabilitation specialists believe that balance assessment under multitask condition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balance problems and falls than balance assessment in a single-task context. Functional Gait Assessment has many tasks that allow for testing under multitask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 Go" Test (TUG) in patients with stroke. One hundred and five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months post 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6 m with or without a mono ca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GA, BBS, and TUG was assessed using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he FGA correlated with the BBS (r=.80, p<.01) and TUG (r=-.77, p<.01). The good a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FGA, BBS, and TUG establish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FGA in patients with stroke. These measures provide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unctional balance capabilities.
        4,000원
        104.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specially designed trunk-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lower extremity balance of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In this participants, lower extremity functions has been undermined by the development of damage in peripheral nerves. A total of 40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were divided into 2 groups of equal size (): a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and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exercise but did continue to engage in normal daily activities (including walking). The exercise group exercised for 60 minutes 2 days a week for 12 weeks. Static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asking study participants to a one leg standing test: dynamic balancing ability was measured with a tandem walking test and a timed up-and-go test. The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exercise program for comparison, and then divided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feel sensory in the soles of their feet into the categories of normal sensory group: group with sensory loss in one foot: and group with sensory loss in both feet. The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program showed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5) as measured using the one leg standing test. Similarly, the participants in dynamic balance (p<.05) as measured using the tandem walking and timed up-and-go tests. Finally, these improvements were related to the severity of sensory loss in the soles of the feet for all study participants.
        4,000원
        105.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 형성 부전증(Osteogenesis Imperfecta)을 가진 여자 대학생에게 인터액티브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균형(Balance) 능력과 작업수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 연구 방법: 본연구는선천성골형성부전증을가진여대생을대상으로ABA 설계를적용하였으며, 2010년06월 29일부터 2010년 07월 30일까지 4주 동안 주 3회, 총 12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이전 4회, 중재 이후 4회씩 테트락스(Tetrax)와 한 발 서기 검사를 사용하여 기초선 및 유지기를 측정하였으며 매 회기 마다 두 검사를 통해 균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는 BOT-2 (Bru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와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을 사용하였다. 연구 종료 한 달 후에 테트락스와 한발 서기를 통해 후속평가를 실시하였다. ◉ 결과: 중재 이후, 1. 테트락스 평가에서 다양한 주파수에서의 자세 동요 강도를 나타내는 푸리에 지수(Fourier Index)가 감소하였다. 2. 한 발 서기 검사의 수행 시간이 증가하였다(눈을 뜬 경우와 눈을 감은 경우). 3. 인터액티브 메트로놈 Pre/Post Test에서 운동과제평균치(MS)는 108.3ms에서 36.7ms로 시간이 감소하였으며, 적중 퍼센트(SRO)는17.7%에서33.0%로증가하였다. 4. BOT-2 균형영역의각항목점수가증가하였다. 5. COPM에서 과제 수행도는 평균 1.6점, 과제 만족도는 평균 2.7점이 증가하였다. ◉ 결론: 본 연구는 인터액티브 메트로놈 중재가 골 형성 부전증 대상자의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5,100원
        106.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Nintendo Wii Sports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상현실공간 훈련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추후 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로서 개별실험 연구 AB디자인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2명이었다. 검사자는 연 구대상자의 균형 능력을 기초선 기간 1주 동안 3회, 치료선 4주 동안 1주 3회씩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수행 한 Nintendo Wii Sports의 가상현실공간 훈련은 세 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1회기 총 운동 시간은 45분이었다. 결과 : 연구에 참여한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은 치료선에서 기초선과 동일하거나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토대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Nintendo Wii Sports가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07.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일반 유아로 선정하여 특정한 치료적인 목적보다 교육과 학습에서 필요한 좌우뇌의 균형적인 뇌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유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S시, B시, J시, U시와 K도에 있는 관인 유치원 원아 200명에게 좌우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중 무작위 추출한 65명에게 B.G.A 검사를 통하여 뇌 발달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B.G.A 교육 실시 후 좌우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B.G.A 교육 실시 후 두뇌 영역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900원
        10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quilibrium price between PSTN and VoIP telephony services in the case of non-linear utility function. Currently there are two types of wired phone services we are known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
        4,000원
        10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an effect of weight of material and gender on postural stability and to introduce formulas for those. There were five levels of weights 0, 9, 18, 27 and 36 kg, and two levels of genders were conducted. Eight male and five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en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level of weights to measure the postural stability by using the stability platform. The effect of the genders and the load on the postural stability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the two way ANOVA test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ANOVA test showed that the effect of weigh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postural stability to the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And the postural stability of female subjects was better than that of male subjects. A linear regression formula for the balancing time and the load and a formula for the reduction rate postural stability and the relative load were introduc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4,000원
        11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with 'TETRAX' system, a balance training and assessment tool,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hemiplegic patients. Nineteen matched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with 10 subjects received balance training with 'TETRAX' exercise program an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5 times per week during 4 weeks. A control group with 9 subjects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5 times per week during 4 weeks. Outcome measure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s using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the Berg Balance Scale (BBS), gait speed, and the fall down index. Results indicated that both exercise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in STREAM, BBS, and gait speed (p<.05).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ittl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Both exercise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all down index (p<.05). Following 4 weeks of intervention, except gait spe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visual feedback training could be effective on improving balance and mobility tha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lone in acute hemiplegic patients.
        4,000원
        111.
        201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quilibrium price between PSTN and VoIP telephony services in the case of non-linear utility function. Currently there are two types of wired phone service we are known that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he PSTN telephony which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and VoIP which provide relatively low quality service forms a vertically differentiated oligopoly.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equilibrium price between PSTN and VoIP services is very important to wired phone service providers. The equilibrium price depends on the state of the service cost function has been proved different value. This paper was evaluated each equilibrium price for the state of the linear cost function and non-linear cost function. Subsequently, analyzed the demand of both services and the equilibrium profit which can maximize the profit of both service providers.
        4,300원
        112.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the Trunk Control Test (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o compare the TCT, PASS-TC, 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fter stroke. Sixty-two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CT, PASS-TC, TIS balance (Berg Balance scale; BSS), gait ability (10 m walk test),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un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mobility part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gl Meyer-Upper/Lower Extremity (FM-U․L/E). The scatter-plo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mposed for the total scores of the TCT, PASS-TC, and T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runk control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wenty eight participants (45.2%) and twenty participants (32.3%) obtained the maximum score on the TCT and PASS-TC respectively; no subject reached the maximum score on the Trunk Impairme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IS and TCT (r=.38, p<.01), PASS-TC (r=.30, p<.05), TCT and PASS-TC (r=.59, p<.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BS score (β=.420~.862) had slightly more power in predicting trunk control than the . TIS-dynamic sitting balance, TUG and the MBI-mobility part. This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runk control is still impaired in stroke patients.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results imply that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4,000원
        11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점 척도인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와 5점 척도인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3점 척도로 단순화시켜 원본 PASS, BBS와 특성을 비교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PASS(0-1-2-3)는 PASS-3Level(0-1.5-3)로 BBS( 0-1-2- 3-4)는 BBS-3Level(0-2-4)로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PASS-3L과 BBS-3L 평가의 측정자내·측정자간 신 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를(ICC3,1), 절대적 신뢰도는 표준 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 저 실제 차이(Small Reference Differences: SRD)를 이용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PASS(PASS-3L), BBS(BBS-3L)의 동시 타당도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퓨글 마이어 운동(Fugl Meyer-Motor: FM-M)과의 수렴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PASS-3L과 BBS-3L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ICC = .96, .96,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ICC = .95, .94이었다. PASS-3L과 BBS-3L의 SEM은 각각 .99, 1.55, SRD는 1.74, 4.30, Cronbach's α계수는 .77, .85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PASS-3L의 동시 타당도는 PASS(r=.93), BBS(r=.75), BBS-3L(r=.80)과 유의한 관 련이 있었고, BBS-3L은 PASS(r=.80)와 BBS(r=.9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PASS-3L의 수렴 타당도는 MBI(r=.60), FM-M(r=.42)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BBS-3L은 MBI(r=.79), FM-M(r=.48)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2개의 단순화된 PASS-3L과 BBS-3L은 PASS, BBS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뇌졸 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4,500원
        11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인 Wii-Fit 밸런스 게임을 실시하여 노인의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 았다. 연구 방법 :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건강한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6주간 균형훈련을 실시한 뒤 버그 균형 검 사와 한발 서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균형훈련을 한 결과 버그 균형 검사와 한발 서기 검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5). 성별에 따른 균형유지 능력은 한발 서기 검사결과 균형훈련 전 눈 뜨고 오른쪽 다리로 서기, 눈 감고 오른쪽 다리로 서기, 눈 뜨고 왼쪽 다리로 서기와 균형훈련 후 눈 뜨고 왼쪽 다리로 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연령에 따른 60대, 70대의 균형능력은 버그 균형 검사 결과 훈련 전, 후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한 발서기 검사 결과 눈 뜨고 오른쪽 다리로 서기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결론 : Wii-fit 밸런스 게임을 이용하여 균형훈련을 실시한 결과 버그 균형 검사와 한발 서기 검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므로 가상현실 게임이 노인의 균형능력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 다. 향후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연구, 개발되어질 필요성이 있다.
        4,000원
        115.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rovement in the balance control ability of the elderly affected by Hansen's disease. We tried to compare the effects for the elderly affected by Hansen's disease with and without foot deformity. The subjects consisted of 19 patients 65 years old and older. They participated in a balance training program twice per week for 8 week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training program: 1.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tatic balance ability in one leg standing (OLS), dynamic balance ability in tandem walk (TW) and four square step (FSS) (p<.0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single-foot deformity in TW before the program (p<.05). After training, however, the difference became less significant. Also,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recipients with and without single-foot deformity in terms of OLS and F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an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elderly affected by Hansen's disease suffering from nerve injury and disability.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concerning rehabilitation to overcome various forms of disability.
        4,000원
        117.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인지활동 중재로 회상활동과 미술활동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명의 치매환자이다. 회상활동과 운동치료를 병행한 집단(N=20), 미술활동과 운동치료를 병행한 집단(N=20) 그리고 운동치료만 실시한 집단(N=20)으로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는 2008년 9월 22일부터 3개월간 이루어졌고 평가도구로는 한국판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Korean: MMSE-K)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이 사용되었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개월 후 MMSE-K와 BBS 총점은 실험 전 후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5). 그리고 인지활동이 적용된 두 집단은 운동치료만 실시한 집단보다 균형수행능력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또한 운동치료만 실시한 집단도 인지능력의 향상이 있었다. 회상활동과 운동치료를 병행한 집단의 MMSE-K와 BBS점수는 다른 집단들에 비해 가장 높은 증가를 보여주었다. 결론 : 이 결과를 통해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치료는 균형능력이 감소된 치매노인환자의 균형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300원
        118.
        200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성척추보조기 착용에 따른 균형의 변화를 알아보고 작업치료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6년 11월 20일 부터 2007년 2월 26일까지 김해시 I 대학교에서 실시하였으며 성인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도구는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Tetrax Interactive Balance System 이며 연성척추보조기 중 요천추 코르셋을 사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Tetrax Interactive Balance System 을 충분히 습득한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산출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낙상지수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Fourier Harmony Index(KHI)) 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Weight Distribution Index(WDI) 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낙상지수 값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 :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낙상지수 값의 변화는 P<0.05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성척추보조기의 착용 뮤우가 균형능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낙상과도 밀접한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균형과 연성척추보조기의 연관성에 관한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300원
        12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균형에 이상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Dynavision 2000을 사용하여 시지각 훈련을 적용하고,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으로 기립자세에서의 균형능력을 반복 측정하여 시지각 훈련이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별사례 실험 연구 방법 중 반전연구(reversal de-sign)로 설계되었다. 연구기간은 기초선 1은 1주간의 3회기, 중재 적용기간은 4주간의 12회기, 기초선 2는 1주간의 3회기로 총 6주간 이루어졌다. 기초선 1과 2기간 동안 시지각, 일상생활수행과 균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Dynavision 2000을 사용하여 시지각 훈련을 한 후 매 회기마다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에는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사용하였으며, 균형능력은 안정성 지수에 대한 기술통계, 회기별 변화정도는 시각적 분석으로 하였다.결과 : Dynavision 2000 중재기간 동안, 성인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이 중재 전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균형능력이 유지되었다.결론 : Dynavision 2000을 이용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연구에서는 충분한 기간 동안 대조군을 이용한 집단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