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

        10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일반인 집단에서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로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화훼장식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인식에 대한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다.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하였다. 오브제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브제를 전체 웨딩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브제 통일이 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이룬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였고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는 이유가 였고 유행하는 스타일로 나타났다. 색채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91%(143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9%(14명)로 나타났고 색채를 통일시킨 것을 선택한 이유로는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 고급스럽고 세련된, 유행하는 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화훼소재의 통일성을 이룬 사진을 선택한 그룹은 83%(130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17%(27명)로 나타났으며 화훼소재를 전체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103.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화점 화훼 공간장식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소비자와 VMD 및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거나 월 소득이 높을수록 화훼장식에 의해 상품 구매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 시 시각적 우선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문가의 경우 오브제 및 장식을 중요 요소로 꼽았으며, 소비자의 경우 매장 표지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화훼장식이 오브제 및 다른 장식과 결합될 경우 고객들로부터 상당히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훼 공간장식이 상품 구매의욕과도 관련성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 공간장식이 백화점 분위기 조성에 매우 기여하고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06.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인간의 자연귀화나 자연 친화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화훼조형물의 가치가 상승 하였다. 하지만 현재 상업공간에서 화훼조형물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으며, 화훼조형물 부유물 유출에 따른 뒤처리의 단점이 지적 되었다. 자연적인 소재를 이용하는 화훼조형물이 가지는 특성인 인간의 친밀도, 친환경성을 부각시켜, 상업적인 공간에서 라이프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자연소재가 주는 편안함, 따뜻함, 자연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화훼조형물을 이용한 공간연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10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화훼의 색채 이미지를 이용한 화단적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화단용 유통화훼 285종의 색채 및 색채이미지스케일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Red 54종, Yellowred 13종, Yellow 40종, Blue 8종, LightPurple 9종, Pink 31종, Purple 15종, Redpurple 40종, White 65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285종의 화훼 색채를 색채이미지스케일에 대입한 결과 경쾌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갖는 것은 130종, 은은한, 온화한, 맑은, 자연적인 이미지에 해당되는 것은 122종, 모던한, 혁신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은 15종, 고상하고 점잖은 이미지를 갖는 것은 18종이었다. 전체 285종의 화훼는 딱딱한 이미지 보다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양쪽의 이미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화훼 종류별에 따라 구명된 색채 이미지는 화단 조성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게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108.
        2011.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매화원중 택배·탁송 유통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운송 배달 수단으로서의 택배 서비스가 차지하는 부분이 더욱 커질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택배업체와 탁송 직원은 신속한 배송이 중요한 업무이지만, 화훼류와 같은 물품에 대해서는 특별한 취급 방법이 추가로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일반 택배업체는 구조적으로 화훼류 유통에 최적이지 않다는 것과, 택배회사의 직원 교육이나 택배 차량의 시설 개선보다는, 화훼류 전문 택배업체 지정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111.
        2011.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화훼장식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에 있어서도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으며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 웨딩홀화훼장식에 있어서 통일성 표현기법은 점점 더 트렌드화가 되고 있으며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에게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생식물 전문업체 2곳과 화훼유통단지 3곳의 21개 업체를 대상으로 유통되고 있는 수생식물의 종류와 용도를 조사하였으며, 수생식물이 사용된 화훼장식품 130개를 대상으로 종류별 사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생식물은 82종이었다. 이중 물가수생식물이 36종(43.9%), 부엽성 수생식물이 16종(19.5%), 침수성식물이 18종(21.9%), 그리고 부유성식물이 12종(14.6%)이었다. 수생식물의 대부분은 분화와 정원용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22.9%만이 절화용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수생식물 가운데 19종이 화훼장식품에 이용되고 있었으며, 속새, 연꽃, 부들, 갈대, 수련, 타알리아가 전체 작품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생식물 소재 중 53.9%는 절지의 형태로 화훼장식품에 사용되고 있었고, 절화와 절엽은 각각 24.6%와 21.5%를 차지하였다.
        11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훼장식품 해석의 다양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동(動)', '숲속에 내리는 비', '낯설음' 이라는 각각의 원제를 지닌 화훼장식품을 가지고 작품의 제목, 외관, 그리고 소재에 대한 감상자의 시각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감상자가 부여한 제목은 3작품 모두 대부분 작가의 의도와는 무관하였다. 각 작품에 대해 감상자가 부여한 이미지 제목을 이미지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촉각, 미각, 후각, 청각, 공감각 순이었다. 외관에 대한 감상자의 시각을 이미지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역시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관념, 공감각, 자연물 등의 순이었다. 작품의 소재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자연물과 관념의 이미지가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일한 화훼잘식품에 대해서도 감상자들의 시각은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예술의 보편적 특성 가운데 작품의 의미 전달과 해석의 다양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작가와 감상자간의 소통 및 작품의 해석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2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훼장식품의 가치제고와 대중화를 위해 새로운 감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 구성요소로 서 제목, 외관, 소재와 함께 스타일을 감상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새로운 감상 모델을 개발하고 꽃모델이라고 지칭하였다. 꽃모델을 화훼장식품 감상에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해석의 다양성을 도출 및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작품의 전체와 이를 구성하는 부분적 요소 간의 관련성을 통합적이고 유기적요로 반영할 수 있었다. 셋째, 화훼장식의 학문적 연구률 위한 접근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넷째, 감상시각의 구체화를 실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작품 감상의 다양한 사유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 효과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