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8

        101.
        2017.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RCP는 균혈증을 잘 일으키는 시술이며 시술 후 감염 발 생빈도는 약 1.5% 정도로 낮으나 그 중 상당수는 중증이며 사망률 또한 높다. 최근의 ERCP 후 감염 발생률이 치료 목적의 시술 증가로 감소하지 않아 시술 전 폐쇄성 담관질환 등과 같은 ERCP 후 감염 고위험군을 미리 파악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과거에는 불충분한 내시경 소독 또는 오염된 시술도구로 인해 ERCP 후 감염이 발생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십이지장 경 엘리베이터 채널의 특수 구조에서 기인된 소독 취약성으로 인해 제조사의 소독 지침을 철저히 따르더라도 CRE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 한췌담도학회에서 공지한 ‘십이지장경을 통한 다제내성 균주 감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권고 사항’을 준수해야 하고 보다 완벽한 소독방법과 내시경 구조개선에 대해 제조사 측과 논의가 필요하다. 간내 담관 또는 간문부 협착 환자의 경우 진단 목적으로는 MRCP를 시행하길 권하며 ERCP는 철저히 치료 목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ERCP시 먼저 유도철사를 이용해 선택된 담관에 한해 조영제를 최소한으로 주입해야 하며 주입된 조영제 는 가능한 완전히 배액하여 담관염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 담관내 조영제 주입 전 충분한 담즙 배액이나 조영제 대신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담관 조영이 시술 후 담관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ERCP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시술 후 감염을 막는지 여부를 알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최근까지 발표되었지만 대상 환자와 방법의 다양성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 았으나 다음과 같은 경우 권유할 수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 발 생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최고위험 심장 상태에서 담관염으로 ERCP를 시행할 경우, 간문부 담관암 또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과 같이 ERCP 후 불완전한 담관 배액이 예 상되는 경우, 췌장 가성낭종 또는 괴사된 췌장조직 내로 조영 제가 우발적으로 들어가서 감염이 예상될 경우, 금속관을 이용한 담관 배액시, 간이식 등 면역저하 환자에서는 시술이 끝난 후 충분한 배액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E.coli, Klebsiella, Enterobacter, Proteus, Citrobacter, Pseudomonas, Enterococci 에 대항하는 항생제 를 선택하며, cefotaxime, ciprofloxacin, ureidopenicillins, imipenem이 일반적으로 추천되며 상기 항생제 투여 후에도 계속해서 감염이 호전되지 않으면 Enterococci 를 방어하기 위해 amoxicillin 또는 vancomycin을 추가하거나 piperacillin/ tazobactam으로 변경한다. 최근 제한적 항생제 사용을 하면서 광범위한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던 과거에 비해 ERCP 후 감염 또는 균혈증 발생이 감소하여 ‘제한적 항생제 정책’으로 나아가는 것이 타당성 있고 비용 효과적이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줄일 수 있겠다. ERCP 후 담관염 또는 담낭염이 발생하면 항생제 투여 및 수액요법과 함께 불충분한 담즙 배액이 의심되는 경우 ERCP를 재시행하여 적절한 담즙 배액술을 시행해야 하며, ERCP로 배 액이 어렵거나 항생제 치료에도 증상 또는 간기능 이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PTBD 또는 PTGBD를 즉시 고려해야 한다.
        4,200원
        102.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rleukin-1b (IL-1β), a proinflammatory cytokine, regulates the innate immune responses against bacterial infection. Mature IL-1β is produced from pro-IL-1β by activated caspase-1, which in turn is activated by the inflammasome complex form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inflammasome mRNA expression induced by S. sanguinis, S. oralis, F. nucleatum and P. intermedia. Among the tested bacteria, S. sanguinis induced the highest IL-1β secretion. S. oralis, F. nucleatum and P. intermedia induced very weak IL-1β secretion. S. sanguinis mostly induced the NLRP3 mRNA expressions. Although F. nucleatum did not induce high IL-1β secretion, it induced high expression levels of AIM2, NLRP2, and NLRP3. No specific inflammasomes were induced by S. oralis and P.intermedia. Studying the inflammasome complex activation induced by oral bacteria may thu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oral diseases.
        4,000원
        10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the malaria surveillance agency, the Korean Center for Control and Prevention (KCDC) has been monitoring malaria vector mosquito density and Plasmodium vivax infection since 2009. Anopheline mosquitoes were collected at 35 sites in Incheon, northern Gyeonggi and northern Gangwon Province using black light trap daily from April to October 2015. P. vivax infection of malaria vector mosquitoes tes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2015, a total of 57,926 malaria vector mosquitoes were collected among 138,119 mosquitoes. Three P. vivax positive pools were detected among 1,556 pools (13,745 individuals) and its minimum infection rate was 0.22.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malaria vector mosquitoes, early summer (June-July) could be an appropriate time for a malaria elimination campaign until September.
        10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cognize species composition of Anopheline mosquitoes and infection rates of Plasmodium vivax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Adult mosquitoes were collected at 9 Republic of Korea (ROK) army installations in northern part of Geyonggi Province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using black light trap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d to identify collected Anopheline specimens and detect P. vivax from them. During June to August 2016, total 481 anopheline mosquito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nopheles kleini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56.1%), and followed by An. pullus (16.6%), An. sinensis (16.2%), An. belenrae (7.5%) and An. lesteri (1.5%). 6 pools (4.0%) were positive for P. vivax among 150 pools. The minimum infection rates (MIR) was 1.24. Our ongoing study will provide a meaningful data for the effective malaria elimination strategy.
        10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 (MyD88) is an intracellular adaptor protein involved in Toll pathway.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response of 4 key genes of the insect immune system against Beauveria bassiana JEF-007 in Tenebrio molitor using RT-PCR.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s of Toll pathway in mealworm immune system, TmGPR and TmMyD88 was knocked down by RNAi silencing. Target gene expressions were decreased at 6 days post-dsRNA injection. Therefore, mealworms were compromised by B. bassiana JEF-007 at 6 days post-dsRNA injection. Silencing of the TmMyD88 and TmGPR resulted in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host to fungal infection. However, only dsTmMyD8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sEGFP by statistical analysis, which may be due to partial gene knock down of dsGP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mMyD88 is required in mealworms for survival against B. bassiana JEF-007.
        11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ollenhovia emeryi (Formicidae: Myrmicinae) is divided into two morphs based on the wing length of the queen caste: the long-winged with a normal wing and the short-winged with the aberrant short wing. The phylogenetic analysis shows that the short-winged is derived from the long-winged. In Korea, only the long-winged morph is infected with Wolbachia while the short-winged is devoid of the bacterium suggesting that the short-winged evolved the resistance to the bacterial infection. Intriguingly, some Japanese short-winged colonies proved to still be infected with the bacterium. We hypothesized that the infected Japanese short-winged is the intermediate form in the process to complete cure. However, the data of the MLST and the measurement of Wolbachia density did not support our hypothesis. Our further experiment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shows that the infected Japanese short-winged shows the similar genetic background to the long-winged.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discuss the potential resistance evolution in the Korean short-wing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at the genome level.
        11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적인 양서류 감소의 한 요인으로 다양한 감염성 및 기생성 질병을 들고 있다. 국내에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개구리 양식장이 운영되고 있지만, 개구리 양식장에서 기생충을 포함하는 질병 발생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제, 괴산, 공주, 보령에 위치한 개구리 양식장 내‧외부에서 채집된 북방산개구리의 구두충 감염률 및 감염 개체수를 체강, 위, 소장과 대장의 신체부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18S rRNA 핵 유전자를 분석하 여 발견된 구두충을 속(genus)단위까지 동정하여 제시하였다. 조사된 북방산개구리의 51.7%가 구두충에 감염되었으며, 감염 구두충은 Centrorhynchus 속에 속한 구두충이었다. 인제 지역이 15%로 다른 세 지역에 비하여 감염률이 유의미하 게 낮았으며, 괴산 역시 55%로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지만, 공주(80%)나 보령(90%) 보다는 다소 낮았다. 양식장 내‧외부 간, 암수 간 감염률과 감염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감염된 구두충 수는 북방산개구리의 건강지수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신체부위별로는 위에서 가장 많은 구두충이 발견되었다. 우리의 결과는 국내 양서류에서 Centrorhynchus 구두충 감염의 최초보고로 개구리 양식장 내 구두충의 관리 필요성 및 다양한 지역에 위치한 양식장들 내에서 추가적인 질병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4,200원
        112.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rdyceps species are known to produce numerous active components and are used for diverse medicinal purposes because of their varied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their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s. Cordycepin, one of adenosine analogues, differs from adenosine in that its ribose lacks an oxygen atom at the 3' position. Cordycepin has been reported to be a main effector molecule in Cordyceps extracts that executes antiviral activities against several viruses including influenza virus, plant viruse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murine leukemia virus, and Epstein-Barr virus (EBV). In addition, adenosine and its deaminase inhibitor showed strong antiviral potentials that were about 4,000 times more potent than the activity of the direct inhibitory effect by adenine arabinoside on Herpes simplex virus (HSV)-1, suggesting adenosine itself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duce antivir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show that cordycepin and adenosine possess antiviral and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EBV and EBVassociated gastric carcinoma, respectively. Furthermore, we report epigenetic mechanisms used by cordycepin and adenosine to exert their antiviral and antitumor effects.
        11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 (MyD88) is an intracellular adaptor protein involved in Toll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response of 4 key genes of the insect immune system against Beauveria bassiana JEF-007 in Tenebrio molitor using RT-PCR. TmGPR, antimicrobial peptide Tenecin 1 and Tenecin 2 were up-regulated after fungal infec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s of Toll signaling pathway in mealworm immune system, TmGRP and TmMyD88 was knocked down by RNAi silencing. Target gene expressions were decreased at 2 days post-dsRNA injection, and dramatically reduced at 6 days post-dsRNA injection. Therefore, mealworms were compromised by B. bassiana JEF-007 at 6 days post-dsRNA injection. Silencing of the TmMyD88 and TmGRP resulted in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host to fungal infection. However, only dsTmMyD8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sEGFP by statistical analysis, which may be due to partial gene knock down of dsGR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mMyD88 is required in mealworms for survival against B. bassiana JEF-007.
        114.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81-years-old woman presented multiple mucosa ulcers with a chief complaint of pain during wearing the lower denture. She had been wearing upper and lower complete dentures for five months, and received multiple drugs for the treatment of angina pectoris, constipation, neurosis, hypertension and arthritis (calcium channel blockers, furosemide, captopri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and penicillamine, respectively), but no history of immune-diseases and viral infection symptom. The present lesion was primarily diagnosed as traumatic ulcer, candidiasis and lichen planus in the clinical observation, thereby conservatively treated with denture relining, antifungal agent, and steroidal agent. However, the ulcer lesion was not healed for two months and rather increased in size. With the diagnosis of viral infection the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of IL28 and E6,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herpes simplex virus (HSV)-1 primer sets was done but entirely showed negative reaction. Therefore, with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IHC findings exhibiting strong positive reaction of CD3 and CD28, but rare/weak reaction of NFkB, CD20, IgK and p38, the ulcer lesion was finally diagnosed as drug-induced pemphigoid ulceration which was not an inflammatory granulomatous lesion but related to the retrogressive acantholytic degeneration of epithelial cells caused by multiple drug abuse.
        4,000원
        11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연하장애재활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손 씻기와 개인 보호 장비 사용에 대한 영역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하장애재활치료를 직접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시행하 였으며 설문 작성 시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설문에 대한 동의를 얻었다. 총 423부의 설문지를 배부하 였으나 356부가 회수 되었고 결측지가 많은 11부를 제외하고 총 345부의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손 씻기와 같은 손 위생 활동은 잘 수행되고 있었으나 성 인 및 소아와 같은 치료분야와 임상경력에 따른 손 씻기 수행률에서도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개인 보호 장비 사용여부에서 마스크 및 보호복의 착용이 가장 소홀히 시 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연하재활 영역에서의 감염관리에 있어 손 씻기는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실정 이나 기관별로 손을 씻을 때 사용하는 비누 및 건조방법에 대한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하장애 재활치료 시 보호 장비 사용에 대한 인식이 저하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 료사들의 감염관리 실태를 인식하고 기관 내 감염관리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11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everal companies have released H. pylori stool antigen (HpSA) test kit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usefulness of HpSA testing for Helicobacter felis, which is the major Helicobacter species in ca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diagnostic methods for diagnosis of H. felis with HpSA tests and PCR assay using cat stools or gastric mucosa. Male cats (n=6) were infected with H. felis ATCC 49179 (1.0 × 109 CFU /cat) by intragastric inoculation two times at 3-day intervals, and stool specimens of cats were collected 1, 3, 5, 7, 14, and 21 days after infection for HpSA testing and H. felis-specific PCR. For the results, sensitivities of the HpSA test and PCR analysis were 50.0% and 83.3% respectively. Cats were sacrificed 21 days after H. felis inoculation, and gastric tissues were homogenized. All gastric biopsy specimens were positive based on a rapid urease test (RUT) (6/6, 100%) and PCR (6/6, 100%). Based on these results, the HpSA kit is useful and effective for monitoring H. felis infection using stool specimens. If an HpSA test could be made with H. felis antibodies in the future, its sensitivity could be increased further. Further, PCR assay could be successfully used to detect H. felis in stools. Application of this HpSA kit and PCR assay can be utilized as a non-invasive strategy to identify H. felis in cats.
        4,000원
        11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보리 재배시 보리그물무늬병 감염정도를 조사하여 지역과 연차간 종자 전염 발생 변 화와 기상 요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병징은 3월 5일부터 잎에 흑갈색의 작은 반 점들로부터 시작되어 보리의 출수기경에는 잎 전체가 고사되는 증상을 보였다. 감염 종자는 약한 붉은 색의 종피 변색을 나타내었다. 2조와 6조 겉보리 19품종을 시험한 결과 지역에 따라 종자 감염률이 차 이를 보였는데 평균 종자 감염률은 김제와 익산에서 각각 0.09-1.36%와 1.44-2.81%로 익산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6조 겉보리가 2조에 비해 병 감염에 의한 종자 감염률에 대해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그물무늬병에 의한 연차간 종자감염률의 변화를 보였다. 두 맥종에서 2012년 도에는 0.2%와 0.8%를 보였으나, 2013년도에는 1.4%와 2.8%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이들 연차간 종자 감염률의 차이에 대한 평균기온과 강수량을 비교하였을때, 평균기온은 병 발생이 많았던 2013년도에 2012년에 비해 저온으로 경과하는 양상이었다. 강수량을 비교한 결과 2013년도에 2012년도에 비해 약 120mm 이상의 많은 강수량을 보였다. 이 결과에서 보리 신장기에서 등숙기까지 저온과 높은 강우시 병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는 rice stripe virus (RSV)의 매개충으로 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멸구의 장·단시형, 암·수, 약·성충에 대한 RSV 보독률과 이병률을 비교하였다. 애멸구의 장·단시형의 RSV 보독률은 각각 60.7%, 63.1%로 크게 차이는 없었다. 암·수에 대한 RSV 보독률은 각각 61.9%, 52.2%로 암컷의 보독률이 더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약·성충의 보독률을 비교한 결과 각각 51.2%, 58.7%로 역시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RSV에 감염된 애멸구에 노출된 건전한 벼의 이병률은 장시형은 53.3%, 단시형은 48.2%를 보였으며, 약·성충의 이병률은 각각 38.2%, 42.6%를 보여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암컷은 50.5%의 이병률을 보이고 수컷은 22.3%의 이병률을 보여 암컷이 수컷에 비해 22.3% 이병률이 높아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벼와 애멸구의 RSV 감염여부에 의한 애멸구의 발육기간은 건전한 벼에 RSV 감염 애멸구를 접종 했을 때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전한 벼에 건전한 애멸구를 접종 했을 때 발육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