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

        101.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에서 흐름방향 유속의 횡분포식에 기반하여 1차원 종분산계수를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이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전편 “I. 흐름방향 유속의 횡포식”에서는 SKM을 도입하여 삼각형 단면수로에서 횡분포식을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본 논문의 후편 “II. 종분산계수”에서는 전편에서 유도된 유속의 횡분포식을 기반으로 1차원 종분산계수 이론식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개발된 종분산계수 이론식을 검증하기 위해 전편과 동일한 하천에서 수행된 추적자 농도 실험 결과를 이용한 관측 종분산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종분산 계수식을 기존의 식들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의 차별점 및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무차원 종분산계수는 무차원 횡확산계수에 반비례하고, 하폭 대 수심비의 제곱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Manning의 조도계수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에서 흐름방향 유속의 횡분포식에 기반하여 1차원 종분산계수를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이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전편 “I. 흐름방향 유속의 횡포식”에서는 Shiono-Knight Model (일명 SKM)을 도입하여 삼각형 단면수로에서 횡분포식을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본 논문의 후편 “II. 종분산계수”에서는 전편에서 유도된 유속의 횡분포식을 Fischer (1968)의 삼중 적분식에 대입하여 1차원 종분산계수 이론식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본래 SKM은 Navier-Stokes 방정식을 근간으로 개발되어 주로 직선수로이면서 사다리꼴 단면이나 복단면 수로에 적용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행으로 인한 최심선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삼각형을 단면형상으로 가정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를 검증하기 위해 자연하천에서 실측된 유속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도된 횡분포식을 이용하여 단면평균유속을 산정하고, 이를 Manning의 유속식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론식은 비록 유속의 횡분포를 경우에 따라서 섬세하게 재현하지는 못하더라도 조도계수를 포함한 몇 가지 기본적인 수리 및 지형자료만 측량한다면 유속의 관측없이 비교적 정확한 유속분포를 산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10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large diameter PHC Pile reinforced with transveres and longitudinal rebar and in-filled concrete. From the flexural test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cracking strength and maximum flexural strength of composite PHC pile were approximately 400% and 345%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HC pile.
        10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concrete-infilled composite PHC (hereinafter ICP) pile which is the PHC pile reinforced with infilled concret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 the improvement of flexural strength. In addition, an analytical study, which evaluated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ICP piles depending on the reinforcement using the fiber section analysis was performed.
        105.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체의 이동과 정지 시 동적 안정성과 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솔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종족궁의 아치를 인위적으로 서서 체중을 가한 상태와 같은 평상시와 동일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지지하였을 경우에 개별적인 균형능력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정상적인 신체 조건과 발모양을 유지하는 20대 남녀 각 10명씩 20명을 대상으로 종족궁 내측아치를 측정하여 아치를 지지하는 인솔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였으며, Tetrax 균형성 평가 장비를 이용하여 COP의 변위 패턴과 힘점의 이동거리를 착용 전, 후 비교하였다. 아치를 지지하는 인솔을 착용한 실험군이 균형능력 평가에서 약 22% 정도 상승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비교 실험을 통해 종족궁의 내측아치를 지지하는 인솔 착용이 신체의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주요 파손 형태는 균열과 변형으로 나타나며, 균열은 다시 피로균열, 저온균열, 종방향 균열 및 시공이음부 균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을 통해 포장층으로 수분 유입이 가능하며, 포트홀과 같은 추가적인 포장 파손을 발생시키거나 균열의 진행 속도를 가속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로 포장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적절한 시점에 균열의 유지보수를 수행한다면, 전단면 보수를 수행하지 않고도 포장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 균열 보수 방법으로 아스팔트 바인더 또는 고무 계열의 재료를 사용하여 보수를 수행하지만 이러한 보수 재료들은 가열을 통한 작업 속도 및 소규모 균열에 대한 경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개질 아스팔트 계열인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통해 균열 보수를 상온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하고자 도로 현장의 균열 파손부에 균열 보수 시험 시공을 수행하였다. 균열 보수는 서울과 경기도 수원 지역에 각 1개소씩 2개소에 대하여 2013년 4월에 시공하였으며, 7개월 공용 후 현장 점검 결과 일부 균열 실링 보수 부위에서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장에서 관찰된 실링 보수 재료의 균열은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건조 수축보다 동절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표층의 수축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에 관련된 성능 개선 및 현장 시공을 통해 추적조사를 수행 할 계획이다.
        10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a part of a research program to verify the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with respect to longitudinal steel ratio and transverse steel ratio under cyclic lateral load. In this paper, describes mainly displacement ductility of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with respect to test variables.
        10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바닥판의 구조상세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표준형의 U-rib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을 뿐, 강바닥판 건설초기의 개단면리브형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연수 31년된 개단면세로리브형식의 강바닥판 교량의 피로균열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교통류하에서의 계측 데이터를 통하여 대상구조상세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세구조해석을 통하여 대상교량을 통과하는 대표트럭하중을 추정하고, 상세영향면해석을 이용하여 대상구조상세의 응력 및 변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에 기초하여 피로균열이 발생된 대상구조상세의 보강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단면리브에서의 피로균열의 발생원인은 개단면부에서의 전단변형에 의한 응력증가 및 차량의 이동에 따른 교번응력의 발생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부구조상세에 대한 피로설계에서는 구조상세의 거동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상세해석에 근거한 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급속시공을 위한 단지간의 슬래브 형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의 종방향 연결부 상세를 제안하고자 한다. 슬래브 형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은 횡방향으로 분절되어 제작되므로, 분절된 프리캐스트 모듈 사이에는 종방향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에, 종방향 연결부의 형상과 제원을 결정하기 위해 전단키 개수, 폭, 높이, 경사각, 연결부 폭을 변수로 선정하여 해석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를 함께 수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서 연결부에 초기 균열이 발생하는 균열하중에 대한 경향을 검토하였으며, 종방향 연결부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효율계수(efficiency factor)를 제안하였다. 해석 및 실험에서 얻어진 균열하중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효율계수를 이용하여 연결부의 형상 및 제원을 결정하였다.
        11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반횡류식 터널 덕트슬래브 하면 중앙부에 발생한 종방향 균열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균열이 발생 부위에 대한 상세한 외관조사, 비파괴조사 및 덕트슬래브의 처짐 측량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와 수치해석결과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균열 발생 원인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균열 발생 원인의 주요 인자로 단부구속조건, 철근의 위치, 온도의 변화 및 건조수축 등으로 분류하였고, 콘크리트 라이닝을 우선적으로 타설하고 덕트슬래브를 철근 커플러로 강결하여 수개월 후에 별도 타설한 시공여건에 따라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건조수축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ACI209 및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의 예측식과 기존 연구의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시공당시의 건조수축 발생량을 예측하였고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건조수축이 균열발생의 주요한 원인 중에 하나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에 수행한 도로터널의 안전진단 결과를 덕트슬래브의 시공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균열발생 패턴을 분석하여 덕트슬래브가 있는 터널의 시공방법의 개선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111.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900kg의 승용차와 2000kg의 SUV가 120km/h의 속도와 20°의 각도로 충돌하는 조건과 14ton의 트럭이 85km/h의 속도와 15°의 각도로 충돌하는 조건, 그리고 13ton의 버스가 90km/h의 속도와 15°의 각도로 충돌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종방향 강성 배리어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차량 속도-시간 이력이 이용되었다. 차량 종방향 속도-시간 이력 곡선과 횡방향 속도-시간 이력 곡선의 기울기가 충돌초기의 전반 부분에서 가능한 증가되고 THIV 발생시간 전후의 시간구간인 후반 부분에서 감소될 수 있도록 강성 배리어의 설계가 이루어 질 때 THIV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상적인 차량 속도-시간 이력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형상이 LS-DYNA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결정되었고 최적형상이 선정되었다. 최적형상에 대한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통하여 위의 충돌조건을 만족하는 종방향 강성 배리어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112.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잠정적으로 결정된 SMART Highway 상위등급 충돌조건(900kg의 승용차가 120km/h의 속도와 20°의 각도로 충돌하는 조건과 14000kg의 트럭이 85km/h의 속도와 15°의 각도로 충돌하는 조건)에 대한 종방향 연성 배리어의 개발을 위하여 예비설계, 상세설계, 그리고 실물 충돌시험이 수행되었다. 상세설계에는 소형차와 대형차 충돌조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종방향 연성 배리어를 개발하기 위해서 차량 속도-시간 이력이 이용되었다. 차량 종방향 속도-시간 이력 곡선과 횡방향 속도-시간 이력 곡선의 기울기가 충돌초기의 전반 부분에서 가능한 증가되고 THIV 발생시간 전후의 시간구간인 후반 부분에서 감소될 수 있도록 연성 배리어의 설계가 이루어 질 때 연성 배리어의 설계를 주로 좌우하는 THIV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상적인 차량 속도-시간 이력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예비설계가 수행되었고 LS-DYNA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적합한 설계가 결정되었다. 상세설계를 통하여 최종 결정된 배리어는 부분 보강된 원형지주, 3개의 보, 그리고 Slip이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된 Block-Ou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 간격은 2.5m 이고 모든 구성요소는 구조용 강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최종설계에 대한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통하여 고규격 종방향 연성 배리어의 개발이 완료 되었다.
        11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태보전과 지역민의 경제적 편익에 중점을 둔 생태관광형 축제 중의 하나인 봉화송이축제 방문객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축제 프로그램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생태관광축제를 2년간 조사한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2005년 봉화송이축제 방문객 236명과 2006년 봉화 송이춘양목축제 방문객 238명을 대상으로 방문객 만족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인터뷰가 사용되었고, 설문조사는 2005년 9월 24일에서 27일 까지 그리고 2006년 9월 29일에서 10월 2일 까지 행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객들은 체험 프로그램인 송이채취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매우 높았다. 더욱 많은 방문객들이 참가하기를 원하였다. 둘째, 방문객들은 보전 관련 프로그램인 반딧불이 일생에 대해 큰 흥미를 나타내었다. 생태보전에 대한 이해도 향상과 방문자 만족을 위해 질 높은 해설자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셋째, 프로그램과 관련된 지역민들의 편익에 있어, 방문객들은 축제를 통해 봉화가 송이의 특산지임을 다시 한번 느꼈고 지역 특산물인 송이를 구매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선시대 왕궁 건축 건립에 사용된 봉화 춘양목의 가치에 대한 재인식, 춘양목을 활용한 전통 건축 퍼즐 만들기, 그리고 전통결혼식 등을 통해 지역문화도 이해하게 된 것으로 밝혀졌다.
        11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방향 유속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중심각이 인 순환수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3차원 유속장 측정은 측방 음파 도플러 유속계를 이용하였다. 기존의 종방향 유속식들의 단점들을 검토하였다. 종방향 운동 방정식에 와점성 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 식을 개발하였다.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들을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곡선수로에서 곡률의 변화는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 변화 및 최대 유속 발생 지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116.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과 적용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기존의 수치모형들 대신에 최소한의 유역정보를 이용해 오염물질의 이동시간과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하천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속도, 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첨두농도, 오염물질이 하천의 한 점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장경 등의 요소들을 이용한 단위오염도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들 요소들의 추정을 위해서는 미국 내의 수많은 하천을 대상으로 개발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
        117.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체구조 부재에는 이중저의 거더 및 늑판 등에서 유공을 가진 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중량 경감, 사람 및 화물의 이동, 배관 등의 목적으로, 보통은 강도상 큰 문제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불가피하게 높은 응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설치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판에 유공의 존재는 면내 하중에 의한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유공판의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 평가는 선박의 초기 구조설계단계에서 구조부재 치수를 결정할 때 검토해야 할 중요한 설계기준 중의 한가지 이다. 그러므로, 유공판에 대한 합리적인 신뢰적인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 평가가 필요시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횡비와 유공비 그리고 세장비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소성 대변형 유한요소 시리즈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간단한 설계식을 도출하였다.
        11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축구기술 수행을 관찰해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초등학교 아동 18명을 대상으로 71개월에 걸쳐 축구기능 실행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아동의 축구기술 수준은 동작 유형과 주된 관심사에 따라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초등학교 1~2학년, 7~8세로 아동은 경기 중 공을 따라다니는데 관심이 제한되었으며 팀 개념이 형성되지 않아 자신 이외에는 모두 상대편처럼 반응하고 경기에 완전히 몰입하지 못한 채 경기상황을 탐색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는 시기이다. 2단계는 초등학교 3학년, 9세로 축구기술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해 강한 슈팅과 드리블에 주된 관심을 보이고 경기 중 동료를 전술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기술 습득을 위해 개인 훈련을 하기 시작하는 시기였다. 3단계는 초등학교 4~5학년, 10~11세 동안으로 드리블에 주된 관심을 보이고 경기 중 플레이메이커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경기에 성원 대부분이 완전히 몰입하며 경기에서 각자의 포지션이 암묵적으로 결정되는 시기였다. 4단계는 초등학교 6학년, 12세로 경기에 관심을 갖고 완전히 몰입한 아동과 경기 중에도 경기에 관심이 없는 아동으로 양극화되고 전술운용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시기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소년 축구 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