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12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ortex tube is a simple device which can produce two streams of hot and cold temperature without any chemical reaction from a compressed gas stream. Recently, it is expected to be not only one of the possible alternative cooling methods to reduce environmental hazard but also various applications. Small size vortex tube is wide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 just like a spot cooling device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tudy length effect of the vortex tube yet. Therefo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arious vortex length ratio(L/D=10-55) to find an appropriate geometry of vortex tube length at 5.6mm diameter, under optimum conditions, i.e. vortex nozzle area ratio(Sn=0.155) and cold end orifice diameter ratio(ζ=0.446). Working fluids was used air. The results shows that L=25D is design guide in the vortex tube.
        4,000원
        12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층 절판 구조물을 고차 전단변형이론을 이용하여 길이변화에 의한 거동 특성을 해석한다. 고차 전단변형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Lagrangian 및 Hermite 보간함수를 병용한 방법은 다소 복잡하고 4절점 요소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3절점 요소에 적용할 경우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 및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Lagrangian 보간함수만을 사용한 고차 전단변형이론을 이용하며 복합적층 절판 구조물의 해석과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면내 회전각 자유도를 추가한다. 그러므로 한 요소 당 4개의 절점이 있으며, 한 절점 당 10개의 자유도를 가지게 된다. 기존의 절판 구조물은 길이 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경우가 적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심 변수로 설정하여 다양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변화에 따라 예측하기 힘든 복잡한 거동을 보이는 복합적층 절판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하고자 한다.
        4,000원
        12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성 및 비탄성좌굴 고유치해석법을 이용하여 강절프레임의 보-기둥부재의 유효좌굴길이를 산정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설계기준에 제시된 압축재의 내하력 곡선식으로부터 접선계수이론(tangent modulus theory)에 근거하여 세장비-접선계수(tangent modulus), 응력-변형률 곡선식을 유도한다. 이때 안정함수를 이용하여 보-기둥요소의 접선강성행렬을 얻고, 비탄성 좌굴 고유치해석법을 제시하며 이를 이용하여 유효좌굴길이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해석예제를 통하여 강절프레임에 탄성 및 비탄성좌굴해석법에 의한 유효좌굴길이 비교결과를 제시하고, 매개변수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4,200원
        12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erence in muscle firing rate between each muscle according to the knee angle with the quadriceps femoris which is a representative action muscle of the lower extremity. Seven normal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The median frequency (MDF) of muscle contraction was recorded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and rectus femoris muscles using the surface EMG, in 5 seconds, during maximal isometric knee exten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wo-way repeate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edian frequency of muscle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and rectus femoris in descending order. 2) median frequency of muscle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 , and in descending order. Consequently, muscle recruitment at the knee decreases the EMG activity of the lengthened musc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nge in EMG activity at different muscle lengths resulted in affecting the muscle firing rate during the knee extension.
        4,000원
        126.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고속예망에서 망고의 제어가 어렵다는 점, 망목에 뜸이 걸려서 파망이 자주 일어나는 점, 네트드럼에 감기는 어구부피가 너무 크다는 점 등의 해결방법으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우리 나라 쌍끌이 중층망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850ps급 쌍끌이 기선저인망어선에서 현재 사용되는 실물망을 1/100로 축소 제작한 모형망에서 뜸을 모두 제거하고 끌줄을 양쪽으로 각각 두가닥으로 분리한 후 추를 부착하여 아래끌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망고를 제어할 수 있는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회류수조에서 유속에 대한 아래끌줄의 길이에 따른 어구의 전개성능 등을 규명하고 기준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체저항은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약 10∼20%정도 작았으며, 무부자망의 유체저항은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약 1ton씩 증가하였다. 또, 동일유속에서 dL이 10m씩 증가함에 따라 아래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은 약 5%씩 감소하고, 그 반면에 윗 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이 증가하였다. 2. 망고는 직선에 가까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망고감소율은 무부자망의 경우가 기준형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져 dL이 30m인 무부자망을 기준으로 3.0knot일 때 12%, 4.0knot일 때 25%로 나타났다. 3. 망폭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약 2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4. 망구면적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망구면적의 감소율은 기준형보다 무부자망이 더 작게 나타났다. 여과량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기준형이 3.0knot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무부자망은 4.0knot까지 증가하였다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5. dL의 최대적정길이는 망구면적 및 여과량이 최대인 30m일 때이며, 추의 최적위치는 4개의 그물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이었다.
        4,200원
        12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과 이(1997, 1998a, 1998b)가 개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온실의 골조율과 동길이가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글조율의 증가에 따라 산란일사 투과율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골조율의 영향은 작게 나타났다. 동일한 골조율에서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동수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동 또는 연동온실의 기본 골조물을 14.9%로 설정하였을 때 11.3%의 골조율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은 약 1.5∼3.0% 증가하였으며, 골조율이 18.3%일 때에는 1. 5∼3.0% 낮게 나타났다. 연동 온실에서 골조율의 증가 또는 감소가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효과는 동서동과 남북동 온실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직달일사 투과율의 차이가 동계에 온실내의 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온실을 설계할 때 구조물의 안전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내구력을 지닌 경량의 구조재를 사용하여 일사 투과를 각 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길이가 24.5m 이상인 경우 동서동 또는 남북동에서 직달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동길이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1.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sea water cooling system under various refrigerant pipe length. In sea water cooling system, the increase of refrigerant pipe length cause increases of pressure drops. These pressure drops cause fresh gas in liquid pipe and increase specific volume in gas pipe outlet, so sea water cooling system capacity is decreased by decrease of refrigerant mass flow rate. Sea water cooling system capacity in refrigerant pipe length 70m is decreased more than 30% when compared with pipe length 10m and the decrease of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is nearly 20%.
        4,000원
        13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개의 집중하증을 받는 단순지지 변화꼭선길이 보에 관한 연구이다. Bernoulli-Euler 보 이룬에 의하여 정확탄성곡션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윤 유도하고 이를 수치해석하여 정확탄성꼭선의 거동값들을 예측 하였다, 미분방정식을 적분하기 위하여 Runge-Kutta method를 이용하고, 단부의 회전각을 산출하기 위하여 Regula-Falsi method플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수치해석 결과들은 문헌값듬과 매우 잔 일치하여 본 연 구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로 정확탄성곡선익 거동값파 하증사이익 관계 및 한계거동값 과 하증위치변수 사이의 관계를 각각 그림에 나타내였다 수치해석의 결과를 분석하여 변화곡선길이 보에서 발생가능한 최대 단부회전각, 최대 처점 벚 최대 휩모벤프를 산정하였다.
        4,000원
        133.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standard methods of cane length measurements were compared to find which methods really achieve the elbow flexion of 20 degrees to 30 degrees Twenty-four patients with hemiplegia who were ambulato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hod I : Length of the cane measured from the floor to the top of the greater trochanter. Method II : Length of the cane measured from the floor to the distal wrist crease with the arm at the side. Using an adjustable cane, each individual was fitted according to the two methods, and elbow angle was measured after each adjustment. The elbow angle according to Method I and Method II was , ,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lbow angle or the cane length between the two methods. Of the 24 participants, 5(20.8%) measured according to method I and 3(12.5%) measured according to method II showed the elbow angle between 20 degrees and 30 degrees. These low predictive rates of agreement between ideal cane length and actually achieved elbow angle showed that these two methods which have conventionally been accepted as a standard to measure ideal cane length need to be revised through further research.
        4,000원
        134.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of several crutch-fitting techniques best predicts ideal crutch length. Ideal crutch length is defined as the length of the crutch, including accessories, obtained during stance when the crutch tip is 6 inches (15.2 cm) lateral and 6 inches(15.2 cm) anterior to the fifth toe and the axillary pad is 2.5 inches(6.4 cm) below the axillary fold. Forty four volunteers were measured for crutches using each of the following methods:(1) 77% of actual height, (2) actual height minus 40.6 cm, (3) actual height minus 45.7 cm, (4) olecranon to opposite third finger tip, (5) olecranon to opposite fifth finger tip, (6) 77% of arm span, (7) arm span minus 40.6 cm, (8)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9)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10) ideal crutch length. Of the techniques studied, the two involving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were found to be good predictors: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and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Finally, two additional length estimates were deriv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se estimates provided the best overall predictors based on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and actual height.
        4,000원
        135.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탄소/탄소복합재료의 마모특성에 대한 탄소섬유 길이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매트릭스 precursor로 레졸형의 페놀수지와 강화재로 표면처리를 하지않은 PAN계 단섬유형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액상함침법으로 1회의 고온열처리 공정과 4회의 탄화공정을 통하여 탄소/탄소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Disk-on-disk형의 마모시험기를 통하여 상대 마찰재로 AISI 304 stainliss steel을 사용하여 0.6MPa(61 ×103Kg/m2)의 압력과 0.71m/sec의 미끄러짐 속도하에서 측정된 탄소/탄소복합재료의 마찰계수는 0.2-0.3이었다. 마찰계수에 대한 섬유의 길이의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마모 속도는 섬유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실헙 결과를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마모 모델을 적용하여 고찰하여 본 결과, 섬유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탄소복합재료의 마모 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은 생성된느 마모조각의 크기가 커기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36.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Sorghum-Sudan hybrid를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달리하여 silage를 제조하였을 때 이들이 silage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저 실시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황숙기(黃熟期)에 예취(刈取)하여 각(各)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1.0, 2.5 4.0cm로 하여 silage를 제조한 후 silage의 일반성분(一般成分),
        4,000원
        13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석탄가스화 슬래그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석고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건조수축 길이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석고 미혼입타입에서는 최대 15x10-3 의 길이변화량을 나타내어 OPC에 비해 굉장히 큰 변화량을 보이는 반면, 석고 혼입타입에서는 최대 10x10-3 의 길이변화량을 나타내어 OPC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치환율에 따라서 적은 수준의 길이변화량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CGS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고의 혼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38.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소섬유는 경량이면서 높은 기계적 특성 때문에 우주항공, 선박, 자동차, 토목 및 건축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그 어느 때 보다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섬유혼입률 및 섬유길이 변화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시멘트 복합재료( CFRC)의 역학적 특성과 휨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자연 낙하시험에 의한 모르타르 시편에 대한 내충격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더불어, 탄소섬유(CF)의 혼입률은 0.5%, 1.0%, 2.0% 및 3.0%로 변화를 주었으며, 각각의 섬유길이는 6 mm와 12 mm를 사용 하였다. 실험결과, 플로우 값은 탄소섬유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유동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였으며, 단위용적질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압축강도는 탄소섬유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반면 휨 강도는 섬유 길이가 12 mm이고 2% 혼입한 것이 가장 높은 휨 강도를 보였다. 내충격성 시험결과, 보통 모르타르 시편은 완전파괴까지의 낙하횟수가 2∼3회 정도 걸리지만 반면 CFRC 시편은 섬유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섬유길이가 12 mm이고 섬유혼입량 2% 인 경우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13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evaluate the Local damage properties of amorphous metallic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by different fiber length. 30mm and 15mm length of amorphous metallic fiber was reinforced and fiber volume fraction was set to 1.0, 1.5 vol.%. Flexural test and high speed projectile impact test was performed. As as result, 30mm length of specimen showed more good flexural and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compared to 15mm length of specimen.
        140.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이산 균열망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균열망을 구성하는 균열요소의 길이분포가 유체 흐름 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수치적으 로 분석하였다. 균열요소의 길이분포의 생성을 위해 절단멱분포법칙을 적용하였으며, 지수 β₁을 1.0에서부터 6.0까지 변화시키면서 유체 흐름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지수 β₁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요소들의 길이분포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며, 이로 인해 균열망의 투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균열요소들 간의 연결성은 취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지수 β₁에 대해 균열요소 각각에서 계산된 유량분포를 분석하였을 때 β₁= 1.0에 서의 평균유량이   6.0에 비해 약 447배 크게 산정되었으며, 균열망의 유출경계에서 계산된 유량의 경우 β₁일 때가 6.0에 비해 약 6,440배 크게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