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0

        123.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biotic resistance of thirty strains of Shigella sonnei isolated from patient of Shigellosis outbreke at Young Cheon area in 1998 was tested. Twenty-seven strains were resistant to Tr(Trimethoprim-Sulfamethoxazol) and Shigella sonnei SG-8 was resistant to Tr(Trnnethoprim-Sulfamethoxazol), Ap(Ampicillin), Cp(Cephalothin) and Pi (Piperacillin). Shigella sonnei SG-49, SG-66, and SG-73 were senstive to all tested antibiotic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solated Shigella sonnei SG-8, SG-49, SG-57, and SG-73 such as effect of pH, NaC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survival in adverse condition and heat resistance were investigated Growth of the strains were inhibited at pH 4 and pH 9. All strains were grown in Tryptic soy broth containing 6% of NaCl but inhibited in TSB containing 9% of NaCl except Shigella sonnei SG-73 after incubation for 18hrs at 37℃. Selected strains grew during storage at 10 but did not grow at 4.1he strains were survived in 1 % pepton solution for 15 days at 37℃. Viable cell of selected strains were decrease 45 log cycle after heat treatment for 30 miss at 60℃ but did not detect by heat treatment for 5 wins at 70℃.
        4,000원
        124.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선량 방사선 조사한 고추 2품종, 조광고추와 조흥고추의 종자 발아율과 초기생육 및 고추 유식물체의 후속 고선량에 대한 내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저선량 0, 4, 8, 20, 50 Gy를 조사하여 재배한 고추 유식물체에 γ선 50 Gy와 100 Gy를 조사한 후 생육상황을 관찰하였다. 저선량 조사한 고추 유식물체의 초기생육 촉진과 후속고선량 내성은 품종에 따라 달랐는데, 조광고추보다 조홍고추 품종에서 뚜렷한 증가효과를 나타냈고 발아율과 초
        4,000원
        12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존 유기물의 농도를 BOD로 신속히 측정하여 폐수 처리 공정에 feed back할 수 있는 Candida BOD sensor를 이용하여 BOD를 측정하였다. Glucose, acetic acid,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에 대한 sensitivity는 lactose, sucrose및 lactic acid의 sensitivity보다 더 높게 나타나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BOD sensor의 출력 신호가 다르게 제시되었다.
        4,000원
        128.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의 엽록체 small HSP의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의 기능을 밝히기 위하여 Oshsp21 cDNA를 pET 발현 vector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된 대장균 배양액에 IPTG를 첨가하여 단백질 발현을 유도시킨 다음 고온 stress 하에서의 생존율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균주의 경우 에서의 생존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Oshsp21이 발현된 대장균의 경우 7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장균 단백질을 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 대장균 단백질을 가용성과 비가용성 단백질로 분획한 다음, 각각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균주의 경우 총 단백질의 약 60%가 비가용성 단백질로 변성되었으나, Oshsp21을 발현시킨 대장균의 경우 총 단백질의 약 35%만이 비가용성 단백질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벼의 엽록체 small HSP는 세포내에서 분자 chaperone으로 기능하여 고온내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
        130.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엽록제 small HSP의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상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작성하였다.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의 형질전환 식물체의 고온내성을 chlorophyll 형광으로 측정하였다. Leaf disc를 고온조건에서 5분간 처리한 후, 광화학계 II의 불활성화를 나타내는 Fo 값의 증가 또는 Fv 값의 감소치를 조사하였다. 형질전환 식물체는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의 이들 값의 증감율이 현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유식물체를 에서 45분간 처리한 후, 에서 계속적으로 배양하였을 때, 비형질전환 식물체는 전부 고사하였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의 약 80%는 생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엽록체 small HSP가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 광합성기구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
        13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원성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방선균 LAM 98-80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sp. LAM 98-80으로 동정·명명하였다. 이 균을 이용하여 병원선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의 최적 생성 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1.5%의 soluble starch, 질소원으로는 1.0%의 yeast extract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무기염으로 Mn^2+을 0.04%을 첨가로 항생물질의 생성량을 80%나 증가시켰다. 배지의 초기 pH는 7.0, 최적 온도는 30℃ 그리고 배양일수는 5일만에 최고의 생육 및 생성을 나타내었다. 시험균으로 사용한 cephalosporins 내성 병원성 Pseudomonas는 cepha계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을 띠었으며 β-lactam계인 ampicillin, amoxicillin에 대해서는 민감하였다. 그리고 조정제한 항생물질의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70℃에서 1시간동안 안정하였고 pH 3에서 9까지 넓은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각 종균에 대한 항생작용은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진균인 효모와 곰팡이에는 효과가 없었다.
        4,000원
        13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엽수와 활엽수 펄프내의 리그닌(lignin) 제거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호알칼리성 균류인 Cephalospotium sp. RYM-202의 xylanase를 표백 전처리하고 이에 의한 펄프의 표백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펄프 모두 50℃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였을 때 펄프내 xylan의 가수분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펄프내 xylan의 가수분해를 위한 효소의 최적 pH는 8.0이었으며, pH 9.0에서도 최대활성의 90%
        4,000원
        133.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 영동, 경북 경산과 경주에서 1996년 12월과 1997년 1월에 포도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저온에 대한 내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포도 Campbell Early 품종의 E.C.를 보면 12월 중의 저온에 대한 내성은 각 지역별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1월은 경주에서 재배되는 것이 가장 피해가 적었고, 충북 영동의 것이 피해가 가장 많았다. 2. Sheridan 품종 역시 12월의 E.C.가 영동에서 피해가 많았다. 경주와 경산에서는 피해가 적었다. 그리고, 1월은 전반적으로 피해가 많았다. 3. 눈의 갈변도 측정에서 두 품종 모두 영동지역에서는 12월이 1월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경북 경산, 경주 지역은 12월과 1월 모두 영동지역보다 피해가 적었다. 4. 수피 갈변도 측정에서 눈의 갈변도와 같은 경향으로 영동 지역에서 12월 휴면 초기가 피해가 심하였고, 1월은 저온에 강한 편이었다. 5. 눈의 맹아율은 12월에 에서도 맹아가 되었으나 1월에는 영동을 제외한 경산과 경주에서는 맹아율이 높았고 영동지역에서는 와 에서 낮았다.
        4,000원
        134.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lydicus YSK-681이 생산하는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질정제는 chloroform으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 ODS, GPC HPLC순으로 진행하였다. FAB MS의 분자량 측정결과 m/z 1022.4와 1036.4(M+H)^+의 두 개의 피크가 분석되었으며, NMR 분석에서는 -OH와 leucine으로 추정되는 관능기가 조사되었다. 정제된 항생물질의 MIC는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 1∼32 ug/ml그람음성균과 효모에서는 125 ug/ml 이상이었다. 임상에서 분리된 129개의 MRSA에 대한 MIC는 8 ug/ml이었으며, 암세포인 P388, HeLa, S180에 대한 세포독성은 없었다.
        4,000원
        13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은 매년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약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은 여러 항생물질에 대하여 다제내성을 나타내므로 감염증 치료에 어려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감염증치료에 사용할 목적으로 임상 가검물에서 분리한 MRAS를 시험균으로 사용하여 항균 활성이 강한 방선균인 YSK-681을 선별하였다. 균주 동정을 위하여 선별된 YSK-681을 형태적, 배양학적, 생리적, 화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41개의 단위 항목을 조사하여 TAXON program으로 수리 동정한 결과 주군집 29에서 속하는 Streptomyces lydicus로 동정하였다.
        4,000원
        136.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evaluated the role of Ag additions on the strength, fracture toughness, elastic modulus and resistance to thermal shock of (YBCO) superconductor. Addition of 10 vol.% Ag improved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whereas, decreased elastic modulus of YBCO. In addition, YBCO-Ag composites improved resistance to thermal shock probably due to enhanced strength, fracture tough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as a result of Ag addition. It is to be noted that YBCO-Ag made by mixing with solution showed slightly higher strength, fracture toughness and resistance to thermal shock, compared to that made by mixing with metallic Ag powder. These improvement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microstructure of more finely and uniformly distributed Ag particles.
        4,000원
        137.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brio mimicus is a closely related species with V. cholerae, an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infections. Although extraintestinal infections of these vibrios have also been reported in Japan and Southeast Asia. But little research papers on V. mimicus was reported in Korea. Therefore, we tried to isolate V. mimicus from the environmental sea water from April to July in Pusan, Korea. Among the isolated strains, we selected the strongest hemolytic strain and then named V. mimicus SM-9. In this paper, we checke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psychro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strain. Hemolytic activity of the hemolysin produced by the isolated strain was also measured. V. mimicus was not detected from the sea water samples in April and May, but its detec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June and July in Pusan, Korea. The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 mimicus SM-9 were Gram-negative rods, motile, oxidase positive, Voges-Proskauer negative and sucrose negative. In 23 kind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V. mimicus SM-9 showed susceptibility to the most of antibiotics submitted while it was resistive against lincomycin, oxacillin, rifampin and vancomycin. Hemolytic activity of the hemolysin produced by V. mimicus SM-9 was highest in stationary phase of the growth curve in BHI broth at 37℃ and its activity was reached 18 HU per ml of culture supernatant. For checking the psychrotrophic property of V. mimicus SM-9, the decreasing rate of the strain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yellowtail flesh homogenate was examined during the storage at 4, 0, -4 and -20℃. The decreasing rates of the selected strain stored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were greater than those in fish homogenate. Decreasing rates of V. mimicus SM-9 stored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torage temperatures.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strain were decreased as 5 log cycles after 120 hours at all the tested temperatures. While decreasing numbers of the strain in fish homogenates were 2-4 log cycles after 120 hours. The decreasing pattern of the strain numbers were very slow after 200 hours at all the stored temperatures.
        4,000원
        138.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evibactericum속 균주로 부터 N.T.G. 처리하여 1차로 140개의 변이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로 부터 2차 확인후 50균주를 선택 생성량을 보았다. 그 중 가장 생성량이 많은 균주 APT-104(phe-) 균주를 다시 N.T.G. 처리하여 PFP 내성 균주 13균주를 분리하여 그 중 가장 생성량 높은 균주를 다시 N.T.G. 처리하여 PFP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내성이 강한 균주를 5균주 선택 하였다. 이상 선택한 균주의 L-tyrosine 생성량을 비교 검토한 결과 PFP-106 균주에서 가장 높은 생성을 보였다. (50mg/l) 따라서 이 균주의 배지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탄소원에서의 영향은 Sucrose 나 glucose 첨가시 76mg/l, 50mg/l 로서 효과적이었으며 그 농도는 10% 농도가 가장 효과적 이었다. 질소원에서는 (NH_4)_2SO_4첨가시가 50mg/l 로 높았고 다른 질소원은 오히려 낮은 생성을 보였다. 그 농도는 3%가 적당하였다. 아미노산의 영향은 glutamic acid와 L-tryptophane 생성에서 각각 106mg/l, 108mg/l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L-phenylalanine 의 농도는 100mg/l 첨가시 L-tyrosine 생성량이 50mg/l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