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

        121.
        198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lfuric acid sulfonation mixtures of 2-aminonaphthalene, contained 2-aminonaphthalene, Dahl's acid, Broenner's acid, amino-F-acid and Baden acid, can be determined quantitatively by multicomponent spectrophotometric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diluted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and based on the ultraviolet absorption of the sodium salts of each isomers. The determination of quantity of each isomers was performed by subjection the absorbances of the unknown mixture and of its constituents, gathered at a large number of wavelengths, to a least square treatment by an electronic personer computer. This method provided a rapid analysis of such complex mixtur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1.65 mole %.
        4,000원
        122.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로드샵이 많이 있는 명동쇼핑거리, 강남쇼핑거리, 이대쇼핑거리를 방문한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자 외선차단제 중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선쿠션 제품에 대해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른 선택속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제품 구입 시 고려요인 6개 (‘사용감’, ‘자외선차단지수’, ‘용기디자인’, ‘편리성’, ‘브랜드’, ‘가격’)를 선정하여 각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연령별로 ‘자외선차단지수’와 ‘용기디자인’, ‘브랜드’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용기디자인’ 항목에서는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와 40대로 갈수록 평균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 요인 전체와 비교해봤을 때 높은 평균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최근 뜨거운 열풍을 불러일으키는 아이돌의 이미지와 신뢰도를 구축한 인기 캐릭터를 선큐션 용기에 접목한 캐릭터 콜라보레이션이 젊은 세대뿐 아니라 청장년층에게도 어릴 적 추억을 떠올리고 세대를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업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능성 중심의 제품개발에서 소비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올 수 있는 용기디자인 중심의 제품개발에도 힘써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자외선차단지수’와 ‘가격’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른 고객의 선호도와 요구 성능을 반영한 제품개발 및 디자인 구상과 이에 따른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2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s a medicinal herb which has been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a long time. Ginseng is well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immunity enhancement, anticancer, antioxidative effect and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These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have been reported to be due to various ginsenoside components.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identify the major components and functionalities of ginseng berry. Ginsenoside, a representative active ingredient of ginseng, is distributed in various parts of ginseng. However, contents of certain ingredient such as ginsenoside Re which have antidiabetic effect is higher in ginseng ber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insenoside content and UV blocking effect according to the color of ginseng berry. Methods and Results : The ginseng berry extracts for the component analysis and UV-blocking effect test were obtained by harvesting the ginseng berry by color in 4-years-old ginseng cultivated, and then removing the seeds and extracting only the flesh of the ginseng berry and the peel with methanol. Ginsenosides analysis was carried out by dissolving 100 ㎎ of the extract in 2 ㎖ of methanol, filtering it with a 0.50 ㎛ filter and using it as a sample for HPLC analysis. Analysis of ginsenoside content showed that the total ginsenoside and ginsenoside Rb2 content of yellow ginseng berry were 23.9 and 2.9 ㎎/g, while those of red berry was 19.6 and 2.3 ㎎/g, respectively. The UV blocking effect of yellow ginseng berry was 17.4%,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red berry. Conclusion : The ginsenoside content and UV blocking effect of yellow ginseng berry were superior to those of red berr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yellow berry is more useful as cosmetic material for UV protection.
        124.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이차 대사산물은 다양한 생물활성을 가지며 자외선은 이차 대사산물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나무는 다양한 종류의 유용 성분을 함유하여 활용가치가 높은 식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UV 조사에 따른 뽕나무 잎의 이차 대사산물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뽕나무 잎을 LC-MS를 이용하여 무표적 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무표적 분석으로 얻은 scan data를 bioinformatics 프로그램인 R의 XCMS package를 이용하여 profiling 한 결과, 적어도 35종 이상의 화합물에서 UV-C 조사에 따른 양적인 변화가 발견되었다. 이들 중 14종의 화합물은 분리 및 NMR spectrum 비교 또는 표적 분석을 통하여 종류를 확인하였으며, 종류가 확인된 성분에 대해 정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morin(464배), oxyresveratrol(256배), 2,3-trans-dihydromorin(170배), 2",4",2,4-tetrahydroxychalcone(120배), catechin(84배), 4"-prenyloxyresveratrol(43배), moracin M(35배) 등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UV-C를 조사한 뽕나무 잎은 대조구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이 2.1-2.4배, tyrosinase 억제 활성이 2.3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자외선의 조사가 뽕나무 잎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기능성 식품, 약용 또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를 향상시키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12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 중 가장 에너지가 높은 파장으로 피부노화 유발 및 활성산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유해 기작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화장품 분야에서의 블루라이트 차단 소재 연구 및 관련 제형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측정과 관련된 시험법 또한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블루라이트 차단 효능 평가 시험법은 해외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 평가 방법을 참고하여 확립하였다. 국내에 고시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제 원료 27종 중 17종에 대하여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징크옥사이드가 14.97%,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16.32%,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이 35.47%, 티타늄디옥사이드가 65.96%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한 동일 함량의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확인한 결과 Nano-티타늄디옥사이드 보다 Micro-티타늄디옥사이드가 두 배 이상의 차단효과가 높게 나타냈다. 제시된 블루라이트 차단효과 평가 시험법은 블루라이트 차단 소재 탐색 및 화장품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총 100건을 대상으로 살균보존제 16종과 자외 선차단성분 18종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검출률이 가장 높은 살균보존제 성분 5가지는 페녹시에탄 올(61건), 안식향산(19건), 메틸파라벤(11건), 벤질알콜(8건), 프로필파라벤(7건)순이었으며, 자외선차단성 분의 경우는 티타늄디옥사이드(81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69건), 징크옥사이드(48건), 에칠헥실살리 실레이트(48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44건)순이었다. 검사한 100건의 화장품 모두 검 출된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 함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사용한도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일부 자 외선 차단 화장품의 경우 포장⋅용기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이 검출되었다. 100건 중 31건의 화장품에서 표시되지 않은 살균보존제 성분(벤질 알콜 등 6종)이 검출되었고, 2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자외선차단성분(호모살레이트 등 2종)이 검출되었다.
        12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존의 인공적으로 합성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대체하는 안정적인 식물유래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땅콩싹추출물, 병출추출물 및 곰피추출물로 구성된 천연 자외 선 차단제(BHC-S)는 합성 자외선 차단제인 Parsol MCX-XR (OMC)와 동등 수준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가지며, 주름개선 등 다기능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자외선 차단 및 항노화을 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2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웰니스 시대에 접어들었고 그로 인한 제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식문화의 다양화와 기후변화에 의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되는 장염, 식중독 등의 질병이 문제가 되고 있는 현 시대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가정용 자외선 살균기 디자인 개발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의 방법 및 내용으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한 UV 살균기술의 이해와 가정에서 사용되는 칼과 도 마의 일반적인 살균 보관기능을 가진 제품 및 UV를 이용한 제품의 시장 동향 및 디자인권 출원 추이를 통한 디자인 현황 을 살펴보고 동종⋅유사 제품에 대한 시장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위의 문헌 조사를 통해 제품의 문제점과 개선방 안을 도출하고 사용자 분석 및 디자인 트렌드 분석을 진행하여 디자인 키워드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컨셉을 기반으로 아이디어 스케치, 3D 시뮬레이션 등 단계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전문가와 소비자평가를 통해 최 종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정용 자외선 칼⋅도마 살균기의 제품 디자인 개발은 사용자 경험 분 석 및 디자인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디자인 개발과 살균과 건조 기능이 융합된 제품으로 향후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며 건강한 식문화와 삶을 위한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29.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rgocalciferol is known as having vitamin D activ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UV irradiation on the increase of egocalciferol content were investigated in 7 kinds of mushrooms, i.e, lily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young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shiitake (Lentinula edodes), and wood ear mushroom (Auricularia auricula-judae). Mushrooms which were not exposed to UV light contained negligible amount of ergocalciferol in all kinds of tested mushrooms, but UV irradiation increased their content of ergocalciferol. Of UV A, B and C, UV B light was the most effective to increase ergocalciferol contents. In mushrooms, the increase in ergocalciferol content occurred only in the peel within 1 mm depth from the surface, which was directly exposed to the UV light. Therefore, when fresh whole mushrooms were irradiated with UV light, lily mushroom, the mushroom with a larger surface area compared to volume, such as lily mushroom, was more favorable in producing ergocalcifero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ushrooms were freeze-dried and cut, the mushrooms with a higher ergosterol, such as king oyster mushroom, shiitake or button mushroom, were more favorable in generating ergocalciferol.
        130.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eration with low energy micro-bubble generation and UV/H2O2 processes was introduc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oxidation treatment for acid mine drainage. During 10 hours of aeration with micro-bubbles, Fe and As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to 18.1 and 61.8%, respectively, while Cu, Cd, Al were kept at influent concentrations. Other heavy metals such as Mn, Cr, Pb, Zn, and Ni concentrations fluctuated due to the repetition of oxidation and release. Twenty days of aeration indicated the oxidation possibility for Cu, Cd, and Al. With the employment of UV/H2O2 processes, more than 77% of Cu and Fe removed, whereas slightly more than 30% of Cd and Al removed.
        13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은 피부 노화를 가속화하여 피부 광노화를 유발하고, 일광 화상, 피부암 등을 유발한다.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더라도 일부 자외선에 의하여 피부 손상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에 대한 피부 자체의 방어력을 올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식물에서 자외선 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OP1이 사람의 피부 에서도 자외선에 대한 반응들을 조절한다고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COP1과 그의 결합 단백질 DET1 이 사람 피부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에 대한 시그날 조절 물질인 c-Jun 단백질 양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 였다. 자외선에 노출 시 COP1과 DET1 발현이 감소하였고, 그 영향으로 c-Jun 단백질이 증가하였다. 반대로 COP1과 DET1을 발현하는 DNA를 transfection 시켜줄 경우 c-Jun 단백질 양이 감소하였다.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서 COP1과 DET1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이 COP1과 DET1의 발현을 증가시켜 주었다.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은 c-Jun 시그날에 의해서도 조절되는 MMP1이 자외 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억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PPAR-α 활성이 있어 장벽강화를 통한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데, 자외선에 의하여 염증 유발 물질인 IL-6와 IL-8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도 억제 하였다. 사람의 팔에 자외선을 쪼여 준 경우에도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이 홍반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홍반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였다. 종합적으로,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양한 메카니즘을 통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132.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enhance extracellular acidic protease production by subjecting a protease producing strain Cordyceps pruinosa DK-01 to random mutagenesis by UV irradiation after ethidium bromide treatment. Methods and Results : Mutants were screened as protease producers on the basis of zone of clearance and relative proteolytic activity (RPA) on skimmed milk agar plates. In addition, mutants showed strong pink-red color intensity and different RAPD profiling compared with wild type control. Four muta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ir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liquid culture without casein, 2.2-, 2.9-, 5.2- and 4.4-fold higher acid protease activity was achieved from mutants DK-m9, -m11 and -m12, respectively, than that of wild type strain (11.13 ± 1.60 U/ml). In liquid culture with casein, 1.1-, 1.3-, 1.3 and 1.3-fold higher acid protease activity was achieved with those mutants were found to produce, respectively, than that of wild type strain (93.95 ± 12.84 U/ml). Maximum acid protease activity was noticed from a mutant DK-m11 in liquid culture with casein (121.18 U/ml) and without casein (57.65 U/ml). The extracellular acid protease produced from DJ-m11 that was active in the pH range 4.5-6.5 and optimum temperature for the activity was 37°C. Furthermore, we found a deformed, shorten structure of setae on the elytron surface of dynastid beetles treated with culture supernatant of the DK-m11. Conclusion : These findings have more impact on enzyme economy for biotechnological and insecticidal applications of fungal proteases.
        13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 손상은 주로 자외선, 열, 담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데, 이는 활성산소종의 과생 성으로 인한 피부노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돌배(Pyrus pyrifolia NAKAI)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과일로써 항암, 항산화, 항염증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배나무잎 추출물(Pyrus pyrifolia leaf extract, PPE)의 ultraviolet B (UVB)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섬유아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Lactate dehydrogenase assay와 DCF-DA를 이용한 정성분석 실험은 PPE가 인간의 섬유아세포에서 UVB 스트레스 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및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기능저 하, 막전위 저하, 그리고 세포사멸과정의 핵심 인자인 caspase-3 활성도 유의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 으로, PPE는 UVB스트레스에 의해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을 억제시켰으며, 이로 인해 생기는 피부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134.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 oxidative potential and protectiv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eonurus sibiricus L. leaf (LSLW) against ultraviolet B (UVB)-induced oxidative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To evaluate the anti oxidative activity of LSLW, we measured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ies,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reducing power of LSLW. For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HaCaT cells, the cells were irradiated with UVB at 40 mJ/㎠.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LSLW against UVB, we measured cell viability and apoptotic bodies using annexin V staining. LSLW showed anti oxidative activities by scavenging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anion and by reducing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LSLW showed high reducing values. The UVB-induced oxidative conditions led to cell apoptosis. However, treatment with LSLW ameliorated oxidative stress conditions, including inhibition of cell death, apoptotic body. Taken together, LSLW exhibited anti 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B-induced damage in HaCaT cells. Thus, LSLW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for UVB-induced skin aging.
        13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극심하고 지속적인 자외선에의 노출은 정상적인 피부구조를 파괴하는 다양한 피부 광노화 과정을 야기한 다. 자외선은 인체 피부에서 세포외기질의 구성성분을 분해시키는 기질 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발현을 활성화시키고, 콜라겐 합성은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의 탄력과 구조적 치밀도를 약화시켜 궁극 적으로 피부주름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부 광노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소재로서 영실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주인 Hs68을 이용하여 영실의 세포증식 촉진효능을 확인하였다. 여기 에 더해 영실이 activator protein (AP)-1 전사인자의 억제를 통해 MMP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mRNA 및 단백 질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진피층을 구성하는 타입 Ⅰ형 콜라겐과 표피-진피 경계부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타입 Ⅳ형 콜라겐 역시 영실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며, 자외선에 의한 염증반응의 억제에도 영실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실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와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짐으로써 항노화, 항염증 및 항주름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자외선 (ultraviolet radiation, UV), 중금속, 각종 산화 물질들과 같은 외부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손상을 받 기 쉽다. 특히 자외선 B (UVB)는 진피의 상부까지 도달하여 화상이나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멜라 닌 생성을 촉진시켜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지나친 자외선 B의 피부세포로의 유입은 각질세포 및 진피 섬유아 세포의 DNA손상을 야기하고,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피부탄력감소, 주름생성, 진피 결합조직의 손상 과 함께 피부장벽을 붕괴시켜 노화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심각한 피부 병변으로 이어져 피부세포 사멸 및 종양의 발생으로까지 이어진다. Haloarcula vallismortis는 사해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로 호염성 고생 물의 생장적 특징은 아직 자세히 연구된 바는 없다. 대게 10% 이상의 염도에서 자라는데 실제 생장염도는 평균 20 ∼ 25% 염도에서 자란다. 염도가 높은 호수나 염전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강한 햇빛에 대한 방 어기작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로 다른 ATP를 생성하기 위한 bacteriorhodopsin외에 halorhodopsin이라는 색소를 이용, 광자(photon)를 흡수하고 염화이온 채널을 개방시켜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추가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 carotenoid 색소로 인해 농도가 높을시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띄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강한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을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호염성 고세균이 자외선을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 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이들의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항염 효과 및 DNA 손상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소재로서 사용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3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기 자외선 흡수제와 오일들 간의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의 안정성과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른 이들의 자외선 차단 효율 변화를 조사하여 보다 안정하고 효율이 높은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일의 종류, 농도 그리고 보관 조건에 따라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도 및 안정성이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에멀젼상에서도 자외선 차단지수에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흡광도가 측정되었으며, 조합 시 각각의 자체 흡광도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었고, 특정 성분과의 조합 시에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보관 조건에 따라서도 자외선 흡광도는 상이하게 측정되어,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8.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우리는 유기자외선차단제와 왁스를 함유하고 Tween 80과 Span 80의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o/w 나노에멀젼에서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에 대해 연구하였다. Tween 80/Span 80 유화시스템에서 칸데릴라 왁스를 함유하고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는 50 nm 이하였다. Tween 80/Span 80/칸데릴라 왁스/유기자외선차단제의 농도를 4.5:0.5/3.0/2.0 wt%로 고정하고 다양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각각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한 결과, Parsol MCX와 Escalol 587에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또한 동일 시스템에서 Parsol MCX와 칸데릴라 왁스의 비율은 2.0 미만일 때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자외선 흡수 효과는 Parsol MCX와 칸데릴라 왁스를 혼용하였을 때 높은 상승효과를 보였다.
        13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석에서 순도 높은 금은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 청화법으로부터 시안이 유출되어 광석 내 존 재하는 중금속들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시안화합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시안화합물은 난분해성 오염물질로서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결합력에 따라서 중금속과 결합한 시안화합 물은 공유결합성 화합물(weak acid dissociable, WAD)과 착화합물(strong acid dissociable, SAD) 등으 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안화합물의 존재 형태별 광촉매 산화 효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특히 자외선 LED 광원의 파장과 광촉매 표면 개질이 시안화합물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 다. 실험 결과, 동일한 광촉매 산화 조건에서 자유 시안보다는 중금속과 결합한 시안화합물의 광산화 분해 효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유 시안의 경우에는 짧은 파장에서 광촉매 산화가 효과 적이었지만 중금속과 결합한 시안화합물의 경우에는 긴 파장에서 광산화 분해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광촉매 표면 개질에 의하여 광촉매 산화 공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4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말채나무는 한국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약재이다. 자외선은 피부의 광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효소처리 된 말채나무잎추출물(CWE)을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CWE를 처리하여 세포의 회복을 조사하였다. UVB를 조사한 섬유아세포에는 caspase-3 활성, phospho-p53, γH2AX,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CWE를 UVB가 조사된 섬유아세포에 12 h 처리하였을 때 caspase-3 활성, phospho-p53, γH2AX,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감소하였다. 또한 CWE은 인체첩포시험을 통해 인체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CWE는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 효과가 있는 원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