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0

        12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o, Jae-young. 2016. “The Character and the Creation of the Discriminatory Express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379~397. This study aims to explain of the character and creation of the discriminatory expression. This term are not scientific term in linguistic or sociolinguistics. In recently, this thema is interested in many sociolinguistic scholars, because of group being discriminated. I defined the term of discriminatory expression imply ‘(listener) realization’, ‘differentiated(to be discriminate)’ and ‘negative and aggressive intention’. This expression related in discriminative group or person. The expression created from contemptuous appraisal expression like as vulgar language. Vulgar language means [+contemptuous] and [+estimative] feature’s expression. These expression have qualification of deficit. But the main factors are discriminative group or person in society.
        5,400원
        12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some features of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onomatopoeia, which include onomatopoeic and mimetic expressions. The study analyzed 115 expressions from the 16 works of hangari (pot) which is written by Chung Ho-sung, one of the most well-known Korean writers. The Chinese translations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types: 1) maintaining onomatopoeia; 2) switching into patterns; 3) providing explanations; 4) deleting and 5) differentiating interpret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ype 3 (providing explanations) was most frequently used, being responsible for 39% of all the Chinese translations. Type 1, maintaining onomatopoeia, was responsible only for 26% of the translations, confirming that Korean has much more abundant onomatopoeia than Chinese. The other three types ranged from 10% to 14%, which requires some particular attentions of the translators. Finally, the study suggests a specific classroom activity which can facilitate effective learning of onomatopoeic translations of Korean into Chinese.
        5,200원
        12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상학은 몸의 물질적 표면에서 내면의 정신성을 파악하려는 지식 구성물이다. 얼굴 이미지로 부터 성격유형론을 추론하려는 인상학 담론은 근대 신경과학에 의해 물질성 담론으로 번역된다. 이 과정에서 측정과 기록을 위한 의학 기계와 미디어 기계의 기입 방식이 자각된다. 벨라 발라즈와 발 터 벤야민은 기계에 의한 사물세계의 인상학적 구성을 해명한다. 사물의 인상학에서 기계의 작동은 하나의 표현으로 옮겨진다. 이러한 현상은 인간, 사물, 기계가 혼종된 미학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6,100원
        12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emale fashion designs by reviewing the genderless styles in androgynous trends that have loomed large in women's fashion, as well as through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changes in women's fashion that were required in a society in which various values coexi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derless concepts, through which a total of 1,273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10 brands of the S/S collections, during the period of 2006~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out the juxtaposition of incongruous objects or images and a fixed type of color arrangements, the compromise shown in women's fashion were mostly expressed through various tones and diverse colors, and with the mixed use of heterogeneous patterns and materials. Second, the enjoyment of genderless styles was expressed with the unexpectedness that occur through symmetry/asymmetry and harmony/disharmony, as well as through the deviation from conventional notions regarding clothing structures. Third, the exaggeration expressed in women’s clothing collections perfectly covered up a woman’s body shape with the silhouette of exorbitantly expanded bulk and dimensions. These were done with extended lengths, expanded adornments, and modified clothing design types or structures. Fourth, the sensuality of genderless styles analyzed in women’s fashion was expressed with mannish clothing that accentuates the beauty of the female body. Lastly, the historicity shown in genderless styles was expressed through clothing that represented traditional styles of the past, the symbolic meanings expressed in the clothes’ colors and patterns, and the methods in which the decorative factors were utilized.
        5,100원
        127.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후 유형별 드라마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글쓰기, 창의적 언어표현력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경기도 도농복합 A시의 초등학생 29명을 대상으로 9개월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생의 ‘말하기・쓰기’ 및 ‘창의적 언어 표현력 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말하기 수행 평가 및 글쓰기 작품을 프로그램 실시 전・후 비교 분석하였다. ‘언어창의성 변화’는 프로그램 실시 전․후를 Torrance TTCT 언어창의력 검사지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간의 변화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읽기 후 드라마 활동이 말하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 과를 나타내었다. 몸짓의 평가요소인 적극성, 자연스러움, 언어와의 조화, 그리고 표정의 적절성, 다양 성, 자연스러움이 증가하였으며, 성량. 어조, 발음의 명확성도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둘째, 글쓰기 능력 역시 향상되었는데, 주제와 관련된 낱말을 연상하여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능력과 낱말에 꾸미 는 말을 넣어 자연스럽게 문장을 완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 한 낱말을 연결하여 3~4개 문장의 자 연스러운 짧은 글로 표현하는 능력도 향상되었고 주제와 관련하여 긴 글의 자연스러운 문장 능력도 향 상되었다. 셋째, 언어창의력 역시 향상되었는데,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의 평균값 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창의적 언어표현력 신장을 위해 그림책 읽기 후 유형별 드라마 활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5,800원
        12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some popular intensity measures of earthquakes including magnitude, MMI, and PGA as well as their empirical relationships are briefly reviewed since they have been widely used without prudence by mass media, the public, and even the government when asking or expressing the seismic capacity of buildings. The basic concept of current seismic design is also presented in order to facilitate relevant discussions. It is emphasized that expressing the building seismic capacity simplistically in terms of seismological quantities or terminologies like magnitude and MMI is inherently irrational, may be misleading the stakeholders, and should be avoided. Alternative expressions, more rational and consistent with current seismic design philosophy and practice, are recommended.
        4,000원
        129.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and analyze the expression of the kidul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hereby provide data to be used for fashion design in various manners as well as to suggest creative and varied possibilities of fashion design. As a way to study, the author of this paper organized the general terms, concepts and definitions concerning the kidult in the previous papers and journa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ollection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idult especially from 2006 to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s stimulating the innocence of children were used the most for infantile expression. Parody used characters in the movie or famous logos. Déformation was used to create designs by way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Exaggeration thereby showing visually strong impression and inducing surprise and unexpectedness. Dépaysement was useful to let us describe concepts and enhance our infinite creativity and interests about objects using surrealistic. Secondly, Infantile characteristics used the images of toys with infantile imagination and sense of humor. Fantasy introduced objects or expressed a dream-like feeling. Unexpectedness used two-faced ideas or conflicting ideas to express conflicts, collision and an interchange with heterogeneous things, avoiding the limit of size and the simplicity of materials. Parody used jocular expressions, satire and ironic expressions to express the original image in a fun manner. Exaggeration transformed changed the structure to restructure objects in a subjective and creative manner, thereby expressing creative patterns using various subject matters by way of special modeling or distortion and transformation.
        5,100원
        130.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sexual image and verify the method of its design expression through case studies of the sexual image evening dress shown in an Haute Couture Collection over the last 10 years (2005~2014).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ression by the seeing through of the natural body” expressed a natural sexual image that combined fashion of the previous times with the beauty of the natural body by using a see-through material and classic or ethnic image. Second, “expression of a sexual-image look that emphasizes romantic detail” illustrated a romantic sexual image that emphasizes feminine sensitivity by mixing various ornamental elements such as see-through material and symbolism of underwear image. Third, “creation of a nude look using skin color” expressed sexual image of an evening dress by inducing erotic sexual associ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opaque material of skin color and design shape that is intended for body exposure. Fourth, “combination of sexual symbol and heterogeneous elements” expressed a decadent, avant-garde and futuristic sexual images by using women’s underwear and a sexual symbol as design motif and mixed with mismatching elements. Fifth, “use of a fantastic black image” expressed an exclusive and refined sexual image and a decadent and primitive sexual image by using a fantastic image of black col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sign process of the eveningdress industry that aims for quality improvement.
        4,200원
        13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ximalism in modern fashion, which is contrary to the current fashion market that emphasizes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is an important notion that has been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designer’s unique sense with a mixture of experimental design. With such creative work that suits a trend in novel fashion design, Rei Kawakubo is a current representative of Comme des Garcons who has not only introduced deconstructivism and Japanese-style avant-garde to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first time. Our research, thus,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maximalism’s expression based on the features represented in her collection. Firstly, Expandability is classified as a method of distorting parts of a body and a method of excessively overinflating the silhouette of clothing. Secondly, decorations are expressed in the other as blending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together. Thirdly, fantasy evokes a fresh and stimulating surreal sensation that may only be felt in an imagination by assigning supernatural and amusing expression to the garment. The forth, fusion refers to a creation of novelty from combining various types of elements and images. The fifth, experiment is unique trait that develops mysterious images, consisted of various details. The sixth, non-structure is different from an initial form of garment that maintains a bilateral symmetry. The importance of our research lies in proposing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 as well as in expanding a range of possible expression for maximalis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seen in Rei Kawakubo’s collection.
        4,900원
        13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인들이 감정을 경험하고 표현할 때 그 특성이 청인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농인과 청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감정을 유발 시키면서 얼굴 표정을 녹화하였다. 감정의 경험 내용은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감정의 표현은 녹화된 얼굴 표정을 평정하였다. 두 집단 간에 경험 감정 속성이 동일한지 그리고 본인이 보고한 감정과 타인이 평가한 감정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였다. 경험 감정의 유형 및 강도 점수는 청인과 농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표현 감정 평정 결과는 기쁨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청인들의 기쁜 표정은 본인이 느낀 강도보다 타인에게 더 강하게 평가되는 반면, 농인들은 본인이 느낀 기쁨의 강도보다 훨씬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농인들의 감정 상태를 청인들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는 농인 청소년들의 감정 표출 방식이 같은 또래의 청인들과 달라 서로간의 감정적 교류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3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은 태어나서 유아기와 아동기를 거쳐 성인기에 입문하기 전에 청소년기를 거친다. 인간의 성장 발 달에서 청소년기는 중요하다. 아동기를 지나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건강하게 통과함으로써 성인으로 온전 히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풍노도의 시기, 사춘기라고 표현하는 청소년기에 스스로 정체성을 어떻게 수립했는가에 따라 그 이후의 삶의 방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들 중에는 인지 기능이 또래들보 다 낮아서 학업 성적이나 일처리 기능이 뒤처지는 청소년이 있다. 정서적으로도 긴장감이 많아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런 특징을 가진 청소년들을 지능검사 기준으로 분류할 때 경계선 지능 청소년이라고 한다. 이들은 외적으로는 극히 정상적이어서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어 보이고 학업이나 또래 관계도 어려움이 없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내적으로는 각자에 따라 기능 수준에 심각한 제한이 있어서 학업이나 가정생활, 또래 및 대인 관계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겪고, 정서적으로도 우울하며 언어적 표현력 또한 떨어진다. 이로 인해 이들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사회적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이를 인지하 지 못한 부모를 포함한 주변인들로부터 이들은 심각한 제한을 받고 이런저런 부정적 경험을 반복하게 된 다. 정서적 불안, 우울, 긴장과 사회적 낙인 등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자기 표현의 가능성을 타고난 인간 존재에 대한 배움학적 가능성을 상실하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향후 이 들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자기인식과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통해 모든 인간은 배움의 본성을 타고난 존재라는 미래지향적 인식의 확산뿐만 아니라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확대와 기본적인 인권 보호를 위한 현실적인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5,500원
        135.
        201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 automobile test drive reviews really deliver objective information to consumers with scientific expressions? For the analysi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ighteen media outlets -- ten Korean and eight foreign. Collected samples of car reviews were analyzed in terms of sentence unit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either a sentence with scientific expressions or a sentence with non-scientific expressions. Result showed that car review from 9 medias only had portion of sentence with scientific expressions exceeding 50 percent. Result supports this research's hypothesis that "test drive review of automobile isn't scientific."
        4,000원
        136.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Eun-ha. 2016. “Comparative Study of Linguistic Aspects Expressed in Cosmetic TV Commercials: With a Special Focus from 1960 to 1989 and from 2013 to 2015”.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1). 149~174.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vocabularies, textual structures, and types of persuasion in cosmetics TV commercials that have aired before the 1980s (1960~1989) and in the last three years (2013~2015). The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of frequency of occurrences, “declarative sentences” ranks the first, followed by “imperative sentences” before the 1980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last three years. Word final endings reveal that nouns have been the most frequent in both periods, followed by haera style before the 1980s and haeyo style in the last three years.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topic and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in cosmetics TV commercials. The results show that “skin” is the most frequent main topic in both periods. Remarkable topics in use indicate: “color” and “scent” before the 1980s, “moisture” and “anti-aging” in the last three years. In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alphabets have been in use for the written caption in the last 3 years, while Hangeul (Korean alphabet) were used for the written caption before the 1980s. Third, with regard to the textual structure, it is noted that the structural factors of the advertising texts were observed similarly. In the two periods under study, caption and female narrators texts have been the most frequently or mainly. Compared from 1960 to 1989 with from 2013 to 2015, male characters have appeared somewhat in the last three years while there have been no male characters before the 1980s. Finally, for the type of persuasion, “straightforward type” ranks the highest, followed by “economical type”, and “CM song type” before the 1980s, and “mixed type” among various types in the last three years.
        6,400원
        137.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ng Yoon-hee. 2016. “Language and the Senses: An Ethnographic Case Study of Coffee Flavor Terms in South Kore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1). 01~36.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the senses, by analyzing how people conceptualize and verbalize their sensory experiences of coffee flavors in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It first examines various linguistic descriptors for coffee flavors in the lexical level, of which acquisition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speaker’s increased capacity to discern and express their sensory experiences of coffee tastes and aromas. It also illustrates the ways in which the sensory perceptions of coffee flavors are expressed across different modalities, as shown in the examples of the synesthetic expressions of visual images of coffee and the spatial constructions of its flavors. Specific qualities of coffee flavors are also identified with some attributes and activities of their consumers, which are often extended to index the consumers’ specific social identities. Therefore, this paper demonstrates the crucial roles that language plays in mediating between the individual and subjective dimension of sensory expressions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in various social contexts.
        8,400원
        13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fine art class involving the use of smart devices. Particularly, this study aim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on of peer relationship based on self-expression and continuous recording by using smart devices. The class continued in 4 sessions with 5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selected the app-icon expressive of themselves and drew interpret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shared the results with peers to accept the ideas and opinions of ot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class involving the use of apps helped alleviate students' fear towards expression in connection with existing fine art expression, promoting students' expressivity, and the class helped develop clear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by allowing students to draw on their unique experience for interpretation of app-icon.
        4,000원
        139.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최근 등장한 영화들 가운데 시간적 구조를 영화 형식에 가장 흥미롭게 표현한 <500일의 썸머>와<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시간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어떻게 시각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표현의 형식’으로서 이야기의 구성이 스토리를 전달하는 도구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표현의 도구’로써 어떻게 사용되어졌으며, 그러한 이야기의 표현 형식이 스토리텔링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500일의 썸머>에서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된 인터타이틀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날짜별로 남자주인공의 심리상태나 연애상황을 인터타이틀의 영상에 표현함으로써 기억이 갖는 임의적인 시간의 배치로 인한 이야기 구성의 비논리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다양한 시기의 이야기를 액자식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각 시기의 이야기가 진행될 때 그 당시 사용했던 화면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한 편의 영화 내에서 화면의 크기가 각기 달라진다. 즉, 액자식 구성으로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1980년대(1.85:1), 1960년대(2.35:1), 1930년대(1.37:1)의 각 시기별로 그 당시 사용했던 화면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각 시대의 분위기와 예술적인 감각 등을 재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간의 배열을 독창적으로 시각화하였다. 이들 두 영화에서 시간의 배열을 시각화한 이러한 표현 방식은 현대 영화들에서 보여지는 상투적인 시간의 왜곡 구조에 창의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들 영화의 경우 비연대기적 서사방식 그 자체가 새롭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서사방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의 독창성이 관객에게 신선함과 퍼즐을 풀어내는 것과 같은 쾌감을 준다. 이러한 시간성 표현들은 단지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하는 형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표현을 통해서 스토리텔링에서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5,500원
        140.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宋元話本小說 ‘篇尾’에는 다양한 ‘修辭格’이 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修辭格의 표현을 통해 수사 예술의 뛰어난 성과를 살펴볼 수 있다. ‘篇尾’에 운용된 ‘修辭格’은 어문의 기세와 독자 의 인상을 강조하거나, 혹은 작품 내용을 응집하고 정련하면서 간단하고 정제된 방식을 유지 하기 위해서거나, 또는 어문 형식을 응용하여 서술적 흐름에 변화와 조화를 구현하는 등의 예술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수사 예술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먼저 서술자에 대한 감정 과 견해, 주장과 생각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며, 이어서 작품 내용에 대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이해를 도와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당시 話本小說 에 나타난 다양한 수사 기교를 통해 小說修辭學의 미학적 관점과 표현 예술의 구현 과정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宋元話本小說 ‘篇尾’에 나타난 수사 기교와 예술적 성취는 상당히 체 계적이고 숙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청자(독자)를 주요한 대상으로 그들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예술적 감흥을 전달하는 법을 강구하는 것이며, 동시에 작가 자신의 미적 감각을 ‘修辭格’의 운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작가는 작품에 대한 내용과 형식, 주제와 의미에 대한 예술적 안배와 조정을 ‘篇尾’를 통해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청자(독자)에게 효과적이고 적확하게 작품의 내용과 주제를 종결하거 나 정리하여 전달하고 있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