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9

        12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의 상승은 어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 수온의 변화는 어류 생리 거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수온의 상승은 산소 용해도의 감소 및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의 결합 능 력의 감소로 인해 저산소증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서양 연어 (Salmo salar) 치어 성장의 최적수온 (15°C)보다 고 수온 (20°C)에 사육 시, 대서양 연어 치어의 건강상태를 평가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가 방법은 NGS RNAseq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지표유전자를 개발하고, RT-qPCR 분석을 이용하여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하는 것이다. 개발한 생체지표유전자로는 interferon alpha-inducible protein 27-like protein 2A transcript variant X3, protein L-Myc- 1b-like, placenta growth factor-like transcript variant X1,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like 1 transcript variant X1, transferrin, intelectin, thioredoxin-like, c-type lectin lectoxin-Thr1- like, ladderlectin-like 및 calponin-1 등이다. 선택된 생체지표 유전자는 NGS RNAseq 분석을 통해 수온변화에 민감하게 발현한 유전자들이며, RT-qPCR 분석을 통한 이들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NGS RNAseq 분석을 통한 발현 양상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4,000원
        12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 유식물을 대상으로 대기 중의 CO2농도와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광(L), 수분(M), 유기물(N) 그리고 토성(S)의 변화에 따라 생육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본 것이다. 떡갈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전국 표고 800m이하의 산기슭, 산중턱 뿐 아니라 해변가의 야산이나 섬에도 잘 생육하며, 건조한 석회암 지역에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CO2농도와 기온을 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와 대기 중의 상태를 그대로 둔 대조구에서 광, 수분, 유기물 그리고 토성을 각각 4구배 (1, 2, 3, 4)로 처리하였다. 각 구배 당 24개체씩 파종하여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간 생육시킨 후 잎 수, 지하 부/지상부 길이 및 무게, 잎자루/잎몸/잎폭 길이 및 무게 그리고 비엽면적 등 20가지 형질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20가지 형질은 온난화, 광, 수분, 유기물 그리고 토성 환경에 의한 생육반응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지하부의 반응은 수분이나 토성 보다 광 조건에서 차이가 컸고, 이에 따라 식물체 무게와 지하부/지상부 비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잎면적은 모든 구배에서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아 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유기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 구와 처리구 간의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는 유식물이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광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응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2017년 중견연구지원사업 (NRF-2016R1A2B1010709)에 의하여 지원되었다.
        12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좁은가슴잎벌레의 각 태별 발육기간은 25℃에서 알기간 6.8일, 유충기간 1령 2.4일, 2령 2.2일, 3령 5.4일, 번데기기간 4.1일로 알부터 번데기까지의 기간은 20.6일이 소요되었다. 유충 및 번데기 발육기간 중 생존율은 25℃에서 1령 유충은 87.5%이고 2령, 3령유충과 번데기는 83.3%가 생존하였다. 성충의 산란과 수명은 25℃에서 산란전기간 10.6일(6 ∼10일), 산란기간 130.6일(13∼269일), 산란수 566.4개(13∼1,237개), 성충수명 189.0일(25∼365일)이었다. 또 성충의 최대 산란기간이 10, 15, 20℃에서 각각 650, 682, 402일로 매우 길었으며 산란기간 동안 일정한 시기에 산란수가 없거나 급격히 낮아지는 기간이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추가 구명이 필요하다.
        12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 type on the roof of a model buil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and to provide the suitable plant species for a green roof. On the roof of scaled model building, grass (GR: Zoysia japonica), sedum (SE: Sedum makinoi Aurea), maekmundong (MM: Liriope platyphylla), and jasanhong (JH: Rhododendron schippenbachii) was planted. From June 28 to August 28, i.e., for 63 days,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of the model building and the light intens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model building (CON: no plant and substrate on the roof). With increased global radiation, the maximum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28.2℃ to 51.74℃ for CON, from 27.2℃ to 47.7℃ for GR, from 27.7℃ to 49.3℃ for SE, from 27.9℃ to 48.3℃ for MM, from 27.5℃ to 48.9℃ for RD, whereas the outside temperature increased between 25.5℃ and 34.6℃.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global radiation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r=0.987-0.989) and he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model building (ΔT) was larger with increased radiation.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light intensity and ΔT at difference radiation levels. The regression coefficient was estimated as 0.99-1.00℃/[100W/m2] under 500 J/cm2, 1.10-1.15℃/[100W/m2] at averaged radiation 1,800J/cm2, whereas the large decrease in the coefficient, i.e., 0.76-0.86℃ /[100W/m2] was observed for above 1,800J/cm2 radiation level. The ΔT per unit of light intensity observed a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With the planted grass on the roof of the model building, the lowest ΔT per unit solar radiation was observed, which means that the covered roof with grass causes the building internal temperature to be less affected by the sun radiation.
        4,000원
        12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림 우점식생 변화가 지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우리나라 대표적 혹서지역인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 우점식생 변화 유형별 온도변화는 1990년과 2007년의 Landsat TM 영상 2scene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토지피복유형은 산림지역, 시가화지역, 경작지 및 기타지역, 수역으로 구분하였고, 산림지역의 경우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하였다. 산림 우점식생 변화 유형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온도는 높아지며, 유형별로 살펴보면 활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6℃, 침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2℃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17년간 유형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로 현재까지 유형이 유지된 경우와 변화된 경우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온도는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활엽수림의 경우 활엽수림이 유지될 때 보다 시가화지역으로 변화 될 경우 온도는 2.3℃ 증가하였으며, 침엽수림의 경우 침엽수림이 유지될 때 보다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1.9℃ 온도가 증가하였다. 산림의 경우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때 온도가 상승하며 산림식생유형 중 침엽수가 파괴되었을 경우보다 활엽수가 파괴되었을 때 0.4℃ 온도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기온 완화를 위해서는 도시림 내에서 활엽수림의 보호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2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king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rice bread were investigated, when 20, 30, 40, 50 and 60℃ water was added during mixing. The temperature of the dough before fermentation wa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nd the mixing time. When 60℃ water was add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dough was the highest before fermentation (p<0.01). The specific gravity of the dough after fermentation was 32~39% o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dough before fermentation. When 50℃ water was added, the volume and the specific volume of rice bread were higher than those in addition of water at other temperatures (p<0.001). In case of adding water of 50℃, the shape of the rice bread showed the largest volume, high appearance and a round shape. After storage for 2 and 24 hours, the addition of water of 50℃ resulted in the lowest hardness and chewiness values of rice bread. The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revealed that when 50℃ water was added, the air cell size, springiness and hardness values of gluten-free rice bread were lower than those in addition of water at other temperatur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and texture of gluten-free rice bread, when 20, 30, 40, 50 and 60℃ water was added during mixing.
        4,000원
        12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해 연안의 경상북도(경북)와 강원도(강원)의 정치망어업에서 31년(1980~2010)간 5~11월에 어획된 방어 어획량 과 연근해 수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NOAA 수온 영상을 이용하여 수온의 상승과 하강 시기에 외해수의 이안 및 접안으로 인한 방어의 북상시기(5~8월)와 남하시기(9~11월)의 어획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전체 방어 어획량의 변동은 연도별 차이는 있지만 방어의 북상 시기보다 남하시기에 높은 수온의 외해수가 연안에 접안할 때 어획량이 증가였다. 연안수온의 하강기는 북상 및 남하하는 모든 시기에 경북이 강원보다 방어 어획량이 많았다. 수온 상승기는 방어 어획량의 증감이 동시에 나타났고, 남하시기의 방어 어획량은 일반적인 현상 과 달리 강원이 경북보다 어획량이 많았다. 이것은 하계의 25 이상의 수온이 강원도까지 분포하면서 추계까지 높은 수온(20 )이 지속 되어 방어의 체류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4,000원
        130.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우젓갈을 대상으로 젓갈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염의 농도 및 숙성 온도가 전체 숙성기간 동안에 식품 위생적 품질 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우젓갈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식염 농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낮게 나타났고, 숙성온도 20oC에서는 10oC에 비해 빠른 휘발성 염기질소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히스타민의 발현은 식염첨가량은 히스타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숙성온도가 낮은 경우 히스타민의 함량도 낮게 나타나 온도가 히스타민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임을 확인하였으며, 새우젓갈의 히스타민 함량은 낮은 수준으로 숙성기간 내내 유지되어 새우젓갈에 있어서 히스 타민은 숙성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숙성온도를 지나치게 높이지 않는다면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미노산성 질소함량의 변화는 숙성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숙성온도간 차이에 비해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새우젓갈의 총균수 변화에 미치는 식염 농도 및 숙성온도의 영향은 식염 농도가 높을수록 식염에 의한 미생물의 생육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숙성온도가 낮을수록 총균수도 낮게 나타났으나, 대체로 숙성 30일까지 총균수가 증가하다가 이후 유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변화는 원료단계에서 대장균군 및 대장균이 거의 검출되지 않아 이후 숙성동안에도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13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elopmental responses of insects to temperature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of their ecology and life histories. Temperature dependent models permit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emperature onthe geographical distributions, population dynamics, and management of insects. The measurements of insect developmentaland survival responses to temperature pose practical challenges that depe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 diaperinuswere investigated at four temperature regimes (20, 25, 30 and 35℃), a relative humidity of 60%, and a light:dark photoperiodof 16:8h. The developmental time from larva to adult was 129.0, 49.8, 40.5 and 31.9 days at temperatures of 20, 25,30 and 35℃, respectively. Pupal rate was 80.0%, 100%, 83.3% and 91.7% at temperatures of 20, 25, 30 and 35 respectively.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standardized manual for rearing this. Pupa had significantly lower weights at 35℃than at the other temperatures. Female pupae (20mg) were significantly heavier than male pupae (17mg).
        132.
        2017.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the effects of hydrogen reduct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GeTe)0.85(AgSbTe2)0.15 (TAGS-85) were studied by a combination of gas atomization and spark plasma sintering. The crystal 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TAGS-85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oxygen content of both powders and bulk samples were fou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The grain size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due to adhesion of fine grains in a temperature range of 350 to 450 °C. The electrical resistivity was found to increase with reduction temperature due to a decrease in carrier concentration. The Seebeck coeffici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and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carrier concentration and carrier mobility. The maximum power factor, 3.3 × 10−3 W/mK2, was measured for the non-reduction bulk TAGS-85 at 450 °C.
        4,000원
        13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etallic oxide layer of a heat-resistant element contributes to the high-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by delaying the oxidation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ivity. In this study, green compacts of Fecralloy powder mixed with amorphous and crystalline silica are oxidized at 950oC for up to 210 h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metal oxide on the oxidation and electrical resistivity. The weight change ratio increases as per a parabolic law, and the increase is larger than that observed for Fecralloy owing to the formation of Fe-Si, Fe-Cr composite oxide, and Al2O3 upon the addition of Si oxide. Si oxides promote the formation of Al2O3 and Cr oxide at the grain boundary, and obstruct neck formation and the growth of Fecralloy particles to ensure stable electrical resistivity.
        4,000원
        13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usion barrier and substrate temperature on the length of carbon nanotubes. For synthesizing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is used and a substrate with a catalytic layer and a buffer layer is prepared using an e-beam evaporator. The length of the carbon nanotubes synthesized on the catalytic layer/diffusion barrier on the silicon substrate is longer than that without a diffusion barrier because the diffusion barrier prevents generation of silicon carbide from the diffusion of carbon atoms into the silicon substrate. The deposition temperature of the catalyst and alumina are varied from room temperature to 150°C, 200°C, and 250°C. On increasing the substrate temperature on depositing the buffer layer on the silicon substrate, shorter carbon nanotubes are obtained owing to the increased bonding force between the buffer layer and silicon substrate. The reason why different lengths of carbon nanotubes are obtained is that the higher bonding force between the buffer layer and the substrate layer prevents uniformity of catalytic islands for synthesizing carbon nanotubes.
        4,000원
        13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study for the growth of fish in the aquaculture industry, the behavior analysis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LED light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water temperatures from 10 to 30 degrees were used. One red light (wave length: 622 nm; light power: 811 mW) and one green light (wave length: 518 nm; light power: 648 mW) were used. Behavior of the rock bream was analyzed at an average moving distance for one minutes (AMD) and a rate of movement. The mean AMD were respectively 5.3 m, 7.3 m and 3.0 m in the red LED light, green LED light and control condition. The mean rates of movement were 77%, 88% and 61% respectively in the red LED light, green LED light and control condition. The mean AMD during 24 hours were 3.1 m, 3.1 m and 3.3 m respectively in the red LED light, green LED light and control condition.
        4,000원
        13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도반시’ 감을 열대지역으로 수출하는 상황을 모의하여 실시하였다. 수송 중이나 수송 후 유통과정에서 홍시를 만들기 위한 적절한 수송 온도(0℃, 5℃, 10℃)와 에틸렌 발생제 투입시기(수송 전, 수송 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15일간 모의 수송 후와 이후 30℃에서 5일간 모의 유통 후에 과실의 숙성과율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여 15일간 모의 수송한 후의 숙성과율은 10℃에서는 모두 홍시가 되었으나 0℃와 5℃에서는 홍시가 되지 않았고, 수송 전에 에틸렌 발생제를 처리하지 않은 과실은 모든 온도에서 홍시가 되지 않았다. 이후 30℃에서 5일간 모의 유통한 과실은 수송 전 에틸렌 발생제를 투입한 처리는 5℃와 10℃에서 모두 홍시가 되었으나 0℃에서는 38.5%만 홍시가 되었다. 수송 후 에틸렌 발생제를 투입한 처리는 모두 홍시가 된 처리구가 없었으며, 0℃와 5℃에서는 각각 63.5%와 59.6%로 비슷했으나 10℃에서는 19.2%로 오히려 낮았다. 결론적으로 수송 직후 바로 출하하기 위해서는 수송 전에 에틸렌 발생제를 투입하고 10℃에서 수송하는 것이, 그리고 5일간의 현지 유통 중에 숙성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송 전에 에틸렌 발생제를 투입하여 5℃에서 수송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송 후 에틸렌 발생제를 투입해서 유통 중 숙성을 유도하여 홍시를 제조하는 방식은 수송 온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10℃ 이하에서 15일간 수송한 감에서는 홍시가 잘 되지 않으므로 앞으로 그 원인과 적절한 수송온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4,000원
        137.
        2017.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istance of metallic materials to ballistic penetration generally depends on a number of parameters related to projectile, impact, and armor plate. Recently, armor materials have been required to have various properties such as hardness, strength, and impact toughness in order to maintain an excellent ballistic resistance even after impact.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 of temper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n ARMOX 500T armor steel plate was investigated and then compared with those of S45C and SCM440 steels. As the temper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hardness and strength gradually decreased, whereas the ductility and impact toughness clearly increased because the hardness, tensile, and impact properties were affected by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precipitation occurring during tempering. On the other hand, temper embrittlement appeared at tempering temperatures of 300 to 400 °C for the impact specimens tested at low temperature.
        4,000원
        138.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wo Fe-30Mn-0.2C-(1.5Al) high-manganese steels with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were hydrogencharg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hen, tensile testing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in air. The yield strength of the 30Mn-0.2C specimen increased with decreasing surface roughness(achieved via polishing), but that of the 30Mn-0.2C- 1.5Al specimen was hardly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tendency of hydrogen embrittlement of the two high-manganese steels was not sensitive to hydrogen charging or surface conditions from the standpoints of elongation and fracture behavior. Based on the EBSD analysis results, the small decrease in elongation of the charged specimens for the Fe-30Mn-0.2C-(1.5Al) high-manganese steels was attributed to the enhanced dislocation pile-up around grain boundaries, caused by hydrogen
        4,000원
        13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ight temperatures on the dark respiration and fruit quality of ‘Heukgoosul’ grape at ripening time. The weight of cluster and berry increased significantly at 20oC than 30oC in night temperature. The length and diameter of berry harvested from the 20oC and 25°C treatment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luster length and diameter as well as the number of berries per cluster. When the amount of CO2 uptake was examined, the dark respiration decreased at 20°C in comparison with 30°C. On the other hand, the anthocyanin content of fruits harvested from the 20°C treatment was higher 38.8 μg·cm-2 than that of 30°C 27.7 μg·cm-2. Hunter’s value such as L(brightness), a(red chromaticity) and b(yellow chromaticity) showed the significance between 20°C and 30°C treatments.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of berry fruits harvested from the 20°C treatment increased respectively by 3.4 °Brix and 1.6 times. With consideration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ruit harvested at 30°C, the sugar-acid ratio 72.6% was lowered and the color chart showed the low value 7.1, therefore, the overall fruit quality was deteriorated. When the production yield rates of first harvest 23.6% and second harvest 44.7% were compared, the 20°C treatment could move up the harvest time earlier.
        3,000원
        14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effective seedling production of the hard 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the dietary value of live food, density,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larvae. The optimal survival rate and growth rate were examin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rearing density for 30 days. The three groups were provided different feeding organisms, such as Isochrysis galbana and Teleaulax suecica. The mixtures were provided at a rate of 5×104 cell mL-1. The best growth was observed in the group with conditions 21℃ water temperature (16.2±9.1 μm), 33 psu of salinity (16.82±3.9 μm), 2500 individual m-2 (17.2±5.9 μm), and fed with 5×104 cell mL-1 of I. galbana and T. suecica mixture (16.0±7.3 μm).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found in the group at conditions 18℃ water temperature (66.4%), 33 psu of salinity (24.4%), 2500 individual m-2 (65.8%), and fed with 5×104 cell mL-1 of I. galbana and T. suecica mixture (58.8%). We therefore conclude that the suitable culture conditions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hard shelled mussel artificial seedlings was at 18 to 21℃ of temperature, 30 to 33 psu of salinity, 2500 to 5000 individual m-2 of rearing density, and feeding supplement of 5×104 cell mL-1 of I. galbana and T. suecica mixture under semi running water syste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