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1

        12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CCl_4 투여로 유발된 rat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CT, CTA, SCT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NCT군과 CTA군은 0.9% saline을 SCT군은 삼백초 100mg/kg이 되게 2주 동안 매일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15일째에 CCl_4를 CTA군과 SCT군에 투여하였다. 희생시켜서 혈청과 간의지질대사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중의 AST와 ALT의 활성도에서 SCT군은 CTA군에 비교해서 각각 43.18%, 96.05% 억제되었다. 2. Total cholesterol에서 삼백초를 투여한 SCT군은 NCT군 비교해서 0.95배 증가하였으며, 혈청중의 HDL-cholesterol 보다 0.73배 감소하였다. 3. 혈청중의 TG의 함량은 CTA군이 NCT군에 비해 1.53배 증가하였다. CTA군에 비해 SCT군은 0.93배 감소하였으며, 19.00%로 억제되었다. 4. 간조직 중의 MDA량은 SCT군이 CTA군에 비해 0.85배 감소하였고, 33.00%의 억제율을 보였다.
        4,000원
        12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굴파리의 파 잎의 가해 습성을 조사한 결과 암컷성충은 잎의 외부에서 즙액을 섭취하고 엽육에 산란함으로서 피해를 주었다. 피해 잎은 직경 0.48mm의 백색 원형의 흡즙흔이 수십 개씩 점선을 형성하였고, 산란흔은 0.10.14mm 장타원형이고 1개 또는 수 개씩 V자형으로 무리를 지어 산란하였다 집단사육에서 성충의 흡즙은 우화당일에 시작하여 4-5일째에 가장 왕성하였고, 산란은 우화 2일부터 6일째까지 일별 산란수가 비슷하였다. 또한 흡즙과 산란은 밤보다는 낮에 더 활발하였다. 유충은 엽육에 갱도를 뚫고 엽의 위아래로 섭식하다가 밀도가 높고 발육이 진전되면 잎 끝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잎을 고사시켰다. 유충 1마리의 식해량은 72.1이었다. 노숙유충이 잎에서 탈출하는 시간은 오전 5-7시이었고, 번데기는 토양깊이 5cm, 파측면 10 cm근처에서 대부분 용화하였다. 월동태는 번데기로 지표에서 토양깊이 10cm 이내에서 서식하였으며, 5월상순부터 6월하순까지 약 2개월 사이에 우화하였다. 성충은 잔존된 파, 묘상, 이식된 포장, 밭뚝 등으로 이동하여 생존하였다.
        4,000원
        12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otal Cholesterol에서 삼백초를 투여한 STT군은 NTT군 비교해서 14.46% 증가하였으며, 혈청중의 HDL-Cholesterol은 SS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21.29% 증가하였고 94.98%로 억제되었다. LDL-Cholesterol에서는 STT군이 TTA군 보다 12.86% 감소하였으며, 48.34% 로 억제되었다. 2. 혈청중의 TG의 함량은 TTA군이 NTT군에 비해 34.84% 증가하였다. TTA군에 비해 STT군은 7.06% 감소하였으며, 18.9% 억제시킨다. 3. 간조직중의 MDA량은 STT군이 TTA군에 비해 17.14% 감소하였고, 32.72%의 억제율을 보였다.
        4,000원
        12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의 3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 1. AST 활성도는 ST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70.05%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ALT활성도는 STT군이 TTA군에 비해 24.00% 감소하였으며, 64.80%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2. SOD는 TTA군이 NTT군보다 137.78% 감소하였으며, STT군은 TTA군에 비해 81.94%로 상승되었다. Catalase는 TTA군은 NTT군 보다 199.13% 감소하였으며, STT군의 catalase 활성도는 TTA 군과 비교하여 52.48% 증가하였고 55.45%의 회복율을 보였다. 3. TTA군의 GSH함량은 NTT군 보다 291.29% 감소하고 STT군은 TTA군과 비교하여 74.20% 증가하였으며, 98.72%로 회복되었다. TTA군의 GSSG함량은 NTT꾼 보다 46.80% 증가하였고 STT군의 간 조직중의 GSSG 함량은 TTA군과 비교하여 61.08% 감소하였으며, 81.01%로 억제되었다.
        4,000원
        125.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오미자 추출물에 함유된 유기산을 분석하여 오미자 추출물 및 유기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변화와 미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중에 유통되는 김치에서 분리한 CS6 은 김치의 숙성과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주에 대해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은 항군활성을 보였다. 최소 저해농도는 62.5 mg/ml이었고, 액체배지의 경우 0.5 ㎍/ml 첨가시 미생물의 증식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2.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산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0.5% 이하 첨가시에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0.4% 첨가시에 맛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오미자 ethanol 추출물에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중 강한 항규활성을 보인 유기산은 succinic acid였으며, 이의 항균활성은 오미자 ethanol 추출물과 비슷한 저해효과를 주었다. 4. Succinic acid를 첨가한 김치의 경우, 미생물의 생육저해로 김치의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으로 밝혀졌고, 배양말기까지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였고, 역시 0.4% 이하 첨가시 맛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5.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은 β-amylase에 대해서는 낮은 저해율을 보였지만 α-amylase, glucoamlase에 대해서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조직의 연화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의 Avicelase 저해효과는 CMCase에 대한 저해효과보다 더 강했으며, 과숙김치에서의 경도 유지효과가 기대된다. 7. 연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효소로 생각되는 polygalacturon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오미자 ethanol 추출물 25 ㎍/ml 첨가시에 66.7%의 저해율을 보였고 30 ㎍/ml 첨가시에는 92.6%의 저해율을 보였으나, pectinesterase 의 경우 15 ~ 30 ㎍/ml 첨가시에 15 ~ 20%의 낮은 저해율을 보였다.
        4,000원
        128.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The effects of preservatives, antibiotics and oriental medicines on growth of tes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all tested bacteria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tes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xtraordinarily inhibited by more than 0.2%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e specific growth rate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under control condition had mean values of 0.514(hr-), 0.381(hr-) and 0.489(hr-), respectively. When 0.2%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added, specific growth rates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1.26, 2.23 and 1.50 fold,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0.25% on the tested microorganisms. The growth of Enterobacter cloacae MG82 was more inhibited by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an other tested microorganisms.
        4,000원
        13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38.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조 구기자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54종으로써 알코올류 12종, 에스테르케톤류 12종, 알데히드류 7종, 산류 6종, 탄화수소류 5종, 케톤류 8종, 푸란류 1종 및 피라진류 3조이었다. 그중 에스테르류의 상대적 면적비가 가장 높았다. 건조 구기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hexadecanoic acid의 에틸에스테르, 1-octadecanone, tetrapyrazine, 2-furancarboxaldehyde, ethyl linoleat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000원
        139.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오배자 형성 기작과 오배자면충의 발육 및 붉나무 잎 부위별 오배자 형성수를 조사한 결과, 오배자면충의 간모 출현에 의한 충영(오배자)형성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간모는 미성숙된 입엽의 뒷면에 정착기생한 뒤 반대방향으로 융기하여 충영을 형성하였다. 오배자는 9월 중순부터 급격히 발육하였으며 면충의 밀도가 많음에 따라 오배자의 무게도 무거웠다.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충영 형성 부위는 정엽에서 가까울수록 많았으며 복엽상에서는 익엽이 95.8%를 차지하였다.
        4,000원
        140.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바구미에 적응된 기생봉 Anisopteromalus calandrae를 대체기주인 팥바구미에서 누대 사육하면서 기생천적의 대체기주에 대한 적응과 그의 과정을 조사하였다. A. calandrae기 대체기주에 적응, 안정된 생활사 특성을 보이기까지 2세대가 경과하였다. 성충수명은 단축되어 1세대에서 8.7일을 보였으나 2세대 이후에는 5.7~7.3일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총 산란수는 1세대에서 29.37.7에서 2세대 이후 43.9~68.2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내적 자연 증가율, 순증가율은 증가하였으며, 개체군 배가 기간은 짧아졌다. 팥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은 적응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탐색효율의 변이계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탐색행동이 안정됨을 암시하였다. A. calandrae는 팥바구미에 적응된 이후에도 쌀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이 감소되지는 않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