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12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 경: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각박 변형은 콘텍트렌즈 착용자에게 하나의 증요 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데, 특히나 PMMA 렌즈 착용 후에 시력이 일정하지 않고, 불량한 시략이 되기도 한다 또한 RGP 렌즈나 소프트렌즈도 각막변형의 유판하는데 주요한 역 할을 하고 있다. 방 법: Pubmed에서 키워드 검색을 통해 기존 간행된 저널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최 근 저덜의 Oπho-K 에 대한 각막 형상에 대한 기전에 대해 언급을 하였다. 결 과: 본 저널은 각막 변형의 원인과 증상 및 징후, 다른 진단파 각기 다른 종류에 대한 각막변형에 따른 처지 관리 요령에 대해 서숨하였다 산소결핍, 렌즈의 디자인, 눈과 콘택트 렌즈간의 피팅 관계와 눈물막 두께, 각막 상피의 작용, 각막경직도의 개 별적 차이, 그리고 각막 형상에 악영향을 주는 요소룹 서술하였다. 결 론: 콘택트렌즈 작용에 의해 받생되는 대부분의 각막변형은 렌즈 작용 중지 흑 은 고산소 투과도의 재질을 가진 렌즈로 변경, 재 피팅, 그리고 렌즈 착용 시간의 갑 소 등으로 조섣 관리 되어 질 수 있다
        4,800원
        12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단백칠 침전물의 양은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의 재질과 사용하는 관리용 액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눈물을 이용한 m vitro 방법으로 Group 1, Group III, Group IV 의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단백질 침전물 을 오염시킨 후 계면활성세척액과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뜰 세척하고 콘 택트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을 Bradford 법으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륜 얻었다. 세척 후 남아있는 단백질 침전물은 Group IV 렌즈가 Group 1 렌즈보다 16 레 이상 많았으며, 모든 재질의 렌즈에서 계면활성서l 척액은 다목적용액보다 세척효과가 우수힌 것으로 나타나 다목적용액으로 Group IV 렌즈틀 세착한 경우에는 계떤활성세척액으로 Group 1 렌즈플 세착한 경우보다 단백칠 침전물이 30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리 콘하이드로젤렌즈의 경우 비이온성, 이온성 재질에서 모두 단백질 침전불이 잘 부착되 지 않았으며 반복오염에 의해서도 침전물이 적게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백질 침전물의 양은 렌즈의 재잘과 표면처리방법과 판리용액에 의해 영 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thokeratology 는 RGP 콘택트렌즈의 후변을 역기하학 디자인으로 제조하여 각막 조직이 재배열되도록 하는 비수술 근시교정술이며, 수술에 의한 근시 교정술에 비해 가역적이라는 특정을 갖는다. 현재까지 외국에서는 임상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 는 피팅법과 근시감소 효과가 효율적이며 예측가능성이 높은 디자인의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실시되지만 국내에서는 디자인, 피팅법 및 임상성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 하지 못한 설정이다. 한국인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전체직경 10.4 mm, 4 영역 역기하 디자인)틀 개발하고, 착용 1 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여 임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피팅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고 안잘환이 없는 8-35 세(평균 2 1.1세) 21 명 (42 안)을 대 상으로 착용 전 기본 검사, 착용 첫 날, 1 주 후, 2주 후 및 1 개월 후 각각 나안시력, 교정시력, 각막지형도 및 세극등 검사플 시행하였다. 최종 처방된 렌즈의 기본커브와 착용자의 약주경선 곡률반경 및 평균 곡률반경 사 이에 아주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Flat K: r = 0.888, p < 0.0001, Mean K: r 二0.896 , p < 0.0001) 최종 처방된 렌즈의 기본커브와 착용자의 약주경선 곡률반경 및 평균 곡 률반경 의 평 균 차이 는 0.053 :!: 0.072 mm 및 0.157 :!: 0.067 mm였다- 각막의 이 심 률에 따른 처 방 렌즈의 기 준커 브와 각막의 약주경 선 곡률반경 의 차이 (r = 0.395, p = 0.0117) 보다 처방 렌즈의 기준커브와 각막의 평균 곡률반경 차이 (r 二0.695, p < 0.0001) 가 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각막난시에 따른 처방 렌즈의 기준커브와 각막의 약주경선 곡 률반경의 차이 (r 二 0.450, p = 0.0032) 는 다소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처방 렌즈의 기 준커 므와 각막의 평 균 곡률반경 차이 (r = 0.247, p = 0.1 202) 는 상관성 이 없었다. 평균 나안시력은 착용 l 주일 후부터 0.7 이상으로 개선되었고, 등가구면 굴절이상 도의 평균 감소량은 착용 l 일 후 1.00D 이상 1 개윌 후 3.50D 이상이었다 각막난시는 착용전 1.498 :t 0.448D 였으나 1 개월 후 1.409 :t 0.818D로 0.09D 정도 감소하였으나 유의 성 이 없었다 (F = 0.089, p = 0.985).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시험 제작한 4 영역 역기하 렌즈는 계산피팅법을 적용하여 비교적 높은 성공률을 얻을 수 있고 유효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임상에서 적절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300원
        12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압입 세포진단법 (Impression cytology) 을 이용하여 결막 표면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38 명, 콘택트렌즈 착용을 한 번도 착용하지 않은 건강한 눈을 가진 대조군 35 명을 대상으로 Impres - 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대상자들의 결막 상피의 형태릎 조사하였다. Impression cytology는 겸체가 PAS system으로 염색이 된 후에 배상 세포의 밀도, 상피 세포의 크기와 형태, 상피 세포의 핵 : 세포질 (N: C) 비율 등의 변화룹 기초로 한 Nelson 의 등급에 따라 겸 체를 4단계로 분류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렌즈 착용 기 간에 따라 다시 3그룹으로 분류하여 Impres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Nelson 의 Grade scale 에 따라 평가한 결파 0-12 개월 착용자에 서 정상에 해당하는 Grade 0은 53.85%, 13 - 487R 월 착용자에서는 20% 이며, 48개월 이상 착용자에서는 없었으며 Grade 1 이상이 100% 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기 간이 길수록 Snake-like chromatin changes 와 같은 세포학적 변화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안구표면에 대한 세포조직학적 조사는 Impression cytology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Impression cytology는 비침습적이며 안전하고 간단한 생겸 방볍으로 사용될 수 있 고, 건성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다양한 안구 표변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12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중에 유통 중인 소프트콘태트렌즈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의 습윤성올 측정 • 비교해 보았다. MPS 의 습윤액은 렌즈의 표면이 친수성올 유지하도 록 하고, 셰척효파와 보존효과룰 높이는 둥의 효파가 있으므로 특히 소수성 렌즈에서 는 더욱 중요하다. 실험방법은 습윤성올 측정하는 일반적 방법인 접촉각 측정방법에 따랐고, 렌즈 불 성에 따른 습윤성올 비교하기 위해 렌즈는 FDA분류기준의 group 1 인 비이온성 저 함수율 렌즈와 group IV 인 이온성 고함수옳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먼저 제조회사가 다른 각각의 MPS 에 두 종류의 렌즈를 처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실험실에서 조제한 0.9% NaCl 용액과 인공누액올 사용하였다. 다옴은 렌즈에 직 접 MPS를 떨어뜨려 접촉각올 측정하였다. MPS 의 습윤 효과의 정도는 접촉각이 o。에 가까우면 친수성이며, 그 값이 커질수록 소수성에 가깝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표면 장력과 점도를 측정하여 습윤성과의 관계률 비교하였다. 표면장력은 MPS 의 분자 간 인력올 나타내는 지표인데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식 염수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나타났으나 38"';_ 45 (mN/m)까지 다양한 차이를 나타냈 다. 점도는 4 "C와 28 "C에서 측정하였는데 온도 의존적 함수관계률 보였으나 습용성이 많이 요구되는 RGP 렌즈 MPS 의 점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값이었다. 이 실험은 MPS 의 습윤성올 명가하는 새로운 방향올 제시하고, 습용성에 영향올 주는 다른 인자들과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6,700원
        12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세균오염은 안과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우리 나라에는 용량이 큰 식염수를 콘태트렌즈 관리에 사용하고 있어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 수 1 종과 무방부제 식염수 2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120명을 대상으로 식염수를 3일에서 3주 동안 사용하도록 지시 한 후 사용한 식염수의 일부를 취하여 BH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의 16S rRNA는 중합효소반웅(PCR) 과 자기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nucleotide database의 BLAST program올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120 병의 식염수 중 오염된 식염수는 49병으로 (45%) 나타났고, 오염 도는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수에서는 최고 66,000 CFU/ml, 무방부제 식염수에서는 최 고 180,α)()CFU/ml로 나타났다. 오염 된 균주는 Achromobacter xylosoxi따15, Alcaligenes sputorum, Pseudomonas huttiensis. Stap따locoCiα'Js epidermidis, Pseudomonas huttiensis, Achromobacter xylosoxidαIS 맞 Pseudomonas aeruginosa 둥 총 27 개 균종이 검 출되 었다. 식염수는 방부제 포함 유무에 상관없이 개봉 후 오염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하 면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세균은 대부분 기회감염 또 는 병원감염에 관련된 세균으로 결막염, 각막염, 각막궤양, 안내염올 유발하는 균주로 조사되었다.
        4,500원
        12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개발훤 플로로혐 재철의 RGP 콘태트렌즈에서도 렌즈를 착용하고 관리함에 따라 변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세척액, 마모제가 함유된 세척액 및 얄콜성분이 함유된 세척액옳 사용하여 세척회수에 따라 렌즈의 변수변화를 측정하 였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렌즈를 수집하여 렌즈변수와 관리방법 동에 따른 변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를 각각의 세척액으로 5회, 15회, 30회, 50 회, 100 회, 150회 맞 200회 세척한 후 굴절력, 베이스커브, 중심두께 및 직경을 측정한 결파 렌즈의 변수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착용한 렌즈에서 는 손가락으로 세척한 경우 (-) 도수가 증가하는r 경향이 나타났고 중심두께가 O.l2mm 이하인 앓은 렌즈의 경우에는 베이스커브에 변화가 관창되었다. 또한 착용한 콘택트렌 즈에서는 대부분 표변 긁혐 현상과 단백질 침전물이 관찰되어 콘택트렌즈 관리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의 경우 중심두께가 앓거나 잘못된 방법으 로 렌즈롤 관리하면 렌즈 변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 즈 착용자에 대한 올바른 관리 교육이 펼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2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앉night Orthokeratology 콘핵트렌즈 착용자 28명 (56안}을 대상으로 각막두께의 변화률 분삭하가 위하여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Orbscan Pachymetry System올 이용하여 렌즈 착용 전과 렌즈 착용 1 개월 후의 각막중심부 두께를 측정하였다. Ortho-K 콘택트렌즈률 착용하기 전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Orbscan Pachymetrγ System으로 측정한 각막중심부 두째는 517.7 :t 33.4 /ßII와 530.4 :t 42.1 /ßII로 Orbscan Pachymetrγ Sys따n으로 측정 한 값야 12.7 μm 정 도 더 두꺼 웠고(t = 7.01, p = O.αxx>>, 푸 측정값 사이에 높은 상관판계가 있었다(OCT 측정값= 112.8 + 0.71없4 x OPS 측정값; r == 0.96, p < O.α)()1). Ortho-K 콘태트렌죠훌 1 개월 홍안 확용하였옳 때 각막 중성 부 두께의 벌향는 〔빼cal Coh없nce Tomogra야lY 측정 값α114.9 土9.3 /ßI1(514.3 土38.9 짜에 서 499.4 土40.7 따1), Orbscan Pachyme따T System 측정 값이 8.5 ::t 15.6 때1(526.0 土49.1 때1에 서 517.5 ::t 42.6 짜} 각각 감소하였으나(OCT : t = 5.81, p =: O.αX>; 0똥 : t := 2.72, p == 0.016), 두 기기로 측정한 작막두께의 평균 변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 = -0.84, p == 0‘ 416), Orbscan Pachymetry System으로 촉정 한 각막 풍간주변부 두쩨논 14 따l 정 도 증가하였다.
        4,000원
        12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주대학 안경광학성공적인 수면작용 근시조절 각막교정술( Orthokeratology )은 콘택트렌즈를 이용하 얘 각막형상올 변화시켜 근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험 렌즈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주문 방법으로 피탱된 Ovemight Orthokeratology 콘택트 렌즈의 피탱성공흉올 얻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굴절이상도, 시력 및 각막형상 악 변화 정도률 조사하였다. 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1-5D 사이인 18명의 끈시자를 대상으로 DreimLens를 착 용시키고 3 깨훨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렌즈 착용 전, 렌즈 착용 후 1 일째, 7 일째, 14 일째, 30일째 및 90 일째 각각 자각식 굴절검사, 자동 굴절 및 각막곡률 검사, Orbscan Topography /Pachymetry System 및 세극 둥올 이용한 전안부 검사를 실샤하였다. 나안시 력의 변화는 착용 l 일째부터 나타났고 7 일째까지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착 용 90 일째 89%에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는 정도인 0.8 이상으로 개선되고 64%는 1.0 이상을 유자하였다. 착용 90일째 둥가구면 굴절이상도는 평균 2.85D 정도 감소되었고, 각막중심부 굴절력은 1.13D 정도 감소되었다.90 일 동안 세극둥 검사로 부터 헨즈착용올 중단할 정도의 심한 각막부종이나 상피손상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나안시력의 개선, 끈시도의 감소 및 각막중심부 꿀절력의 감소 둥이 선 행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직접주문 펴탱법악 성공률이 매우 높았다.과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공안과와원 • 서물보건대학 안경광학과
        4,200원
        130.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콘택트렌즈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의 단백질 제거효능검 정을 Bradford assay 에 따라 실시하였다. 사용한 렌즈는 FDA기준의 group N 인 이 온성 고함수율 렌즈이며, 인공누액에 65샤간 담갚 후, 각각의 MPS 에 시간별로 처리 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중에 유통 중인 MPS 6개사 7 개 제품의 단백질 제거 효능윷 비교한 결과, 한가지 제품을 제외하고는 단백질 제거 효능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일 조건에서 MPS 의 단백질 제거 효능은 단백질 종류, 담그는 시간 과 제품에 포함된 성분의 조성비, pH, buffer 둥의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4,000원
        13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돼트렌즈 관리 용액의 세포독성올 검사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이용되고 았 으나, 직접 소프트콘택트렌즈에 홉수된 관리용액의 독성을 조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 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리용액이 홉수원 렌즈 위에 세포를 직접 배양하여 용 출된 관리용액으로 언한 세포독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여러 가지 콘돼트헨즈 관련 용액 중 보존제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쓴 Benzalkonium chloride (BAC)와 Multipurpose solutions(MPS) 빛 AOSept에 Etafilcon A(FDA공인 W 그룹, Acuvue) 재질인 소프트콘태트렌즈콜 4시간 동안 담구어 용액이 홉수되도록 한 후 배양 결막세포 (clone 1- 5c -4) 룹 콘택트렌즈 위에 직접 배양하여 2 시간 통안 용출액에 의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같은 용액에 세포를 2시간 직접 배양하여 독성 정 도를 비교하였으며, Monolayer cell 에 같은 용액올 15분 직접 처리하여 독성올 비교 하였다. 그리고 계대 배양 시 25% 농도로 같은 용액을 세포 혼탁액에 혼합하여 부착 률과 증식률을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은 세포를 계수하는 방볍과 시l 포활성올 조사하는 방법올 이용하였으며 형광염색을 통해 세포 생존용플 비교하였다. 콘택트렌즈 용출액에 의한 세포 독성은 MPS는 거의 독성이 없었으며, BAC (0,00 1%-0,α)5%) 처리군에서는 40% 의 세포 증식저해가 였으벼. BAC 0, 01% 와 AOSept (0α)()5 -0.oo1%)에서는 70%이상의 증삭저해를 나타냈다. 또한 세포를 실험 용액에 직 접 2시간 배양하여 세포뜰 계수한 결과 대조군인 식염수에 비교하변 MPS 는 40% 이상, BAC 0.001%는 70% 이상, AOSept는 80% 이상 세포 뚱식 서해가 있으며, BAC (O.α)5, 0.01%) 에서는 세포의 생존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MTT assay 와 LDH assay를 한 결과 세포룰 계수 하는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형광염색을 이용한 생존율 조사 결 과, BAC 0.01% 처리군에서는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았었다.
        4,000원
        132.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단백질 제거제로 4개회사의 제품(국 내 2종, 국외 2종)을 선별한 후, 세포 독성과 단백질 제거 효능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제거제가 녹아 있는 식염수에 12시간 동안 담근 콘택트렌즈를 L929 세포주 (생쥐섬유모세포주) 위에 직접 올려놓아 용출된 용액으로 인한 세포 생사를 Trypan blue 염색올 통해 판별하는 USP Elution Assay 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단백질 제거 제를 직접 배양세포에 15분간 처리하여 MTT Assay 인 세포 독성을 검정하였다. 또 한 단백질 제거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FDA에서 분류한 IV group lens를 조성한 인공누액에서 단백질을 홉착시킨 Bradfod Assay 법을 통해 측정 비교하였다. MTT 결과는 1 종류의 제품에서 40% , 3종류의 제품은 7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율이 나타 났다. USP Elution Assay에서는 동물성 단백질 제거제 Pancreatin 이 주성분인 1 종 류의 제품은 1 등급, 나머지 3종류는 O등급을 나타내였다. 또한 Bradford Assay 방법 을 이용하여 단백질 제거제의 효능을 겁정하였는데, Subtilisin A가 주성분인 A사 8 시간, Subtilisn 이 주성분인 B사 5분, Pancreatin 이 주성분인 C사 6 시간, Papain 이 주 성분언 D사는 8시간이 지난 후에 단백질 제거제 효능이 최대 효과가 나타났다.
        4,000원
        13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 콘돼트렌즈를 처방할 때 사용하는 시험렌즈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독방 법은 방법이 간편하며 소독효과가 확실하고 무엇보다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형태에 변화를 주지 않는 방법으로 선택되어야 하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관리방법과 사용 횟수에 따른 렌즈의 기하학적언 디자인의 변화 등에 관한 연구는 미홉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변수를 갖는 제 I 그룹렌즈 및 제 W 그룹렌즈를 대상으로 열소 독, 화학소독, 멸균, 전자파소독을 반복 시행하면서 이에 따라 나타나는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변수 변화값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세척과 소독방법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형태변화를 관찰한 결과 제 I 그룹렌즈는 세 척과 열소독, 화학소독, 멸균, 전자파소독을 30 회 반복 시행할 때까지 콘택트렌즈의 전반적인 형태가 잘 유지되었으며 콘택트렌즈의 변수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제 N 그룹렌즈에서는 열소독과 멸균, 전자파소독에 의해 렌즈의 형태가 왜곡되었고 굴 절 력, sagittal value, 직 경 모두에 변화가 나타났다 각 변수의 변화값은 임 상적 인 허 용값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콘택트렌즈의 모뜬 변수에 변화가 초래되었기 때문에 콘 택트렌즈의 피팅상태와 착용감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제 I 그룹 시험 렌즈의 경우에는 멸균볍을 포함한 모든 소독방법이 시험렌즈의 소독방법으로 가능하 다고 생각되며, 제 W 그룹 시험렌즈의 경우에는 콘택트렌즈 변수 변화가 가장 적은 화 학소독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3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 콘돼트렌즈의 재질파 보관용액에 의한 세포독성과 홉수 스펙트럼에 대한 홉광도를 비교하여 상호간에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롤 시행하 였다.7 개 제품의 각 제품별로 16 개 렌즈를 5ml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병에 넣어 12 1 "C에서 1 시간 동안 용출하였다. 전에 연구한 배양세포 증식저해 시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에 대한 홉광도를 UV Spectrophotorne따를 이용하여 220- 350nm에서 측정하였다. 고함수 이온성 재질인 2 개 제품의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홉 광도는 220-240nm에서 기준값보다 높게 나왔으나 241-350nm에서는 모두 훨씬 낮은 값올 나타내어 투명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세포독성과 홉광도와는 거의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3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GP 및 Soft 콘택트렌즈 착용자 28 병쓸 대상으로 콘태트렌즈 착용 후 l 년 동안 각막곡률과 굴절이상도 및 눈물의 변화도를 알아보았다. 각막곡률과 굴절이상도에 대한 데이터분석은 디옵터굴절력을 디옵터꿀절력매트릭스로 변환시키고 단변량 및 다벤량 통계분석을 하고 3차윈 h 벡터 공간에 선뢰영역을 도시하였다. 각막곡률의 평균변화도는 :RGP 착용군에서 주로 h:j 성분이 플랫하게 변화되며 1 년후에는 수평성분도 플랫하게 변화되었고. Soft 착용군에서는 착용초기 플랫하게 변하다가 1 년후에는 약간 스티프해지는 변화를 보였으나, 착용전후 각막곡률의 평균 에 대한 3 변량 가설검증 결과 두 그둡 모두 착용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젓으로 나타났다 (w (FO.1J5. :l. 11 :1). 굴절이상노의 평균변화£는 RGP 착용군에서 hl 및 h:l 성 분이 착용전과 비교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 (0.05) , Soft 착용군에서는 유 의 힌 차이 가 없었으며. 3 변 량 가설 검증- 션과 두 그룹 모두 착용전과 비교하여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 <' FII,o:i ‘ n ']). 각막곡률의 변화와 굴절이상도의 변화는 :RGP 착용군에서 h,~ 성분만 낮은 상관관계틀 보였다 (p < 0,(5).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은 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보다 평균값에서 길게 측정 되었으나 똥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 는 TBUT 방법과 NIBUT 방법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태트렌 즈 l 년 착용군의 TBUT 검사에 의한 눈불박 파괴시간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 으며 몽계회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5). 따라서 RGP 렌즈뜰 장기간 착용하게 되면 각막굴절력 및 각막난시도의 감소와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및 원주성분이 감소될 것이며, 콘태트렌즈 착용에 의하여 눈 물이 불안정해진다고 생각된다.
        4,300원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