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0

        12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biocompatibility of xenograft materials (ABBM. coralline HA). Both autogenous bone grafts and allogenic banked bone were frequently and successfully used to promote regeneration of parts of skeleton. The use of these types of grafts were limited by the cost of donor site operation for autogenous boneor by fear of the risk of infection of allogenic materials. Another type of graft is xenograft which include ABBM and coralline HA. For investigating the biocompatibility, generally many investigators used cancer cell lines or animal cell lines. But cancer cell lines and animal cell lines had functioned different metabolism from normal human cell. So the experiment used normal human osteoblast for compare the biocompatibility of ABBM with coralline HA which were fixed in 24 well base contained culture medium. After 1st, 3rd, 7th, 14th, 28th days, the culture medium were taken out and checked the concentrations ofcalcium( Ca), inorganic phosphate(IP) and alkaline phosphatase(ALP). In another method, histologic samples were investigated after 8weeks of xenograft materials implantated on rabbit's tibia, the bone was cut and made undecalcified ground samples and checked with fluorecent microscope, polarizing microscope, reflection electron microscope and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The statistical results of concentrations (Ca, IP, ALP) of materials in the culture medium have decreasedby day's, which meant that xenograft materials were effective for bone remodelling. The concentrations in the culture medium of ABBM were lower than that of coralline HA, that meant that biocompatibility of ABBM were superior than that of coralline HA. Histologic samples showed that ABBM had better bone remodelling effect than coralline HA. ABBM showed good alizarin red marking lines, more deposition of Ca, IP, and dense color of bone around newly formed osteon and bone trabeculae. it was concluded that ABBM was more biocompatible than corallineHA in vivo and in vitro test
        4,000원
        12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 와 P. baumii 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 와 P. baumii 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 와 P. baumii 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 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4,000원
        126.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하 943 m(3 호공)로부터 취수한 경산 광천수의 유·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7종류의 성분 중 무기물은 11종류가 검출 되었으며 무기성분 중에서는 나트륨과 칼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 이었다. 그리고 구리와 납과 같은 중금속과 탄산가스 및 유화수소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인간 암세포 성장억제 실험 결과 항산화 활성에서는 비교적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MNNG, 4NQO, Trp-P-1 및 B(α)P와 같은 돌연변이원을 이용한 미생물 수준에서의 항돌연변이원성 실험 결과 S. typehimurium TA98에 대해서 간접변이 원인 Trp-P-1은 시료 농도 200μg/plate 첨가 시 54%의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B(α)P 및 Trp-P-1에 대해서도 각각 67%와 63%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광천수의 항암활성을 규명하기 위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에서는 시료농도 50 μg/well 첨가 시 A549, Hela, AGS 및 MCF-7에 대해서 각각 66%, 45.6%, 37.7% 및 47.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정상 신세포 293에 대한 온천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는 20% 이하는 낮은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것은 광천수가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2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역을 엽상부, 줄기, 포자엽의 3부위로 구분하여 부위별 일반성분, 알긴산 함량 및 무기질 함량(다량 무기질. 미량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엽상부(10.5%)에. 탄수화물과 조지방은 포자엽(탄수화물 45.3%. 조지방 4.2%)에. 조회분은 줄기(39.0%)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 함량은 25.9-32.2%이었고 불용성 알긴산이 수용성 알긴산에 비해 악 2~3배 많았다. 부위별로는 총알긴산은 포자엽(32.2%)에, 수용성알긴산은 엽상부(10.1%)에, 불용성 알긴산은 포자엽(27.7%)에 가장 많았다. 다량 무기질중 칼슘과 마그네슘은 엽상부(Ca 883.6 mg, Mg 1269.8 mg/100g D.W)에, 인, 칼륨, 황은 포자엽(P 680.5 mg. K 4508.0 mg. S 1287.4 mg/100 g D.W.)에, 나트륨은 줄기(6507.2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미량 무기질중 철분, 아연, 망간은 엽상부(Fe 10.45 mg, Zn ,1.53 mg, Mn 0.71 mg/100 g D.W.)에, 크롬은 포자엽(0.14 mg/100 g D.W.)에, 알루미늄은 줄기(16.91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칼슘:인의 비율은 엽상부와 줄기가 1.7~1.8:1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소금물 가용성 분획인 단백질 펙틴과 결합한 것(Ca 62.1~68.9%, Mg 89.6~92.1%)이 가장 많았고 물에 가용성인 분회(F-I)은 엽상부〉줄기〉포자엽의 순으로 많았으며, 칼슘섭취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수산과 결합한 염산 가용성 분획(F-IV)은 포자엽〉줄기〉엽상부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4,000원
        12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tents of mineral, viscosity in the Demi-glace with added quantity of Omija extracts. Firstly, The level of mineral content in order was K, Na, P, Ca, Mg, Fe, Zn, Mn, B. The more Omija extracts, Ca, Mg, Fe, Zn, Mn, B was increased, but K, Na, P was decreased. Secondly, Viscosity of control was 538.13cP at rpm 100, and the sauce added with Omija extracts was 464.80~578.00cP. Regardless of Omija quantity there was Psedoplastic characteristic which showed apparent viscosity was decreased even though shear rate was increased. Third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preference of 5 tastes, It was founded that 2% added Omija was the best, and 1%, 0%, 3%, 5% added Omija was next in order. Finally, Sensory intensitie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gender and occupation of the 5 tastes : As the sourness, bitterness, hotness, salines taste of all over was Omija added quantity was many more, appeared strong intensity, it was sensory intensities of 5% Omija added sauce was the highest. But sensory intensities of sweetness, Male showed 2% Omija added sauce, Female student and cook showed control was the highest.
        4,200원
        12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환식 양액재배시 계면활성제가 무기이온 흡수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상추의 생육, 광합성율, 증산율 및 무기이온 함량을 분석하였다. 상추 생육은 0.3mg·L-1 PVA-95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l/2배액에서 재배된 상추의 생육도 양호하였다. 칼슘 함량이 증가된 0.3mg·L-1 CLS 처리의 상추는 생육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산율과 광합성율 및 엽내 카리,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높은 생육량과 비료 절감 효과가 인정된 PVA-95 처리와 CLS 처리에 의한 엽내 무기 성분 함량 증가가 인정됨에 따라 수경재배 상추의 고품질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4,000원
        130.
        200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nty three samples of man-made mineral fibers (MMMF)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mineral contents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TEM-EDX). Five glass fibers showed a straight fiber type without branches with average diameter ranged from 2.6㎛ to 5.6㎛ and average length 12.2∼29.6㎛.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glass fibers were Na, Mg, Si, Ca, and Fe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and contained trace amounts of Al and Si. Eleven rock wool fibers also showed a straight fiber type without branches. The rock wool fibers used in 3 insulation panel and 1 insulation tube had average diameter 13.6∼26.4㎛ and average length 13.6∼26.4㎛.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rock wool fibers were Na, Mg, Al, Si, S, Ca, Fe, and Cu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Two of rock wool sealant fibers and one of coating material fibers had average 0.8∼ 2.2㎛ diameter and 9.9∼16.2㎛ average length.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Mg, Al, Si, Ca, and Fe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and contained trace amount of S. The fibers in the rock wool coating materials contaminated partially with another type of fibers. Four of rock wool ceiling board showed 0.9∼2.04㎛ average diameter and 4.3∼15.2㎛ average length.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Mg, Al, Si, S, Ca, and Fe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and contained trace amounts of Na, K, and Ti. Three of long glass fibers showed a mass appearance with finely splitted fibers, and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Na, Mg, Al, Si, S, Ca, and Fe with no variance among them. One type of ceramic fiber showed 2.9±1.59㎛ average diameter and 20.3±9.38㎛ average length. The major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Al, Si, and S. A gypsum board and a perlite and a calcium silicate insulation material all showed aspect ratio less than 3:1, indicating non-fibrous materials. The major compositions of the gypsum board particles were Al, Si, S, K, Ca, and Fe, The perlite particles were consisted of Na, Al, Si, S, K, Ca, and Fe, and the calcium silicate insulation materials were mainly consisted of Al, Si, Ca, and Fe.
        4,900원
        131.
        200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patial data integration for geoscientific applic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task of various geoscientific applications of GIS.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 between input data layers and an integrated layer has not been considered fully and is in the development stage. Regarding this matter, we propose here, methodologies that account for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 and spatial patterns in the spatial integration task, namely a multi-buffer zone analysis and a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a contingency table. The main part of our work, the multi-buffer zone analysis, was addressed and applied to reveal the spatial pattern around geological source primitiv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an integrated layer. Mineral potential mapping using multi-source geoscience data sets from Ogdong in Korea was applied to illustrate application of this methodology.
        4,300원
        13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germination, nutrient concentrations and growth of spinach and radish. Both the spinach and radish seeds exhibited relatively higher germination rates in response to the low doses of gamma
        4,000원
        133.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토마토 양액재배에서 펄라이트 배지를 순환식 재배방법에 적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펄라이트 배지의 입자를 소립(ø1∼2mm 미만), 중립(ø2∼3mm), 대립(ø4∼5 mm)으로 분리하여 양액공급량에 따른 토마토의 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제 3화방 개화(초기생육)시 초장은 중립과 대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길었으나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에 관계없이 길어 초기에 생육관리는 대립일수록 1일 양액공급량이 많아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제 3화방 개화기 이후는 소립에서는 주당 1일 공급량을 1.5L로, 그리고 중립과 대립에서는 주당 1일 3.0L로 관리하는 것이 착과수가 많고 수량이 높았다 기형과율은 펄라이트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적었다. 근활력은 정식 후 50일까지는 입자크기 및 양액공급량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나, 50일 이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정식 후 100일에는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중립과 대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컸다. 소립에서는 앙액공급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무기성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중립과 대립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N. K. Ca및 Mg의 함량은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1일 3.0L/주 처리구에서 가장 적었으나 대립과 중립에서는 1일 3.0L/주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마토 순환식 양액재배시 펄라이트 입자는 중립과 대립의 사용이 유리하고 양액공급량은 주당 1일 3.0L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4,000원
        134.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
        4,000원
        13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인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지와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 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 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 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연관된 퇴비(I보), 석회 (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보(II)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석회구, 2) 석회 보비구(27g), 3) 석회
        4,000원
        13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4,000원
        14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양에의 고농도 Na 및 Cl 염류처리가 토마토의 생육과 무기성분 흡수, 광합성 속도 및 수분 포텐셜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염 처리구에서 억제되었으나, 토양의 pH와 EC와는 관계가 없었다. 토마토의 생육억제 효과는 Na계열에서는 Cl, SO4, CO3, PO4, NO3 순으로, 그리고 Cl 계열에서는 Na, K, Mg, NH4, Ca순으로 컸으며, Na 계열이 Cl 계열보다 컸다. 토마토의 수량은 대조구보다 모든 염 처리구에서 30%~10%적었으며,특히 NaCl처리구에서 더욱 적었다. 엽록소 함량,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도는 대조구에 비해 염 처리구에서 낮았다. 무기양분 함량은 대조구보다 모든 염류에서 낮았다. N 함량은 NaNO3, NH4Cl 및 대조구가 11% 내외로 가장 높았으나 Na 계열에서는 NaCl 및 NaHCO3 처리구가, Cl 계열에서는 KCI 처리구가 5.5~6.0% 내외로 낮았다. K 함량은 Cl 계열보다 Na 계열이 적었으며, 특히 NaCl과 Na2SO4 처리구에서 더욱 낮았다. Mg 및 Ca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NaCl과 KCl 처리에서 매우 낮아 Na 및 K 이온과 상당한 길항관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각 이온의 흡수는 KCl및 NaCl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