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

        12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urnal alternation of nutrient solution salinity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tomatoes (Lycoperisicon esculentum cv. 'House momotaro') hydroponically grown in root intercept bag-NFT (RIB-NFT) system. Plant height was the lowest in the high concentration during daytime (6/1 dS m-1, day/night). Yield was very high in the concentration of 1/1 dS m-1,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Yield was higher at low concentration (4/1 dS m-1) at nighttime compared to the same concentration (4/4 dS m-1) at daytime and nighttime, and the reverse (1/4 dS m-1) was similar to the control (perlite culture). Yield was greatly reduced by higher concentration at daytime than nighttime, and the decrease was alleviated by lower concentration at nighttime.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during daytime, sugar content of tomato fruit was increased, but yield was decreased. In the other experiment, tomato plants were hydropoically cultured in NFT system diurnally alternated between Aichi's solution and Ca(NO3)2 solution. Ca(NO3)2 solution was supplied for 4 hours from 10:00 to 14:00 at daytime and from 22:00 to 2:00 at nighttime, respectively, and Aichi's solution was supplied for the time except the 4 hours. Ca content of leaves and sugar content of fruit were increased by supplying Ca(NO3)2 solution at daytime compared to nighttime, but plant growth was greatly suppressed by supplying Ca(NO3)2 solu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4 dS m-1(4/4Ca dS m-1) at nighttime.
        4,900원
        12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tinued observation of ARGO floats for years(about 4 years) makes the conductivity sensor more vulnerable to fouling by marine life and associated drift in salinity measurements. In this paper, we address this issue by making use of floats deployed in different years. Floats deployed in the East Sea and the Indian Ocean are examined to find out float-to-float match-ups in such a way that an older float pops up simultaneously with a newer deployment (with tolerable space-time difference). A time difference of less than five days and space difference of less than 100km are considered for the match-up data sets. For analysis of the salinity drift under the stable water mass, observations of the floats from deepest water masses have been used. From the cross-check of ARGO floats in the East Sea and the Indian Ocean,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ystematic drift in the older float compared to later deployments. All drift results, consistently show negative bias indicating the typical nature of drift from fouled sensors. However, the drift is much less than 0.01, the specified accuracy of ARGO program.
        4,000원
        12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하고자, 30마리와 60마리씩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30분이내에 사육수를 담수로 교환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 30SW에서 2.8 ng mL-1,60SW는 2.7 ng mL-1로부터 30FW와 60FW는 24시간째 각각 66.9 ng mL-1, 314.1 ng mL-1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장의 Glucose농도는 60SW는 개
        4,000원
        12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분에 대한 두줄망둑의 내성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들의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40일간 사육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두줄망둑의 생존율은 염분 10.1‰ 이상에서 90%이상을 나타냈으나, 염분 3.4‰ 이하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담수에서는 40일째 32.5%의 생존율을 보였다. 체장과 체중의 증가 및 성장률은 13.4∼33.6%o의 염분 범위에서 유사
        4,000원
        12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고수온기와 집중강우로 인하여 염분의 급격히 감소하는 시기에 바지락의 일간먹이밀도 감소량, 여수율,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바지락은 수온과 염분에 의하여 일간먹이밀도 감소량, 여수율, 소화율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의 경우 소형그룹의 27℃에서 각각 5.8× 104 cells ml-1, 16.96 liter hr-1 g-1, 12.04× 107 cel
        4,000원
        12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장기간 관측한 정선해양관측자료와 연안정지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장기변화경향과 수층별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장기변화의 분석결과 한국연안수온은 하계냉수역이 발생하는 한국남서연안을 제외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수온은 동해의 경우 표층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와 l00m 수층은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의 경우 전 수층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상승하나 50m 수층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염분은 동해의 경우 표층에서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l 수층 하강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m 와 l0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모두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별 상관성을 보면 수온의 경우 동해와 남해에서 50m 수층과 10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나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의 경우 동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남해에서는 50m 와 l00m 수층이, 서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4,000원
        12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서남부해역은 하계 양자강의 유출에 의해 저염분 현상이 발생한다. 중국 대통(Datong)에서 지난 65년(1922­1986)간 장기관측한 자료에 의하면 매년 양자강 유출량은 일정하지 않으며, 최대 유출량은 최소유출량의 2배 이상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양자강의 유출량을 달리하여 저염확산을 수치모델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수치모델은 POM(Princeton Ocean Model)을 사용하였다. POM은 연직적으로 Σ­좌표계를 사용하는 3차원 해양순환모델이다. 모델 수행 후 연구해역내 대륙사면에서 유속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제주도 서쪽을 통해 북상하여 황해중앙부로 들어가는 흐름이 있으며, 대륙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흐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자강 유출량을 부여한 후 수행한 모델의 결과를 보면 양자강 유출량이 많을수록 저염분역이 제주도에 가깝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4,000원
        128.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염분 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40일동안 다양한 염분에 노출시켜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6.7‰ 이하의 염분에서 40일 이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곤쟁이의 체장과 일간 성장률도 40일 이후, 6.7‰이하의 염분에서 10.1% 이상의 염분 농도구와 비교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산소소비율은 40일 동안
        4,000원
        129.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조사한 해양 관측 자료와 현지에 조사한 어획량 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승망 어장에서의 수온의 분포범위는 13.0-25.0˚C이고, 4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고 수온 25.0˚C을 나타내다가 9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했다. 2) 어장에서의 염분의 분포범위는 28.6-33.8‰이고, 4월과 5월에는 32.0‰이상의 염분수가 분포하며, 6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8월에는 최저염분 28.6‰를 나타내다가 9월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3) 여수 연안 승망에 어획되는 주어종인 숭어의 어획량은 5월에 최대 어획을 나타내고 6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1월에는 최소 어획을 나타냈다. 수온이 높아지기 시작한 시기인 5월의 수온이 15.0-1625.0˚C에서, 저염보다 고염분인 32.6-33.8‰에서 어획이 양호하게 이루어졌다.
        4,000원
        130.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7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시화호내 11개 정점에서 장기간 관측한 수온, 염분 자료를 이용하여 배수갑문운용에 따른 시화호의 물성변화를 파악하였다.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이 없었던 1997년 3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시화호내의 염분은 15psu 이하로 나타났으며, 약 11m 수심을 경계로 염분에 의한 강한 성층이 관측되었다.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이 시작된 1997년 7월에는 태양복사열의 증가로 표층수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약 10˚C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997년 10월∼12월에는 표층에 비해 저층 수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온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1997년7월 배수갑문 개폐시기를 전 · 후로 배수갑문 내측에 위치한 정점에서 장기간 수온, 염분, 유속 및 유향을 조사한 결과, 해수유입시 수온과 염분이 대칭적인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외해로부터 해수 유입시마다 저온, 고염의 해수가 시화호 내로 유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998년 1월 이후에는 지속적인 배수갑문 개폐의 영향으로 시화호의 염분이 30psu 이상으로 해수화되었으며, 배수갑문 개폐 이전에 비해 성층이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32.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i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nchovy school catches by the lift net in the Kamak bay and their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i.e.,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were observed form June to August in 1997 and compared with the catch of anchovy by the lift ne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d form 20.0 to 27.0℃ and from 31.2 to 33.8‰, respectively.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t the fishing points ranged form 19.7 to 27.2℃ and, from 30.5 to 33.8℃ respectively.2) The water temperature influenced remarkably on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nchovy school. But the salinity influenced little on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3) The catch of anchovy was highest on July, poor second on August, and lowest on June. Anchovy school can be presurmed, they are come from north of bay, visited and distributed through east of bay at the middle of June. Moreover, they spreaded in all bay. Then gradually, when July arrive, they go to the south th nearest the coasts, and they are outflow through the south entrance of bay at the end of August.
        4,000원
        13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 pH및 염도 stress가 굴(Crassostrea gigas)의 malate dehydrogenase isozyme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조군의 MDH isozyme은 2개의 band가 양극 쪽으로 이동되어 분리되었다. 각 실험 온도와 pH를 12시간 노출시킨 실험군에서는 1개의 band만 양극 쪽에서 분리되었고, 24시간과 48시간 노출한 실험군에서는 2개의 band가 모두 양극 쪽에서 분리되었다. 염분 농도가 5ppt
        4,000원
        134.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얀 내만에서 행해지고 있는 양식어업, 정치망어업 등의 생산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초 쟈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어류의 서식환경과 분포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원격계측 시스쳄을 구성하여 1995년 10월부터 1996년 5월까지 경남 통영시 산양면 육삼양어장에서 시스템의 기능, 수온.염분과 어군행동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양환경정보 원격시스템 해상국의 정보송신 테이터 모뎀의 기능은 원활한 작동을 하였으며, 육상국에 설치한 정보 수신용 노트북에서의 Quick BASIC 통신 프로그램의 작업은 정밀도가 높아 수온과 염분의 환경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격 계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실험 수역 축양조내에서의 4월~6월사이의 5m와 10m층의 평균 염분 농도는 34.2‰,34.4‰로 10m층이 녹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축양조내 시험어 우럭(체장 25cm)의 평균 유영속도는 0.60m/sec로 체장대비 약2배의 빠르기를 나타내었고, 주간과야간의 평균 유영속도는 각각 0.60m/sec, 0.62m/sec를 나타내어 주간이 약간 보다 빠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기간 내에서의 5m층과 10m층의 평균 수온 변화 폭인 0.3℃이내의 수온변화에서는 상관성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5. 어군의 수직분포 변동이 가장 뚜렷했던 시간은 일출몰 전후였으며, 일몰을 전후하여 부상한 어군을 야간에는 주로 표층 가까이에 분포하고, 일출 40분전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일출과 함께 어군을 3m이하의 수심에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어장내에서의 수온, 염분등의 환경정보의 어군의 원격계측을 동시에 측정하여 고정도의 측정자료를 얻을 수 있음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환경정보와 어군과의 정밀한 상관관계는 또 다른 환경요인에 대한 실험을 행하여야 규명도리 것으로 예상된다.
        4,500원
        135.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sic experiment on the telemetry system of temperature and salinity, which is a stud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ostal fishing-ground nowadays, was carried of 8 days from April 5, 6, 26, 27 , 1996 to May 31 and June 1, 21, 22, 1996 at the fish farm of Yooksam at Samyang-Myun, tongyongkun(34。45.02'N, 128。24.79'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temperature and salinity of STD of telemetry system was coincided with that of ICTD system calibration precisely. 2. A daily variation of temperature in fish cage which was measured by the telemetry system was influenced mainly by sunrise and sunset. 3. A daily variation of salinity in fish cage which was measured by the telemetry system was influenced mainly by tidal current. 4. The fish school in fish cage was distributed mainly 2~7 m layer during daylight and was arisen to the surface at sunset, was settled down to the bottom at sunrise.
        4,000원
        137.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the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fishing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Y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anuary, 1990 to September, 1992, and the data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catch data from the joint market ofYosu fisheries cooperative society from 1984 to 1993. The resuIte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7.0 to 27℃.and 26.6 to 33.2‰, and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decreased from September to February of following year. 2.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s was relatively high without significant changes from November to June of the following year. From July, however, the salinity decreased to continue a low value till September and then increased.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dominated mainly by the precipitation and its variation was large at the north entrance of set net fishing ground, influenced greatly by the land waters from the river of Somjin, but small in the offshore of the fishing grounds. 3. The fishes caught by the set nets were arranged in order of catch as follows; Spanish mackerel〉 Horse mackerel 〉 Sardine 〉 Anchovy 〉 Hair tail. The catches of Anchovy and Sardine were high in April to May and those of Hair tail in June to July, but Spanish mackerel and Horse mackerel were caught for whole period of fishing. Spanish mackerel was caught most in September and least in April and their means were largest in August and smallest in June. 4. The ranges of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fishing by the set nets was 13.5 to 25℃., and in the ranges the catch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ranges of optimum salinity for fishing varied between 25.0 and 32.0‰.
        4,000원
        140.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ucture and change of the salinity front formed by the outflow of Keum River into the adjacent sea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some possible data. The outflow of the river has no peculiar direction and controlled by the various factors. The analysis of data which are obtained at March and October show that at March, the salinity front is weakened as compared with October. The outflow pattern is not uniform but varies significantly with time period less than one week.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