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14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known that mackerel and pork belly release a strong odor in the process of roasting. We evaluated a dilution factor of odor arising during roasting mackerel or pork belly and the relative odor strength using several cooking tools and analyzed compounds causing odors with gas chromatograph / mass detector. Roasting pans used were grill with lid, electric grill without lid and general roasting pan, and a grill with lid can attach the activated carbon charcoal deodorant at the inside of lid. And all electric grills have a drip tray under the heater.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odor emiss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water and deodorants in these cooking tools. Study has shown that roasting mackerel produces approximately 36 time more odors than roasting pork belly, and the reduced odor emission when roast with water. And it shows the reduced deodorant effect when cooked with water after attaching activated carbon charcoal in the cooking pan. Major odor causing compounds arising when cooking mackerel and pork belly were aldehydes with high boiling point such as octyl aldehyde with a low odor threshold value.
        142.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meat through microwave treatment. The microwave treatmen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continuing microwave treatment (CW) and holding microwave treatment (HW). The microwave treatment resulted in a whiter color (L value) and affected the a, b value. The initial pH was 5.51~5.74, but it increased to 6.32~6.51 when the pork loin samples were stored for three days. During storage for 14 days, the pH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thiobarbituric-acid values of all the pork loin samples increased along with the storage perio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microwave dose.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the control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and the VBN content decreased along with the microwave dose. The total plate counts of the pork loin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microwave dose.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2 (100 W, HW) is most effective for the safety of pork loin meat without decreasing the meat’s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143.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ham with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s. Pork ham manufactured from black garlic extracts with 15 brix (1% (H1), 1.5% (H2), 2% (H3)) and 30 brix (0.2% (H4), 0.5% (H5), 1% (H6) were stored for 28 days at and analyzed with an interval of 7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garlic odor was increased as the garlic extract adding level larger, whereas color, flavor, juiciness, texture and acceptability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H values of pork products were increased as the level of black garlic extracts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of groups (H4~H6) with the addition of 30 brix extracts addi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groups with 15 brix extracts addition (H1~H3)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Furthermore, the TBARS (thiobarbut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of the pork ham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us, black garlic extracts hav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the pork products to inhibit of lipid oxidation.
        144.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돼지고기 목심을 섭취할 때에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가열조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돼지고기 목심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조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조리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탈유량 및 탈콜레스테롤양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시료의 pH는 가열 조리에 의하여 증가하였고,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시료의
        145.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crease human intake of animal fats,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s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boiling, steaming, baking, and frying)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meat decreased with all methods, and the crude lipid content decreased with all methods except frying. The cooking loss and the moisture drain rate of the cooked meats were greatest during frying, whereas the lipid drain rate was greatest with steaming. The pH value increased during all cooking processes tested. The acid value and refraction index of meat fat markedly increased by steaming and frying, respectively. The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meat increased notably during frying. The springiness decreased by both boiling and steaming, but rarely by baking or frying. The CIE (lightness) value markedly increased by both boiling and steaming, and the CIE (redness) value decreased notably during both boiling and steaming. The CIE (yellowness) value increased by both baking and frying, but usually did not increase with either boiling or steaming.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ny cooking methods except frying.
        146.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삼겹살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조리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조리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수분 양은 감소하고 지질 양은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유량은 튀기기와 삶기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료의 pH는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와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
        147.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진열중 조도 처리에 따른 재래종 돈육과 개량종 돈육의 지방산화 및 육색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출하체중 66 kg의 재래종 돼지(거세돈) 5두와 112 kg인 개량종 돼지(, 거세돈) 5두를 도축하여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에서 5일 동안 숙성한 다음 의 암실 및 3,000 lux에 7일 동안 진열하였다.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은 지방 함량을 가진 반면(p 함량을 가졌다(p
        148.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재래종 및 개량종 돼지 등심의 일반 품질특성 과 SPME-GC/MS 및 전자코에 의한 신선육의 향기를 진공 포장 냉장저장중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출하체중 64 kg의 재래종 돼지(거세돈) 5두와 114 kg인 개량종 돼지(, 거세돈) 5두를 도축하고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진공포장한 다음 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을 분석하였다. 지방 함량은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았던 반면(p
        149.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된장분말의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쌀된장 분말 0, 1, 3, 5, 7%를 첨가하여 돈가스 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점도는 쌀된장 첨가량에 따라 cP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염도는 의 범위에 속하였다. 명도는 쌀된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0.54에서 0.15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각각 2.61에서 0.36, 0.77에서 0.10으로 감소하였다. 쌀된장분말을 첨가한 돈가스 소스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
        150.
        200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몽골의 돼지고기 시장을 분석하고 국내산 돼지고기의 대몽골 수출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의 돼지고기 소비는 생산량이 부족하여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돼지고기 가격을 100으로 가정할 때 타 육류의 소비자 가격은 쇠고기 63, 닭고기 100, 양고기 54로서 돼지고기가 비싼 편이다. 둘째, 몽골에서 수입을 원하는 부위는 가격이 저렴한 부위를 요구하기 때문에 국내산 돼지
        151.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돼지고기와 쇠고기의 부위별 저장 중 발생하는 품질 변화와 부패시점을 확인하고자 돼지고기의 등심, 삼겹살, 전지와 쇠고기의 안심, 등심, 양지 부위를 냉장 저장 하면서 pH, VBN, TBARS,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돼지고기의 경우 삼겹살 부위가 등심, 전지와 비교하여 pH, VBN, TBARS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부패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전자코 분석에서는 저장 초기와 저장 말기의 주성분 분석 값이 뚜렷이
        152.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 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에 홍삼추출물을 첨가하여 조제한 식물성 천연 항균복합소재(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and Red Ginseng extract mixture BAACG)의 항균력 검사, 열 및 pH안정성, 미생물 세포막의 형태 및 기능성 변화를 검토하고 BAA
        153.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시장에 저장중인 수출 돈육과 일본시장에 실제 수출이 완료되어 유통중인 한국산 진공포장 냉장돈육에 대한 위생성을 일본 후생성에서 요구하는 수입식육의 유통기한 기준안에 준해 조사하여 한국산 돈육의 위생성과 유통기한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시료는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일본에 냉장육을 공급해 주고 있는 4개 회사의 제품으로 우리 나라내 조사에서는 레귤러 등심과 뒷다리살을 이용하였으며, 일본 현지에서는 레귤러 등심만을 이용하였다. 국
        154.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bial populations (tot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coliforms), TBA, VBN and POV were investigated for evaluating the shelf life of pork loins gamma-irradiated at doses of 1, 3, 5 and 10 kGy with air-contained and vacuum-packaged methods. The initial microbial populations decreased with gamma irradiation depending upon the dose and microorganisms in the vacuum-packaged samples were inhibited more than those in the air-contained samples. POV, TBA and VBN values were higher in the air-contained samples than in the vacuum-packaged samples.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gamma-irradiation and vacuum-packaging could extend the shelf life of chilled pork loi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