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2

        16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학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초·중·고 학교급에 따른 수학교사의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95명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수학교사의 ICT 활용 현황은 초등학교 교사는 ICT 도구 중 프레젠테이션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문제상황의 제시를 위해 ICT를 주로 활용하는 반면, 중·고등학교 교사는 ‘수학 소프트웨어’의 활용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ICT 활용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과 ICT 활용 동의가 ICT 활용 의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 ICT 활용 동의, ICT 활용 의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중학교 수학교사에 비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 활용 동의, 활용 의지 모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과 활용 동의가 높을수록 수학교육에서 ICT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수학교사 보다는 초·중학교 수학교사의 ICT 활용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2.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이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과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자유탐구의 이론, 자유탐구의 지도방법, 자유탐구의 예시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 후, 연수에 참여한 중등과학교사 67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 검사와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수 프로그램이 자유탐구의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유탐구의 목적으로 ‘비판적 사고능력의 증진’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자유탐구의 주제에 대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연, 생명현상 탐구 주제’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과제 수행 유형에서 다른 과제 개별 수행에 대한 선호도가 사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평가 방식에 있어서는 다면적인 평가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연수 후 자유탐구의 도입에 대하여 ‘지도시간 부족’이나 ‘학급당 학생 수의 많음’, ‘학생의 시간 부족’ 등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수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163.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한다. 조사결과 교사들은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이나 수학적 능력은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수학영재아를 지도하는 방법 및 기술과 관련된 교수학적 지식에 대해서는 충분한 역량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교사들은 또한 다양한 능력의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에서 수학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영재아를 위해 과제를 변형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 일반학생과 수학부진아 지도 등의 교육여건으로 인해 실제로 수업을 계획할 때 수학영재아를 위한 구체적 지도계획을 세우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급 내에 있는 수학영재아를 배려할 때 약 28%의 교사만이 진도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과제를 제공하였으며, 약 22%의 교사만이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수학심화 문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4.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m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165.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robotic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7 secondary school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ge and maj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8.2% of the respondents (81.2% of th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related teachers) thought that robot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because it will be a very important area in the future. Second, 73.3% of respondents (89.3% of the STEM-related teachers) agreed that robotics education will be worth teaching as a regular subject.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they thought the robots would be an excellent tool to initiate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ir study motivation. Thir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showed that the technology teachers would be the best suitable instructors for robotics education. Lastly, teachers felt a great deal of burden to teach robotics although they thought robotics education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robotics education in public school, teachers think it is necessary to take professional train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with the reduction in their workload along with sufficient fundings, educational robots such as LEGO MINDSTORMS, and newly designed teaching materials.
        16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관한 인식 및 활용 정도 그리고 수업모형 연수 경험 등에 관해 탐색하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접근 설정에 참고하고자 했다. 설문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모형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실제 수업 보다 공개 수업에서 수업모형을 더 많이 사용한다. 교사들은 자기 수업의 일상적인 패턴과 스타일이 있으며 이를 바꾸기 위한 주된 방법으로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점진적 개선을 꼽았다. 자기 수업을 기록하거나 분석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많았고 횟수는 적은 편이었다. 수업 기록과 분석의 목적은 주로 자기 수업의 성찰이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수업모형과 관련된 연수를 개발하여 제공하려면 교사들이 자기 수업을 중심 소재로 삼아 스스로 수업모형을 적용하거나 수정 혹은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진적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167.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 수업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2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간 통합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그 원인은 통합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 교과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수업에 대하여 개념이나 기능의 전이가 용이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사고력과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등의 이유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 수업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초등 교사들은 교과 간 다양한 통합 수업의 유형에 대해서는 일부 유형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 유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통합 STEM 교육에 대하여 초등 교사들은 잘 모르고 있으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 교사 들은 통합 STEM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였다. 여섯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일곱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이유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덟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 STEM 관련 교과에 대한 학습 흥미 증진, 실생활과의 관련성의 순으로 중점을 두어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이 과학기술 분야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169.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교육학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달리 2X6 요인구조(박병기⋅채선영, 2006)에 근거한 교직 인식론적 신념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D 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상관관계, 적합도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지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숙달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회피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성취 변인인 교육학 성적은 세련된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상관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경로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교육학 점수에 영향 미치는 교직 인식론적 신념의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논의를 하였다.
        170.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좋은 수업’의 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수업전문성 개발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교정하는 하나의 ‘내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수업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 원리에 대한 과학적 이해에 기초하기보다는 교육을 받는 학생으로서 본인의 오랜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인 이해에 바탕을 두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인한 사교육기관의 교육방법이 공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국내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모습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 141명이었으며,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특징’을 중심으로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 내용 측면에서는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고차원적 사고개발의 중요성,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학습자주도의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 매체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구성의 중요성, 교육환경 및 분위기에서는 규칙을 통한 학생관리,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추어진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예비교사교육에 반영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전문가들의 인식이 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유도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교사양성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171.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을 활용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게임기반학습의 확산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교사들이 게임을 사용하는데 있어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주제와 내용을 지닌 게임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에 따른 게임 활용 수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가 게임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관련기관에서 다양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재정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2.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직교사로 구성된 극단 에듀라마를 중심으로 연구 극단의 배우들이 TIE 프로그램 구안 과정에서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참여 학생들의 가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TIE를 통한 사회과 가치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TIE 프로그램 중에서 [은하수 마을의 꿈]과 [날아라, 비행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 학생들에게 TIE 프로그램을 도입적용하였으며, 단계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연구 극단의 교사들은 TIE 참여 전과 후의 면담으로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E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연극적 테크닉들은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상 행위 지향적인 성향과 잘 결부되어, 아동들이 놀이하면서 배우고, 행동하면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TIE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생활모드’의 경험을 통해 실제 생활인 것처럼 행동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학습자에게 사회 상황을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TIE는 가치 영역 중 도덕적 가치 뿐만 아니라 탈도덕적 가치까지 포함한 가치․태도를 변화시키는 사회과의 가치교육에 적합하였다. 넷째, TIE 참여 학생들은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 타협해 가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사고의 개방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다섯째, TIE는 일회성의 연극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깊고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극적 사건을 반추하고 사고의 인식 및 확장을 지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TIE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제기된 쟁점에 대해서 논의하거나 극의 결과를 실제로 결정하는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몰입하게 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환상, 전체 구성, 그리고 캐릭터라는 주된 성분 요소들을 취하고 있어 학생들을 몰입시키는 TIE만의 예술성도 나타내었다.
        17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의 내용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개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SRT III (science reasoning task III)를 사용하여 인지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에서 10개의 과학 개념을 추출하여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분석틀로 내용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51%가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나, 30%의 학생들과 19%의 학생들은 각각 과도기 수준과 구체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의 학생 비율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 6종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물질 단원 과학 개념들의 내용수준은 대부분 초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나, 같은 과학 개념이라도 설명하는 수준과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답변의 수준 차이로 인해 교과서별로 내용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과학교사들은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CAT 분석틀로 분석된 실제의 내용수준에 비해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의 불일치와 과학교사들의 과학 개념 내용수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 내용수준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교사들이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사전에 파악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고려하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17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매스컴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습 방식이 여학생에게 유리하여 남학생이 남녀공학을 기피한다는 보도가 있다. 이런 경향을 반영하듯, 수학과 과학, 언어에서는 남녀 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다. 그러나 역사분야에서는 이런 연구가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 있는 역사교사는 남녀학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15명의 역사교사와 30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성별에 따른 학생 인식을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교사와 학생이 성별에 대해 생각하는 바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짧은 기간이든 오랜 기간이든 학교에 있는 교사는 남녀 학생의 차이를 인정하는 듯하다. 그러나 학생들은 역사 수업 중, 남녀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다. 학생들이 남녀 성별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면, 이런 점을 감안하여 역사교사의 성별 인식에 대한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
        17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제 발표 활동에 대한 동료평가의 양상을 분석했다. 또한 동료평가를 수행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다. 동료평가 결과 예비교사들은 발표 자세와 준비 등 발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주었다. 그러나 교수전략, 교수 자료, 학습 목표 등의 세부적이고 인지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동료평가의 장점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평가 관점의 적용을 들었다. 또한 동료평가의 단점으로는 개인적인 관계에 의한 주관적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료평가 문항은 점수척도와 서술형을 같이 사용해 평가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동료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관련해서는 예비교사들이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했고, 동료들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이는 동료평가가 발표활동에 대한 평가법으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료평가가 활발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가지 개발에 대한 연구와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76.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는 학생을 전제로 의미를 부여받고 교사의 존재가치는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사-학생 간 관계의 건강을 점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건강한 관계가 서로의 존재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와 학생은 서로 함께하는 환경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존재의미를 지닌다. 교사와 학생간의 건강한 관계가 요구되는 이유이다. 관계의 건강은 서로를 어떻게 판단하고 어떤 존재로 인식하느냐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통해 양자관계의 건강을 점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교사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고찰하고, 학생의 교사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이 형성된 맥락을 조사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과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는 원인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역할로는 ‘학습을 도와주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학생과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를 바람직한 모델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비인간적 행위와 교과에 대한 능력 부족을 바라보는 시각이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17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다문화교육 경력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상, 목표, 교육내용과 그에 대한 접근방법 등의 범주에 대한 인식양상을 파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일반교사 2그룹과 다문화교육 경력교사 2그룹 씩 총 4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 그룹 당 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외부에서 유입된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의 2개 범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양영자(2008)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소수자와 다수자로 분류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수용적 태도, 다양성 인정, 타집단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인간존중, 협력적 태도 등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교육대상에서와 같이 하위범주를 외부유입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네번째 연구 문제인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개별적 접근방법과 Banks의 접근법, 활용시간의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다시 하위범주로 교사개별적 접근 방법은 미디어 활용, 관련교과, 이문화교육으로 분류되었고, Banks의 접근법에서는 기여적, 부가적, 변환적, 사회행동적, 혼합적 접근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외에 활용시간으로는 재량시간이나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교과수업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17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승진경쟁 완화 및 교수활동 리더십 강화를 위해 2008년 3월부터 시범운영 되고 있는 수석교사제 실태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석교사의 자격, 역할과 위상, 근무여건과 처우, 활동 저해 요인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에서 선발된 172명의 수석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석교사의 평균 연령과 교육경력은 각각 50.1세, 26.3년으로 교감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고연령, 고경력 층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석교사가 수행하는 역할 가운데 교내 장학, 교내 연수, 수업 기술개발 등이 두드러졌으며, 자신의 지위를 부장급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근무여건 및 처우에 있어서는 60%이상이 별도 공간이 없었고, 주당수업시수는 초등 20시간, 중등 15시간으로 많은 편이었다. 수석교사의 수업감축으로 인한 추가 수업부담은 동료교사들에게 전가되었고, 업무추진을 위한 추가 수당은 거의 지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근무여건과 처우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의 경우 과다한 수업 부담, 중등의 경우 관리직과의 갈등이 수석교사의 활동을 가장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자격 요건, 역할과 위상에 적합한 제도 정비, 처우 개선 등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179.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체육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정상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894명을 대상으로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성별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체육수업의 문제점에서 ‘수업방법’은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정상화’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그러나 ‘수업운영’, ‘교사’, ‘수업내용’, ‘수업평가’ 문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유형(담임, 전담)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체육수업 문제점에서는 ‘수업방법’, ‘수업운영’, ‘교사’, ‘수업내용’, ‘수업정상화’, 그리고 ‘수업평가’ 문제 모두에서 담임교사가 전담교사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장에서의 교사들은 스스로를 반성하는 기회를 갖는 한편 수업개선을 위한 방안을 찾는데 힘써야 하며, 더 나아가 체육수업의 정상화를 위해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현장에 임해야 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8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학교회계제도는 단위학교 구성원들이 예산편성과정에서부터 결산에 이르기까지 학교회계 운영 전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학교 실정에 맞는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해 나갈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신임교사들의 경우, 교직 초기경험이 교직생활 전반을 좌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참여를 강조하는 학교회계제도 운영에 있어 이들이 어느 정도로 참여하고 있는지에 따라 향후 학교회계제도 운영과정에의 참여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회계제도 운영 과정에서 신임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회계제도의 구체적 내용, 학교회계제도 운영과정의 개방성, 학교회계제도 운영 과정의 합리성의 세 영역에 대해 160여 명의 초·중등 신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회계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학교회계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았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교회계 운영 과정의 개방성과 합리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인식 수준은 높은 편은 아니었다. 학교회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회계 운영 과정에 신임교사들의 적극적 참여 유도 및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기회 및 학교회계 의사소통 기회 확대, 학교운영위원회의 적극적인 역할 제고 등 단위학교 차원의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