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4

        16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조사는 당진, 서산, 태안, 홍성, 보령, 서천 등 충남 도서지역의 관속식물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2010년 3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하였으며,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105과 326속 454종 4아종 45변종 9품종으로 총 5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내의 한국특산식물은 벌개미취, 키버들, 좀땅비싸리, 태안원추리, 새끼노루귀, 고광나무 등 총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목련, 모감주나무, 먹넌출, 갯방풍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I등급종은 50분류군, II등급종은 1분류군, III등급종은 11분류군, IV등급종은 4분류군, V등급종은 3분류군으로 총 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연구 결과에 의한 기준으로 보면 남방계가 14분류군, 북방계가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7과 4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전체 소산 식물목록 중 약 9.1%를 차지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군락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주변 도서지역의 식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도서지역 간에 정기적으로 여객선이 오가며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종수가 증가하고, 주변 도서지역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16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대 발전량이 500kW인 서해 도서의 풍력-디젤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도서에 대한 연간 전력 부하 변동치와 바람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풍력을 포함하여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하이브리드 최적화 모델로 미국의 NREL에서 개발한 Homer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풍력-디젤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경제성을 판단하기 위해 풍속과 경유 가격을 변수로 하는 민감도 해석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조건에서는 경제성이 낮았으나, 풍속이 초속 3미터가 넘거나 경유 가격이 리터당 2.4달러를 초과할 경우 대상지역에도 풍력-디젤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이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163.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rvesting of marshfire glasswort (Salicornia europaea) by local people has been increased recently since this plant was known for a well-being food. Even though some harvesting sites are facing high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Salicornia europaea is still harvested on a large scale. Therefore, to investigate safety of Salicornia europaea as a food resource, salt marsh environment, potential harvestable biomass, element and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Salicornia europaea has been studied in three salt marshes, west-coast of Korea. Salicornia europaea showed 150 – 230g/㎡/yr harvestable biomass. Biomass and nitrogen contents of Salicornia europaea were closely related to soil nitrogen and carbon concentrations. Average Na, Zn, Fe, Cr accumulations in Salicornia europaea were 41479, 18, 297, 1.5 (mg/kg), indicating valuable trace element contents. However, average heavy metal accumulations such as As, Cd, Cu, Pb, Hg accumulations were 1.5, 7.1, 4.2, 1.5, 0.1 (mg/kg), which were even or higher than national standards (0.5, 0.5, 2, 2, 0.1) of salts. These results imply that harvesting and eating of Salicornia europaea in west-coast research sites would be harmful because the contents would be much higher if it is calculated as only considering salts and minerals. Therefore, harvesting of Salicornia europaea from some salt marsh in west-coast of Korea should be done cautiously.
        16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conditions of the cloud streets over the yellow sea by the Cold Surge of Siberian Anticyclone Expansion which produce the heavy snowfall events over the southwestern coast, Honam District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analyses of the three dimensional snow cloud structures by using the CAPPI, RHI, VAD and VVP data of X-band Radar at Muan Weather Observatory and S-band Radar at Jindo Weather Station. The data to be used are obtained from January 04, 2003, when heavy snow storm hits on Gwangju and Honam District. The PPI Radar images show that the cloud bands distribute in perpendicular to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high pressure and that the radius of cloud cells is about 5∼8km with 20∼30dBz and distance between each cell is about 10km. And but the vertical Radar images show that the cloud street is a small scale convective type cloud within height of about 3km where a stable layer exists. From the VVP images, the time period of the high pressure expansion, the moving direction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system are delineated. Final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nd direction is fairly constants, while the wind speed sheer increases with altitude to 3km.
        165.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해상에서 발생한 Hebei Spirit호 유류오염 사고로 원유 12,547 ㎘가 유출되어 서해안의 167 ㎞에 이르는 해안선이 오염됨으로서 이곳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 어류 등 양식생물들과 같은 유용 수산자원은 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류에 노출된 굴, Crassostra gigas은 외부에서 정상적인 먹이 섭취활동이나 에너지 대사 작용을 하지 못하여 생체량의 감소가 나타나 산란량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유류유출사고 피해지역인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및 소원면 의항리와 유류오염에 노출되지 않은 경기도 안산시 종현동의 참굴 집단을 대상으로 11개의 microsatellite DNA marker를 이용하여 계절적인 차이를 두고 유전적 특성을 비교하고, 유류오염에 대한 참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msDNA 마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유류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 굴에 대하여 11개의 microsatellite DNA marker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marker에 따라 대립유전자 수가 19개에서 42개로 매우 다양하였으며, 평균 대립유전자 수는 약 33개, 대립유전자 수 보정치 (Allelic richness)는 약 32개로 모든 집단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형접합체율 관찰값 (Ho)은 경기 9월 집단의 ucdCg-161에서 0.602로 가장 낮았고, 태안 3월 집단의 ucdCg-109에서 0.9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형접합체율 기댓값 (He)은 경기 3월과 태안 9월 집단의 ucdCg-130에서 0.886으로 가장 낮았고, 경기 9월의 유전자좌 ucdCg-133에서 0.972로 가장 높았다. 평균 이형접합체율 관찰값 (Ho)과 기댓값 (He)은 각각 0.762~0.798과 0.948~0.952로 계절적, 지리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형성정보지수 (PIC)에서도 경기 3월 집단의 ucdCg-130에서 0.871로 가장 낮았고, 경기 9월 집단의 ucdCg-133에서 0.966으로 가장 높았으며, 각 집단의 평균은 0.940~0.944로 계절적, 지리적인 차이는 없었다. Hardy-Weinberg equilibrium (HWE)에서는 태안 9월 집단의 ucdCg-130에서 유의한 이탈이 나타나 유전적 불균형의 징후가 보였다. 대립유전자 빈도를 바탕으로 계산되는 Linkage disequilibrium (LD)을 기초로 한 유효집단크기 (Ne)에서는 경기 9월 집단이 76,395마리로 가장 높았는데, 이것은 genetic linkage, 재조합률, 돌연변이율, random drift, non-random mating 등을 포함하는 여러 원인과 집단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각 집단의 유효집단의 크기는 비오염 지역의 경우 3, 5월 집단이 각각 753마리, 1,494마리로 나타났으나, 오염지역의 경우, 3, 5, 9월 집단이 현재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각 450마리, 660마리, 546마리로 매우 낮게 나타나 비오염 지역에 비해 다양성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집단에 대한 유전적분화에 의해 야기되는 아집단내의 이형접합체율의 감소정도를 나타내는 FST를 유의차 검정 (P<0.05)에 의한 P값을 반영하여 각 집단 간을 비교한 FST 값에서는 태안 5월 집단이 경기 3월, 5월, 9월 집단 그리고 태안 3월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대립유전자 빈도를 근거로 하여 Nei's genetic distance에서는 0.1035~0.1497로 나타났으며, 태안 5월 집단에 비교적 높은 수치가 보였다. UPGMA와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계통수를 만들어 참굴 집단 간 유연관계를 확인한 결과, 계절적, 지리적인 집단 간의 특별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계절적, 지리적인 집단 사이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류오염이 산란에 미친 영향 파악을 위해 유전적 특성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16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웅어 Coilia nasus의 생식소중량지수(GSI), 비만도지수, 난소 발달, 군성숙도, 포란수를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 까지 조직학적 관찰 및 형태 측정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와 비만도지수는 2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해지는 6월에 최대에 이르며, 그 후 산란이 일어나는 7월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GSI와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난소의 성숙 및 산란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암컷의 난소 발달 단계는 연속적인
        167.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ircraft Measurements of gaseous pollutants(SO2, NOx and O3) in the Yellow Sea area, were carried out on 1997-2007. Main measurement site in 124°-127°E, 35°-37°N (in the Yellow Sea), have been done along the paths classified vertically and zonally. To understand how the air stream affects Long-range transboundary pollutants in Northease Asia (LTP), the tracks of pollutants in northeast Asia have been analyzed by dividing into 6 different regions(regions I-V and L). Compared with Korea's local sources and western north Pacific influenced by the Yellow Sea, when the air stream from region Ⅱ is dominant, the SO2 concentrations are 3-6times higher. In region Ⅱ and Ⅲ, SO2 concentrations are represented highest at 25.0 and 14.7 ppb, respectively. However, in other regions, SO2 concentration was recorderd the highest at 1.1-3.8 ppb, which is 7-15% higher then the highest one over the region Ⅱ and Ⅲ. During 1997-2007, the mean amount of incoming pollutants is 0.162 ton/km·hr exceeding about 5-times mean amount of outgoing pollutants over the West Sea. During the observed period, the amount of incoming and outgoing SO2 over the Yellow Sea is the highest in winter, at 0.224 ton/(km·hr) and 0.120 ton/(km·hr), respectively.
        16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전라남도 대흑산도 연안에서 채집한 비단가리비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 생식세포 분화 및 난소주기를 조직, 세포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형성 난모세포에서,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및 조면소포체들은 지방적 형성에 관여하였다.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에서 생식상피상에 존재하는 외인성 물질들 즉, 글리코겐 입자들 및 지방 과립상 물질들이 난황막의 미세융모를 통해서 난모세포의 난질로 통과해 들어갔다. 후기난황형성난
        16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서해안 무안군 자운도 주변해역에서 안강망으로 채집한 병어, Pampus argenteus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조사 및 형태 측정에 의해 번식 생태를 조사하였다. 병어는 자웅이체이며, 난소는 한 쌍의 낭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소는 엽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정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 수 개체들의 생식소중량지수(GSI), 간중량지수(HSI), 비만도지수(CF) 값들의 월별
        170.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한반도와 부근 해역은 대륙에서 발달하는 시베리아고기압과 해양에서 발달하는 알류샨저기압으로 형성되는 전형적인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주변 해역, 특히 서해에서는 강한 서풍 내지 북서풍의 계절풍과 강한 바람에 의한 높은 파랑, 폭설 등을 동반하는 악기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겨울철에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11년간 (1994-2004년)의 지상일기도를 분석하여 온대저기압의 주요 이동경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온대저기압의 이동경로별로 섬들의 지형적 특성, 수심, 저질의 상대, 조류의 영향 및 어망의 분포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였다.
        171.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호남 서해안 지역의 강수량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1971~2005년간의 호남 서해안 지역에 위치한 목포와 군산의 여름철 강수량 변화와 서해상의 죽도와 말도의 해수면 온도 변화, 그리고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호남 서해안 지역의 여름철 강수 특성이 이 지역의 농업 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파악하였다. 서해에 면한 호남 지방의 서해안 지역은 전반적으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서해는 조석 현상으로 인한 냉수대와 조석 전선으로 인해 해수면이 차가워진다. 이로 인해 이를 지나는 공기가 냉각되어 안정되므로 비를 적게 내리는 소우 현상이 나타난다. 최근 이 지역의 강수량 증가 경향은 서해의 해수면 수온 상승에 따른 결과이다. 그리고 이는 이 지역의 여름철 강수가 서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반증한다. 이로 인해 호남 지방의 서해안 지역과 그에 접한 평야 지역은 우리나라의 여름철 가뭄 발생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 속하였다.
        17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암컷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 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발달과 난소 성숙 및 군 성숙도를 세포 및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바지락은 자웅이체이다. 난황 형성 과정 중 골지복합체, 글리코겐 입자들과 미토콘드리아들은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 세포질 내에서 지방적 및 지방 과립 형성에 관여한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 난모 세포질 내의 피질 과립, 조면 소포체 및 미토콘드리아들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의 형성
        17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
        174.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mpared each ingredient's local/seasonal chang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anions and cations, watersoluble ionic components, from the precipitation of Dangjin and Anmyeon-do area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or 8 months from both spots between the period of April 1, 2002 to November 31, 2002. The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continuously through the entire duration of precipitation by using the wet-only automatic samplers. When rain continues to fall over 24 hours or occasionally, we considered those collected from 9 o'clock in the morning for 24 hours as the day's samples. As a method to verify for the reliability of the analyzed data is concerned, we use the ion balance method and the electricity conductance method, was used widely as a way of watching the atmosphere by the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GAW (Global Atmosphere Watch). Also, Dangjin and Anmyun-do area confirmed that contains artificial pollutants by analysis of ion concentration data.
        175.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서남권에 해당하는 서해안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전라북도 고창지역은 점토분이 많아 내포돼 있는 황토가 많다. 황토는 수박이나 고구마 같은 작물의 재배에는 양질의 토사이지만, 도로를 구축하기 위한 노상재료로 사용하는데는 원하는 강도값을 얻기가 힘들 토사였다. 이 연구 대상구간의 지역은 절토부의 노상재료가 원하는 재료의 품질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노상층의 재료 특성을 보면, #200번체 통과량이 25~82%정도로 지하수위가 거의 노상면과 일치하여 자연함수비 과다로 시공시 노상토의 지지력 확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지지력이 부족한 현장에 적절한 절토부 노상지지력의 확보방안을 수립하여 원하는 공정을 추진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튼튼한 고속도로를 건설하는데 있었다.
        177.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tideland reclamation is done on a large scale these days, construction work is active in the coastal areas. Facilities in the coastal areas must be built with the tide characteristics taken into consideration. Thus the tide characteristics affect the overall reclamation plan. The analysis of the tide data boils down to a harmonic analysis of the hourly changes of long-term tide data and extraction of unharmonic coefficients from the results. Since considerable amount of tide data for the West Coast are available, the existing data can be collected and can be used to obtain the temporal changes of the tide by being fitted into the tide prediction model. The goal of this thesis lies in assessing whether the mean sea level used in the field agrees with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long-term observation data obtained with their homogeneity guaranteed.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observation stations, the land level standard, and the sea level standard were surveyed to derive a vertical standard. Then the causes for the changes in the mean sea level were analyzed to set up a time series model formula for representing them. To secure the homogeneity of the time series, each component was separated. Lastly the mean sea level used in the field was assess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time series.
        178.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ns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cluding pibal balloon at Ungcheon, airsonde and 10m meteorological tower observations at Gulup-Do, where are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are taken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nd lower atmospheric structure and the local circulation pattern during the period of 17 to 22 September 1996. The diurnal variations of weather elements(i.e, air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and wind speed) at Gulup-Do are analyzed and discussed with those at four inland meteorological stations. The vertical profiles of wind vector, orthogonality(Ω), and shear obtained from the pibal observations are also presented to examine the change of wi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synoptic-scale pressure system`s movement. The diurnal temperature changes at Gulup-Do are more sensitive than that of inland meteorological stations in case of the inflow of southwesterlies but are not dominant due to the ocean effect under the influence of relatively cold northerlies. A well defined mixed layer is developed from the 500m to the maximum 1700m with a significant capping inversion layer on the top of it. It can be found from the vertical profiles of wind vector that the wind become generally strong at the interface heights between cloud layers and non-cloud layers. The maximum wind shear is appeared at the height where the variation of wind direction induced by the passage of synoptic-scale pressure system is accompanied with the increase of wind speed. Based on the wind orthogonality, the change of wind direction with height is more complicated in cloudy day than in clear day. In case of a fair weather, the change of wind direction is showed to be at around 2㎞
        17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3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서해 군산시 오식도 조간대에서 채집한 대맛조개를 대상으로 정자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직학적 및 투과형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엿다. 대맛조개(Solen grandis)는 자웅이체이다. 본 종의 완숙정자의 형태 구조는 다른 이매패의 정자들이 갖는 원시형(primitive type)으로 작은 두부와 한 개의 두모첨체를 가지며, 편모축사를 둘러싸고 있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로 이루어진 짧은 중편을 갖는 것이 관찰되었다. 완숙정자
        18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개 주요 검조소의 기본수준점표 설정연혁을 개괄하였다. 이 검조소의 검조의 영점표고, 기본수준고, 그리고 주위기준점(Tidal Bench M막)의 자료를 수집검토하였다. 농어촌진흥공사, 수로국, 항만국 등이 조사한 지역평균 해면고(Local Mean Sea Level)를 비교하여 이들 4개 검조소지점(인천, 군산내.외항, 목포)의 평균해면고로 정의하였다. 기본수준면(DL), 평균해면(MSL), 대조평균만조면(HWOST) 등의 설계조위면을 추정하기 위하여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