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9

        161.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respirat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sugaru' apple(Malus domestica Borkh) during storage at 4C, 10C and 20C. Respiration rate of the apple just after harvest was 7.57 mL CO/kg/h at 20C. It was decreased rapidly and was 2.86 mL CO/kg/h after storage for 45 days at 20C. The apples showed the highest ethylene production rate at 10C and 20C after 14 days, and at 4C after 28 days during storage. Weight of the apple was reduced by 2.9% after 120 days at 4C and by 6.1% after 45 days at 20C. Color difference of peel and pH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s but titratable acidity and flesh firmness showed the reverse trend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quality test,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helf-life of the apple is 86 days at 4C, 65 days at 10C and 37 days at 20C, respectively.
        164.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의 광 반응과 호흡에 미치는 잎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적(short term)으로 조절된 광도에서 조건별로 온도를 1℃ 간격으로 30℃ 까지, 암 조건에서는 46℃ 까지 증가시켜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고려인삼의 Rubisco 활성은 낮은 광도와 잎 온도 조건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광도가 100u mol m2 s1에서는 18℃ 의 잎온도에서 최고의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200u mol m2 s1 광도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00, 400u mol m2 s1에서는 잎 온도 수준이 각각 17℃ 와 16℃ 에서 최고 반응을 보여 광도증가에 따라 적정온도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암조건 에서는 28℃ 부터 40℃ 까지 호흡량이 급속히 증가하다가 40℃ 이후부터는 급속히 감소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잎온도 조절에 따라 광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암조건에서의 CO2 발생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65.
        199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obtain the basic data on precooling effects for establishment the suitable postharvest handling technique or method of keeping high quality of vegetalble corn, the sweet, supersweet and waxy corn, (Danok #2, Cocktail #86 and Chalok #1), being mainly consumed as vegetables in Korea, were precooled with ice or vacuum cooling method immediately after harvest. The vacuum cooling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field heat removal of vegetable corn. It took only 30 min. at 4 to 5 torr of cold chamber pressure of vacuum precooler to lower the corn temperature from 30 to 2. The ice cooling was also thought to be a useful precooling method with relatively short cooling time of 6 hrs. The vegetable corn treated with vacuum or ice cooling showed low and stable respiration rates of 25.5 to 43.5 CO2 mg/kg/hr. when stored at 0∼2 while the samples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25) without precooling were as high as 64.1 to 245 CO, mg/kg/hr.
        166.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breathing zone air quality in Taegu, using automatic analyzers for four air quality standards(SO2, NO2, CO, and O3). First, air target compounds were measured for 8 to 12 hours in each of two commercial areas and five residential areas. Second, air target compounds were hourly measured for 24 hours in each of two commercial areas, two residential areas, and an industrial complex area. Based on the first experiment the breathing zone air was more polluted in the commercial area as compared to the residential area, while the second experiment showed that the breathing zone air was polluted rather in the residential area as compared to the commercial area. The second experimen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some variation of breathing zone air concentration with time and measuring sites. Diurnal variation of breathing zone air concentrations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measured at building height. The highest breathing zone air concentration was shown in Seongseo industrial complex area. An unusual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SO2 concentration in the breathing zone air of Bisandong, a typical residential area of Taegu,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sidential areas, even higher than that of Seongseo industrial complex area.
        167.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연구(硏究)는 고추냉이의 광합성(光合成) 효율증진(效率增進)을 위한 기상환경(氣象環境)에 조건(條件)을 알아내어 재탑적지(栽培適地)의 선정(選定)과 재배관리(栽培管理)에 대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온도(提供)와 광도(光度), 그리고 CO2의 농도(農度)에 대한 광합성(光合成), 청호흡(晴呼吸) 그리고 광호흡(光呼吸)의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고추냉이의 광합성(光合成)에 최적온도(最適溫度)는 17~20℃이었고 최적온도(最適溫度) 이상(以上)에서 광합성(光合成)이 크게 감소(減少)하였으며, 암호흡(暗呼吸)은 15℃에서 30℃까지 온도(溫度)가 높아질수록 증가(贈加)하였다. 2. 광보상점(光補償點)은 고추냉이가 6.0 μE m-2s-1으로 옥수수의 36.7μE m-2s-1보다 낮았으며 광포화점(光飽和點)은 고추냉이와 옥수수 모두 600μE m-2s-1로 비슷하였다. 3. CO2 보상점(補償點)은 고추냉이가 67. 3 ppm으로 옥수수 11.6 ppm보다 높았으며 암호흡(暗呼吸)은 CO2의 농도(濃度)가 낮을수록 높았다. 4. 고추냉이의 광호흡(光呼吸)은 광도(光度) l000μE m-2s-1에서 3.3 mg CO2 dm-2 hr-1이었으며 광도(光度)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5. 기공(氣孔)의 분포(分布)는 잎의 표면(表面)에 약 76개/mm-2, 뒷면에 623개/mm-2이었으며 기공(氣孔)의 크기는 표면(表面)의 것이 12μm이고 뒷면의 것이 17μ로 나타났다.
        168.
        199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measurement of the change of respiration rate caused by the gas content of storage atmosphere which furnishes important data for the interpretation of ULO storage, GC was us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spiration rate and respiratory heat generation rate of Fuji apple is more than doubled in normal low temperature storage when compared with ULO storage, and that in ULO storage the respiration rate and respiratory heat generation rat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O2 in storage atmosphere as well 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at of CO2.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functional formula for the respiratory heat generation rate of Fuji apple in all the storage conditions in terms of u=-0.7638+0.0003 O2-0.0007 log(CO2)+0.1369 log(Tb) concerning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of O2 and CO2
        169.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hers Investigated the particulate size distribution in work environment of Banwol and Changwon industry complex. Size distributions of particles exposured to workers in welding and in grounding process were evaluated by personal cascade impactors. Personal air samplers with personal cascade impactor were attached to the workers. The mass median diameter measured in welding sites were 0.3 to 3.8μm and in grinding sites were 1.5 to 2.6μm. Respirable matter fractions were ranged 32.67 to 65.05%. Respirable matter fractions were calculated from the size distribution data by the respirable particle mass of the ACGIH criteria. The study relating to characteristics of particle of other industries and particulate size distribution is more needed in the near future.
        170.
        199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해의 기작을 구명코저 몇가지 작물을 공시하여 해수처리가 광합성, 근호흡 및 증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차이에 따른 상대증발산량과 상대광합성량은 처리후 4일간의 일변화에서 그 반응이 상이하였으나 공시작물 4종 모두 저온구(11-16℃ )에서 고온구(22-24℃ )보다 높았다. 2. 상대증발산량과 근호흡량의 상관에서는 orchard grass는 r=0.996** , alfalfa는 r=0.828* , white clover에서는 r=0.996** 을 나타냈으나 tall fescue에서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3. OED(증산억제제) 처리에 따르는 증발산량과 근호흡량은 전공시 작물이 해수처리구가 수도수처리구보다 근호흡 및 증발산량을 감소시켰으며, OED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zeolite구가 모래구 보다 적었다. 4. 해수처리에 다른 근부의 피해상태는 orchard grass 및 tall fescue에서는 근부의 피층이 갈변하였고 alfalfa와 white clover에서는 피층부분이 수분침수에 의해 변색되었다.
        171.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시용량의 차이가 수도의 수잉기 내랭성과 출수기에 있어서 약의 호흡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여명벼, 운봉벼, 밀양 2003를 공시하여 소포자초기의 엽신 및 엽소+경의 질소함량, 출수기의 약의 호흡활성 및 내랭성 지표인 임실지수를 조사하여 이들의 상호간계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초기 엽신질소함량과 임실지수, 약의 호흡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2. 약의 호흡활성은 100ppm 질소처리보다 10ppm 질소처리에서 높았다. 3. 출수기 약의 호흡활성에 대한 Arhenius plot 분석에서 여명벼, 운봉벼는 100ppm 질소처리에서는 각각 18℃ , 18.5℃ 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으나, 10ppm 질소처리에서는 온도차이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밀양 2003는 10ppm, 100ppm 질소처리에서 각각 20.5℃ , 21℃ 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다. 4. 15-30℃ 온도범위중 20℃ 에서의 약의 호흡량과 임실비율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컸었다.
        172.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ark type의 산소전극장치를 이용하여 기 선발된 oxyfluorfen 및 bensulfuron-methyl 에의 내성 및, 감수성 수도품종에 대한 광합성 및 호흡반응차이를 비교한 목적으로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xyfluorfen 농도증가로 O2 발생율은 저하하는 반면에 호흡율은 상승하였다. 벼 풍종간에는 103M에서 감수성이었던 Mushakdanti 의 광합성율이 무처리의 43%까지 떨어졌으나 내성이었던 Aichiasahi 는 56%까지로서 상대적으로 덜 떨어졌으며 호흡에서의 품종차이는 거의 없었다. Bensulfuron-methyl 농도증가에 따라서 O2 발생율은 저하(감수성인 IR 1846은 광합성에서 무처리의 55%까지, 내성인 Chinsurah Boro II 는 77%까지만 저하) 하였고 호흡율은 상승(품종간에 140~149% 내외의 차이)하는 양상으로서 역시 내성품종이 광합성에서 덜 떨어지는 반면 호흡에선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 경향이있다.
        173.
        198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약배양에 있어서 배양약의 viability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밀양 2003, 대청벼, 치악벼를 재료로 품종 및 저온전처리, 약의 갈변에 따른 호흡율의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화분의 발육시기에 따른 배양전 약의 호흡활성은 개화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배양적기인 stage 3~4에서의 호흡율은 12.46 O2 n mode/ml/h/another이었다. 배양약의 호흡활성의 변화는 3~9일경에 1차 정점을, 9~11일경에 2차 정점을 나타냈으며, Callus 형성능이 높은 대청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온전처리는 배양 초기의 호흡활성을 저하시켰으나 15일경부터는 무처리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저온전처리는 약의 갈변을 촉진하였으며, 갈변약에서 호흡활성이 높았다.
        174.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종자의 발아생리를 깊게 이해하여 건묘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종자를 파종하여 발아될 때까지 종자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를 명암조건 및 온도별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아과정중 수분흡수는 치상후 3∼6시간까지 물리적인 수분흡수단계, 다음 6시간부터 24시간까지 보합세유지 세째단계로 48시간∼168시간까지 급격한 수분흡수 증가를 보이는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암조건 및 저온에서는 세째단계의 급격할 수분흡수 양상을 볼 수 없었다. 2. 발아과정중 호흡의 변화도 수분흡수와 비슷하여 처음 48시간까지 호흡의 증가가 없었으나 48시간 이조 발아시작과 함께 급격허 상승하여 120시간을 전후하여 최고에 달하였다가 점차 떨어졌다. 반면, 암조건에서는 호흡이 매우 낮고 변화가 없었다. 3. 발아신 호흡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산의 감소가 상응하게 일어났으며 당 및 지방산의 변화가 광조건에서는 많이 변화하였으나 암조건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175.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산간부인 진안(해발 303 m)에서 생식생장기에 일반상수를 대비하여 냉수를 유수형성기와 감수분열기에 4, 8, 12 일간 관개하였을때 야기되는 물질생산 및 수용계의 냉해반응을 알고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냉수관개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장, 수장, 추출도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며, 유수형성기 냉수관개는 하위절, 감수분열기 냉수관개는 상위절의 절간신장을 단축시켰다. 또한 지경 및 영화의 퇴화는 유수형성기 냉수 관개에 민감한 영향을 받아 2차지경과 영화의 분화착생수 감소 및 퇴화의 증가를 보였다. 2. 불임율과 등숙장해도 냉수관개기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였고 유수형성기보다 감수분열기 냉수관개에서 피해율이 현저히 높았는데 특히 피해반응이 예민한 시기는 영화원기분화기와 감수분열기경이었으며 불임율, 등숙비율과 수량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3. Source와 Sink 관련형질중 지경과 영화의 퇴화는 엽면적에 영향을 받고 불임율과 수량은 간장, 수장,추출도의 신장량과 상관이 있었다.
        176.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품종간 엽중수분변화에 대한 광합성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온실에서 자란 잎담배 5품종의 엽중수분함량을 변화시켜서 광일광합성속도, 호흡속도, 기공저항 및 엽육저항을 각각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간 광합성속도는 N. longiflora가 20.7mg CO2 /dm2 /hr로 제일 컸고 Burley종이 제일 적었다. 2. 광합성속도와 단위엽면적당 건물중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3. 안동엽은 WSD 53%에서 광합성속도가 50%정도 감소되었으나 Burley 21은 외관상으로 위조상태 이전인 WSD 43%에서 광합성능력을 상실하여 재배품종은 N. longiflora와 안동엽보다 수분결핍에 의해 광합성 작용이 크게 억제되었다. 4. 품종간 호흡속도의 변화는 수분결핍 초기에 약간 증가하다가 광합성속도와 같은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5. 수분결핍에 따라 기공저항과 엽육저항은 증가되었으며 수분결핍에 의한 광합성속도의 감소는 주로 기공이 닫혀지기 때문으로 본다.
        177.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6월 14 일에 4년생 인삼 식물체의 각 기관별, 10월 1 일에 6년생을 근상태별로 구분하여 호흡량을 측정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관별 호흡량은 유과≒엽>화경>경≒근의 순이었다. 2. 15℃ ~30℃ 사이에서의 기관별 호흡계수는 유과 2.39, 엽 1.75, 근 1.57, 경 1.17, 화경 1.16이었다. 3. 채굴 당시 대편삼(117± 8.8g)과 소편삼(54± 4.0g)간에 호흡량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4. 근내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호흡량은 저하되었으며 그 정도는 소편삼에서 현저하였다. 5 . 건전삼에 비해 근적변삼에서 근호흡량이 현저히 많았다.
        178.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대두 종자의 호흡율의 품종간 차 및 종자 부위별 (자엽, 배축, 배꼽) 차를 검토하고, 이러한 호흡율의 차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서 효율적인 고발아성 종자의 초기 선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저 수행되었다. 1. 1시간 침종후 대두 종자의 흡수율은 종자부입별 및 품종간 차를 인정할 수 있었으나, 종자부위와 품종간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므로 종자부위와 품종은 대두 종자의 호흡에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2. 자엽의 호흡율은 다른 부위, 즉 배축이나 배꼽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그 평균값은 자엽이 35.7, 배축이 28.0, 그리고 배꼽이 23.9uhr1 seed1이었다. 그러므로 대두 종자의 저장기관이 전체적으로 호흡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 낮은 호흡율을 보였다. 3. 전체 대두 종자의 호흡율에 있어서 침종시간 및 시간과 품종간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4시간 침종 동안에 급격한 호흡율의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 호흡율 4시간에 13.6, 8시간에서 16.3, 12시간에서 17.8, 16시간에서 23.2, 그리고 24시간에 25.3u hr1 seed1이었다. 4. 품종 Bonus에 있어서 종자 수분함량과 24시간 침종동안의 종자의 호흡률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에 있어서는 상관계수 유의성이 없었다. 이 결과는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에 비해 24시간 침종동안 호흡에 보다 많은 수분을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5. 종자무게와 호흡률 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호흡률은 종자의 무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호흡율과 3일간의 초기 초장의 신장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노출된 괴경은 동계 저온에 의한 것보다는 건조에 의한 사멸을 촉진하는 요인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단백질함량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에 의하여 수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졌다. (11) 대, 소맥 각품종의 각형질에 미치는 RH-531처리의 영향은 처리농도보다 처리시기에 더욱 지배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A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4 는 A4 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4 와 B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얻어짐을 알았다. 여기서의 합성분말을 이용하여 실제 조명램프
        179.
        197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 및 인산시용이 수도의 지상, 지하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산소전극으로 측정한 근호흡과 지상, 지하부 생육과의 관련성을 알기 위하여 1978년 인공기상실에서 pot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산시용량 증가에 따라 근호흡 및 지상부중은 증가되나 근중은 감소되었다. 2. 인산의 시용은 인산과 동량의 질소병용하에서만 근호흡을 증가시켰으며 근중 및 지상부중은 인산적량시비시에 증가되었다. 3. 저온하에서는 근호흡에 미치는 인산시비효과가 크지 않았으며 인산만의 단독증비는 근호흡을 크게 감소시켰다. 4. 근호흡은 근중과는 부의 상관을, 그리고 지상부중 및 양분흡수와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단위면적당호흡 의미가 없고 단위근중당호흡만이 유효하였다. 5. 원연교잡종인 수원 258호는 일본형 품종인 진흥보다 저온에서의 인산반응이 낮은 경향이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