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161.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which are the most effective social media strategies for gaining customer engagement for fashion companie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with the use of an online survey distributed among companies belonging to the fashion industry. 42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and therefore discussed. The analysis led to the definition of a list of strategies used by fashion companies on the adoption of social media tools. Subsequently, activities and the social tools able to improve customer engagement have been analysed. Fin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ies and to their positioning on the market,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results have been carried out, comparing compan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hows that companies of the same segment adopt the same approach to social media as well as a similar set of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ies. The findings of this paper confirm the growing interest both from academics and practitioners for Social Media Marketing tools and they will suggest implications to fashion brands to manage their customer engagement and their social media activity.
        4,000원
        162.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gagement relates to how writers acknowledge the presence of their readers by explicitly bringing them into the discourse. This study examines how master’s theses by Korean graduate students differ from internationally acknowledged journal articles in their engagement practices. Within the specific discipline of applied linguistics, it compar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engagement resources employed by novice and expert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with expert writers, Korean graduate students significantly underuse engagement devices. For individual devices and their rhetorical functions, more insightful novice-expert variations were found. Student writers tend to address undefined general audiences quite often, making their texts less-reciprocal and less effective for negotiation with readers. Further, Korean students prefer to deploy less imposing textual directives, rather separated from the main argumentation. Their uses of cognitive directives and questions are also quite confined, and not as strategic as the expert practices. These characteristic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Korean EAP writing pedagogy.
        6,700원
        16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고속도로건설현장(37개), 인천공항건설현장(12개), 철도건설현장(10개), 광역지자체건설현장(14개), 국도건설현장(2개) 등 75개 건설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현장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630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622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 조직시민행동과 종업원몰입과 정(+)의 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과 종업원몰입과 정(+)의 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현장소장의 진성리더십과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 사이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조직후원인식은 현장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에 영향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내에서 절대적 권한을 갖고 있는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의 영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과 매개변수로써 조직후원인식의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800원
        164.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mercial fitness industry is booming in Malaysia and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entice new members with the built up compet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eeds of these commercial fitness members and the role of engagement in determining overall satisfaction with service. Scale of Service Quality for Recreational Sport (SSQRS)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reveals that fitness members are more drawn to interaction, outcome,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the engagement they receive from a gym membership and not much from the programs that are offered. This study’s finding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fitness industry.
        4,300원
        16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에서 정적 강화를 통한 3단계 지시 따르기 훈련법이 작업참여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3단계 지시따르기 훈련 후 실시한 작업치료에서 정적 강화물의 사용 유무에 따 른 작업참여도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발달장애 아동 2명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중다기초선(multiple baseline across tasks)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1단계 기초선에서 대상 아동들에게 기존의 작업치료 방법(작업치료Ⅰ)을 시 행하여 작업참여도를 측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정적 강화를 통한 3단계 지시따르기 훈련법을 사용하여 지시따르기 훈 련을 실시하였다. 지시따르기 훈련 후 작업치료(작업치료Ⅱ)를 시행하여 작업참여도를 측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작업 치료를 실시할 때 아동에게 강화물을 제공하면서(작업치료Ⅲ) 작업참여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 1은 작업치료Ⅰ에 비해 지시따르기 훈련 후 실시한 작업치료Ⅱ에서 작업참여도가 증가하였고, 강화물을 적용한 작업치료Ⅲ에서는 작업치료Ⅱ에 비해 작업참여도가 다소 감소하였다. 대상자 2는 작업치료Ⅰ에서와 지시따르 기 훈련 후 실시한 작업치료Ⅱ에서 작업 참여도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화물을 적용한 작업치료 Ⅲ에서 는 작업참여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 중재에 있어 치료 전에 지시따르기 훈련을 적용하거나 치료시 직접적인 강화물을 적용하는 것은 작업참 여도를 향상 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4,300원
        16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motiv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rts lesson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der the system of 2007 revised curriculum.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
        6,100원
        168.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ddresses barriers to participatory culture by examining the activities and concerns of twen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social media course. Analysis of self-reported activities related to four dimensions of participatory culture literacy as outlined by Jenkins et al. (2009) revealed that many do not fully engage in participatory culture. While the barriers identified included mention of access issues or a lack of knowledge, most of the concern was with affective issues, including privacy concerns and the perception that they have nothing useful to contribute (or that their contributions will not be welcomed). It is recommended that instructional activities focus on building affective competencies related to participatory culture.
        4,000원
        16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motiva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chool sports c lub and school life adjustment, and to establish the effect of a school sports club. This research can al so be helpful to determine what kind of school s
        6,100원
        170.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arner engagement” in higher educ ation is a challenging goal, even more so as we consider designing for, and supp orting, lifelong learners online. Learning organizations, from traditional to cybersystems, are tempted to look for universal plans and strategies that promise specific and guaranteed outcomes for students. While there are some universal strategies worth considering that support online learner engagement, we must also familiarize our selves with diverse sociocultural contexts of lifelong learning and about the effect of “engagement” as an explicit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s we work to further devel op online learner engagement, we must also consider the impact of interactions between and among instructional designers, subject matter experts, instructors, learners, the broader community, and the learning institution. These interactions in culturally -based, dynamic communities of learning and practice shift instructional design away from the purely predictable towards engaged learning. In this discussion paper, originally pre sented as a conference paper for the e-Lea rning Asia Conference 2009, we contrast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global) responses to lifelong learning in the online environment, share Canadian approaches to engag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and reflect upon key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engaged learning opport unities for online learners.
        6,000원
        171.
        200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캐나다 AECL이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법으로 심지층 처분 방식을 제시하였으나, Seaborn Panel은 이 방안에는 사회적 수용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캐나다는 사용후 핵연료 관리에 위해 보다 폭넓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공론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먼저 핵연료폐기물법 (Nuclear Fuel Waste Act, NFWA) 을 제정하였다. NFWA에 따라 Nuclear Waste Management Organization (NWMO) 가 설립되었다. 전문가들이 마련한 세 가지 관리 방법 가운데서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안전하며, 환경적으로 책임질 수 있고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한 사용후핵연료 장기적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NWMO의 임무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이 세가지 관리 방안 중 어느 것도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할 때는 제 4의 대안을 고려하는 예외 조항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NWMO는 위의 3가지 방안의 장점 및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제 4의 대안인 Adaptive Phased Management (APM; 융통성 있는 단계적 관리)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대안은 실행 단계에서라도 어떤 기술적 발전이나 변화가 생겼을 때 이를 받아들이도록 고안되었다. 캐나다의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과정은 연구 개발 프로그램이 사회적 수용성과 얼마나 깊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다시 말해, 비록 자세한 기술적인 연구 개발은 전문 과학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지만, 연구 개발의 객관적인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는 대중을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시키고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공정성, 공공의 건강과 안전, 안보, 적용성 등과 같은 원칙들을 확보하기 위하여 NWMO는 이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대중이 이해하도록 노력하였다. 가능한 많은 대중을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기 위하여 공론화 회의뿐 아니라 e-dialogue 등과 같이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을 둘러싸고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생각할 때, 캐나다 공론화 과정은 우리나라가 앞으로 적절한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을 찾는 데 많은 교훈과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숙의적 참여방법의 하나인 공론화 방안이 우리나라에서도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73.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anks to the fact that the 1953 Korea Armistice Agreement does not have any clear provisions on the sea demarcation line, the North Korea insists that the sea demarcation line in the Yellow Sea Area should not be the NLL designated by the Commander in Chief. UN Command, unilaterally, but the hypothetical extention of the Latitude Parallel from the end of the provincial boundary line between Whanghae-do and Kyongki-do In those unique situations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cease-fire line on the part of the western sea area, a logically indispensable element of the contents of an armistice agreement, however has formed and crystallized by the act of the UN Command designating the NLL. In implementing the South-North Korean Basic Relations Agreement, a fair and clear common consent on the sea demarcation line in the western sea area should be deliberated.
        4,800원
        174.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rigorously investigates the multi-faceted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the emerging retail landscape context and posits a suite of optimization strategies. The paper begins by delineating the current trajectory of the new retail industry, underscoring the pivotal role tha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lay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es of enterprises. The study then explores the salient impact of consumer interaction and brand sentiment on purchasing decisions. Consumers are transitioning from focusing solely on material gratification to a heightened emphasi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ulfillment, particularly in the information age. Hence, retail businesses should initiate diversified interaction strategies rooted in authentic consumer needs and efficacious brand anthropomorphism to bolster emotional engagement and allure a broader consumer base. Conclusively, the paper offers targeted strategies designed to invigorat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serving as a substantive guide for optimizing marketing and sales tactics in the novel retail milieu.
        175.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피트니스 지도자의 직무 열의를 높이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성장 욕구, 무형식 학습, 사회적 지 지 등 관련된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법: 연구 대상은 남, 여 피트니스 지도자 408명이었 으며, 이들에게 설문을 요청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 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적 합도 검증을 하였다. 결과: 첫째, 피트니스 지도자의 성장 욕구, 무형식 학습 및 사회적 지지는 직무 열의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장 욕구와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과 사회적 지지는 병렬 다중 매개효과 가 나타났다. 결론: 피트니스 지도자의 성장 욕구는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지도자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지 도에 대한 열정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성장 욕구가 높은 피트니스 지도자는 동료와 상사, 가족, 고객 의 지지와 같은 사회적 관계가 형성될 때 직무에 대한 열의도 높아지며, 무형식 학습에 참여하고자 노력하는 태 도도 직무 열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76.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코치의 직무열의에 삼분법적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가 그들의 코칭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코칭경력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운동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 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지속의도 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의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 그리고 관계추론 효능감 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 코칭만족 그리고 지속 의도 간의 영향력 있는 경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경력에 따라 형성된 경로의 변인에 대한 영향력 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치와 선수간의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치의 긍정적 심리 와 코칭의 지속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치의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와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효 능감이 직무열의에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77.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초등교사열의 척도가 국내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검토와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를 토대로 21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최종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첫째,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문항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추출된 모형의 적합도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척도의 준거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교사효능감, 교사-학생효능감과 초등교사열의의 요인들 간의 Pearson 적률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정서참여, 사회참여: 동료관계, 사회참여: 학생관계, 인지참여 등 4요인 16문항이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에 대한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준거척도와의 상관분석결과, 교사열의척도의 하위요인들은 초등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 정보기자재효능감과 행정업무효능감와 낮은 상관분포를 나타냈으나, 자기조절효능감,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효능감, 생활지도효능감, 교과지도효능감과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은 초등교사열의의 하위요인들과 높은 정적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한국판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변별적 및 수렴적 준거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초등교사열의 척도에 대한 학교현장과 교사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178.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technology and information are developing rapidly. It compels an organization or a company strive to excel in its field.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4.0 era, companies must maintain their assets and technology to face the competition. One asset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s human resources. Human resource has two important variables, namel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nd Employee Engagement (E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EE on Employee Performance (EP)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angerang. This study is conducted using a quantitative method with 200 respondents. The data is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respondents, which is then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AMOS 23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OCB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E and EP. This study also finds that employee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nd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EP.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that can be taken is th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angerang must pay attention to their employees for them to develop OCB and EE, and eventually increase their performance towards the organization.
        179.
        2020.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ocial engagement network in Sido Muncul’s CSR, the partnership program with farmers, and how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te social entrepreneurship in the program is carried out. The research design uses qualitative methods wit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at tes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using triangulation of data sources and methods, namely, data obtained through documentation and the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to more than one observation unit. Data was obtained from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ido Muncul’s Public Relations and CSR Division, as well as partner far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ocial engagement network in Sido Muncul’s partnership program is related to the role of farmer groups, farmer cooperatives, government, NGOs, universities, and private companies as facilitators and control functions, thus creating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orporate social entrepreneurship in Sido Muncul’s CSR for the partnership program with farmers consists of nine stages: problem identification, coordination with related parties, allocation of resources and commitments, collaboration with NGOs, local entrepreneurs and government, social innovation and the creation of new businesses, documentation of activities, report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as well as publications.
        180.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 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 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