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161.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에 대하여 연구하 였다.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44.25 mg/g, monomeric anthocyanin 함량은 2,394 mg/L로 나타났 다.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 radical 소거활성,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및 환원력은 농도 의존 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MTT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bromide} reduction assay를 이용하여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신경세포막 손상 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와 neutral red uptake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막 손상 보호효과를 조사한 결과 자색고구마 추출물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막 손상 보호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색고구마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4,000원
        16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착색단고추가 재배되고 있는 유리 온실과 플라스틱 필름 온실을 대상으로 내부 온 습도 변화 및 식물체 생육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재배 기간 동안 일평균 내부온도는 두 온실 간 차 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변화폭은 플라스틱필름 온실에서 심하였다. 그리고 온실 내 수분부족분은 유리 온실에서 4.3g·m-2, 플라스틱필름 온실에서 5.6g·m-2로 플라스틱 필름 온실에서 더 많았다. 외부 광 1w에 대한 내부 온도 변화는 유리온실보다 플라스틱필름 온실에서 2배 정도 빨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이러한 차이에는 일몰 전 후보다 일출 후 초기의 온도 차이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온실보다 유리 온실에서 잎의 생육 및 광합성산물 생산율이 더 높았고, 생산성도 80% 정도 더 높았다. 이로 보아 유리 온실 대비 플라스틱필름 온실의 생산성을 다소 높이기 위해서는 일출 직후에 내부 환경의 집중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6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mond Dasik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PSPP). Five different levels (0, 5, 10, 15, and 20%) of PSPP were added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asik were examined.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decreased as the level of PSPP increased (p<0.05). The Hunter L-value decreased while the a-value increased as the PSPP level increased. Textur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SPP in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ssessed in terms of estima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asik. The results showed that incorporating PSPP into the Dasik provided higher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Dasik (p<0.05). The results of a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the Dasik sample made with 15% PSPP was most preferred and the 20% sample was the least preferr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urple sweet potato powder can be incorporated into Dasik up to 15% without reducing its quality.
        4,000원
        16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logical-control-based-integrated-pest-management of major pests occurring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during summer season was tried. As many as 2.1 Orius laevigatus per ㎡ were released in two times on June 6 and 19, and the population of thrips was kept under control and accordingly the damage was negligible throughout the season. To control aphids, a total of 0.8 Aphidius colemani per ㎡ were released in four times, 0.2 of them at a time, flonicamid on May 14 and July 18 and pymetrozine on June 14 and September 4 were sprayed on the spots of high aphid occurrence to reduce the release of the wasp, and the density of aphids was kept under control. Whitefly was controlled successfully by releasing a total of 343.4 Amblyseius swirski per ㎡ in nine times, 38.1 of them at a time, from May 9 until November 12 and dinotefuran was sprayed on November 12 when the density of whitefly increased up to 200 per trap. Tetranichus kanzawai was controlled by both Phytoseiulus persimilis which was released a total of 44.4 per ㎡ in five times 8.9 of them at a time from May 23 to September 10, and the A. swirski which was released for the control of whitefly.
        4,000원
        16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uit dam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leased stink bugs and date of adult introduced on non-astringent persimmon. The fruit damage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number, date, and the source of feed for Riptortus clavatus. Damages on the fruits appeared when five bugs were released to mother branches bearing fruits. Damages to the fruits was heavy in the case that bugs were introduced in September and October, compared with in June, July and August. Persimmon fruit damag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available sources to R. clavatus, persimmon fruit alone or additional supply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and water. Characteristic damage symptoms by R. clavatus showed only scars on the fruit skin, without fruit dropping. Halyomorpha halys (=mist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uit damage when they were released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compared with other periods. Number of H. halys to the frui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uit damages. Five H. halys in July showed 100% damaged fruits. The fruit damage by Plautia stal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ates of introduction but the number of insects g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uit damage ratio at the level of 1, 3, 5 bugs introduced to the mother branche bearing friuts. The damage symptoms by P. stali was fruit dropping in July and August but from September damaged fruits were found in the branches.
        4,000원
        16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고랭지 여름재배에 적합한 착색단고추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소재의 농가에서 암면배지의 수경재배로 수행되었다. 파종과 이식은 각각 2월과 4월에 하였고 7월부터 11월까지 매주 수확하였다. 총 12품종을 공시하여 7품종을 선발하였는데, 품종 선발 조건으로는 수출 규격품과의 비율이 높고 장마 및 고온기에 착과가 안정적이어서 8~10월의 수량이 높은 품종이었다. 따라서 고랭지 여름재배용 적품종으로는 적색계는 'Special'과 'Cupra', 주황 색계는 'Boogie', 'President'와 'Fellini' 그리고 황색계는 'Fiesta'와 'Derby'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은 품종 간의 다양한 특성을 제공하여 금후 여름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기 위한 기본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며, 고랭지 여름재배 농가들의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을 조절하는 정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랭지 착색단고추 여름재배시 착과 증대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호박벌을 이용한 수정증대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호박벌에 의하여 처리기간 동안 착과수의 증가는 있었으나 재배기간의 총 수량에서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종자수는 무처리에 비해 호박벌 처리에서 7.3%가 증가되었으나 배꼽썩음과 발생은 높았다. 과중의 분포 비율이 호박벌 처리에 의하여 SS 사이즈는 감소하고 L 사이즈가 증가하여 수출 규격품율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고랭지 여름재배시 착과증진을 위한 호박벌 처리는 착과율을 높이고 과실의 종자수를 증가시켜 수출 규격품율을 높이는 등 고품질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배꼽썩음과 방지에 대한 검토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69.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Hemiptera: Aleyrodidae), is a serious pest of many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The insect has developed resistance to chemical insecticid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microbial agent such as entomopathogenic fungi, Lecanicillium lecanii is necessary. Spores of L. lecanii Btab01 was collected after cultivation on solid PDA and liquid RB (rice bran amended with 2% molasses) media. The bioassay was carried out with B. taabci nymphs for 7 days at 25℃ and 60% relative humidity. Further, mortality was corrected with appropriate controls. The results revealed that spores obtained from RB medium caused high mortality (98.31%) compared to PDA medium (93.94%). Spore concentrations 105, 106, 107, and 108 colony forming units (c. f. u) ml-1 caused 5.81, 33.80, 77.27, and 98.54% mortality, respectively. The mortality (100%) was observed for 4 days when L. lecanii spores was mixed with 0.1 - 0.3% soybean oil. Hence,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L. lecanii Btab01 cultivated on RB medium can be recommended to control the nymphs of B. tabaci. Spore suspension can be expected to high efficacy when soybean oil was blended.
        170.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bee-vectoring method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gainst greenhouse insect pests. In this study, we conducted experiments to determine if bumble bees, bombus terrestris L. could vector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from hives equipped with a pathogen dispenser to leaf and flower of sweet pepper. First, in laboratory, insecticidal activity of B. t. subsp. aizawai NT0423 WP (Tobagi, Dongbu Hitek Co.) against 2nd instar larva of Spodoptera litura Fabricius was evaluated to determine if the amount of B. thuringiensis deposited on the leaf and flower would be sufficient to control the tobacco cutworm. The B. t concentration of the product in this experiment was estimated as 2.8-3.1 x 109 CFU/ml. The B. t. concentration on the body of bumble bees that was captured as they exited hives with filled pathogen dispensers was 4.6 x 109 cfu/ml. At the laboratory bioassay, the mortality of tobacco cutworm was serially measured depending on the pathogen concentrations. At the cage trials, the B. t. delivered by bumble bees was detected in bees, flowers and leaves. Through the several trials, the control effect on the tobacco cutworm has been investigating. The side effect on bumble bee from the first trial was not found in this experiment.
        17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대일 수출중인 상업적인 유리온실과 플라스틱 온실에서 파프리카 'Derby'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국내 온실 간 생산량 차이 발생을 분석하여, 생산성 차이를 개선하고자 시설내부의 광량, 작물의 생장량 및 수량을 두 온실간 기간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평균 일중 광량은 유리온실 9.03MJ/m2/day, 플라스틱 온실 7.37MJ/m2/day로 23%정도 유리온실의 시설내부 광량이 많았다. 총 조사기간 동안 파프리카의 생장량은 유리온실 1759.9g·m-2, 플라스틱 온실 1308.5g·m-2으로 유리온실의 작물 생장량이 높았다. 총 건물생산량 대비 영양생장생식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시설내부 광량이 높은 유리온실에서 생식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높았고, 영양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낮았다. 두 온실의 파프리카 생산성은 유리온실 14.1kg·m-2, 플라스틱 온실 7.8kg·m-2으로 유리온실이 매우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온실 간 파프리카의 기간별 동적인 건물생산량과 건물 분배 패턴, 수량을 분석함으로써 파프리카의 수량을 예측하고 우리나라 파프리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분야의 기초 자료와 농가 간 생산성 차이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생산성 극복 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72.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피복재 종류에 따른 생산성 차이에 주요 환경요인의 영향 정도를 분석을 위해 유리온실과 플라스틱필름온실의 환경요인 누적데이터를 수집하여 수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리온실은 외부광량과 수량 간 정의상관을 나타내었고, 100MJ·m-2 당 300~500g·m-2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산온도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수량 예측 모델 개발에 있어서는 적산온도가 외부광량보다 가능성을 높게 나타내었다. 최대 순광합성은 유리온실에서 16.83μmol·m-2·s-1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14.93μmol·m-2·s-1보다 13% 정도 높았다. 단위 광량당 생산성은 유리온실에서 플라스틱필름온실보다 46%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위 기간당 생산성도 유리온실에서 플라스틱필름온실에서 보다 47%높게 나타났다. 수량에 대한 광, 온도, CO2에 의한 분석 결과 상대수량계수, 수량증가계수, 수량감소계수 및 최대수량계수는 유리온실에서 플라스틱필름온실보다 각각 25%, 73%, 34% 및 49%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리온실에서 파프리카 재배 시 플라스틱필름온실에 비해 생산성은 높으나, 환경요인의 급격한 변화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의 상업적인 온실에서 파프리카의 전체 재배기간 동안 시설 내 외부 기상환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간 생산량 차이 원인 분석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파프리카의 시설내부 재배환경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온실 모두 'Derby'를 공시하여 우리나라는 3.75주/m2(2 stems), 네덜란드는 2.5주/m2(3 stems), 1.875주/m2(4 stems)로 암면에 수경재배 하였다. 두 온실모두 재식주수는 상이하였지만, 줄기밀도는 7.5m2/stems로 같았다. 양국의 파프리카 주별 생장량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전체 마디 대비 수확마디는 네덜란드가 우리나라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전체 재배기간 동안 일중 평균 광량은 우리나라 14.5MJ/m2/day, 네덜란드 12.1MJ/m2/day로 우리나라가 19.8% 높았다.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는 우리나라 21.6℃, 네덜란드 21.2℃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우리나라의 시설내부 온도관리가 변화폭이 심하였다. 전체 작기의 시설내부 수분부족분(HD)은 우리나라 4.5g/m3, 네덜란드 3.5g/m3로 우리나라의 시설내부가 더 건조하게 관리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야간의 수분부족분은 매우 변화폭이 컸다. 주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가 반대의 경향으로 관리되었고 이는 네덜란드의 겨울철 난방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시설내부로 시용한 결과에 기인한다. 일중 외부 광량 대비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와 주간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는 매우 불균일하게 관리되었지만 네덜란드의 경우 균일하게 관리되었다. 네덜란드의 시설 내.외부 환경은 우리나라에 비해 균일하게 관리되었고, 우리나라의 불균일한 시설내부 환경은 작물의 불균일한 생육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7.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ception of sweet compounds is important for animals to detect external carbohydrate source of calories and plays a crucial role in feeding behavior of animals. Recent progress in molecular genetic studies provides evidence for a candidate receptor (heterodimers with taste receptor type 1 member 2 and 3: T1R2/T1R3), and major downstream transduction molecules required for sweet taste signaling. Several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sweet taste signal can be modulated by a satiety hormone, leptin, through its receptors expressed in a subset of sweet-sensitive taste cells. Increase of internal energy storage in the adipose tissue leads to increase in the plasma leptin level which can reduce activities of sweet-sensitive cells. In human, thus, diurnal variation of plasma leptin level parallels variation of taste recognition thresholds for sweet compounds. This leptin modulation of sweet taste sensitivity may influence individuals' preference, ingestive behavior, and absorption of nutrients, thereby plays important roles in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3,000원
        17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ge experiments by artificial infestation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ie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re conducted to analyze damages and develop control thresholds of F. occidentalis on greenhouse eggplant in 2005 and on greenhouse sweet pepper in 2007. In the eggplant experiment, the infestations of F. occidentalis resulted in direct damage on fruit surface and non-marketable fruits which had several thin or thick lines or bleaching patches on the surface. F. occidentalis adults were frequently found on the flowers of eggplants, while nymphs were mainly observed on leaves. The fruit yield of eggpla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plot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y of F. occidentalis. Relationship between % non-marketable fruits among harvested fruits of eggplant and sticky trap catches of F. occidentalis (no. thrips/trap/week) at two weeks before the harve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Using the estimated relationship, the control threshold of F. occidentalis on greenhouse eggplant was estimated at 10 adults per week at two weeks before the harvest when 5% of non-marketable fruit was applied for the gain threshold. In the experiment of sweet pepper, the direct damage by F. occidentalis was observed on the fruit surface and calyx, and the marketable grade of the damaged fruits decreased. The significant yield loss of marketable fruits was found in plots with high initial introduced-densities. There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thrips density and percentage of damaged fruits. Assuming 5% yield loss (non-marketable fruit) for the gain threshold, the control threshold of F. occidentalis on greenhouse sweet pepper was 4.8 adults per trap and 0.9 individuals per flower at two weeks before harvest.
        4,000원
        17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f the performance for Sweet potato Harvester using Power-tiller. There was highly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using by Sweet potato Harvester of Power-tiller. A diesel engine with four cycle with single cylinder, water cooling and rated output 8.1 kW/2200 rpm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factors for performance test, engine speed ranged from 1000 rpm to 2400 rpm, and BSFC, efficiency, traction power, and vibr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engine output were increased from 4.4 kW to 5.74 kW at 1800 rpm and increased to 8.83 kW at 2400 rpm The specific fuel consumption was decreased to 320 g/kW.h at engine speed 2200 rpm and the traction power were showed 420~440 kgf.
        4,000원
        18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수출 작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파프리카의 두 품종을 성숙 정도와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Special'과 'Fiesta' 두 품종을 수경재배하여 미숙과와 완숙과 상태로 수확한 후 무공 필름과 유공 필름으로 포장하여 4℃와 9℃에 저장하였다. 가장 긴 저장 수명을 보인 저장 조건을 4℃에 포장 내 5%의 이산화탄소와 10%의 산소 농도를 보인 무공처리였다. 무공 처리의 경우 저장온도, 품종, 숙기정도에 관계없이 3~9μl/l 에틸렌 농도를 보였으나 경도와 생체중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유공처리와 비교해서 부패율에도 차이가 크지 않았다. 50% 착색된 반숙과의 과피색은 9℃와 무공 필름 처리에서 많이 착색되었으나, 완숙과 수준까지 진전되지는 못하였다. 4℃에서 20일간 저장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정치한 완숙 'Special'의 저온장해 정도를 전해질 용출량과 호흡 속도로 비교한 결과, 무공필름 포장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파프리카의 장기 유통 및 저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무공 필름 포장과 저온장해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저장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