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outh Korea, the history of the qualifications has been matured with industry development. Sinc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was enacted in 1973, the government makes an effort to develop the ability for improving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contribution of qualifications to industry. As the industry has been diversified and globalized, the government has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operating the qualification by enacting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in 1997. And then, the qualifications are classified into national qualifications, private qualifications, and foreign qualifications. However, it is hard for national qualifications to abolish or establish a qualification by each organization and the privileged license acquisitors as the qualifications are separately operated by the laws and the organizations and lack consistency. For private qualifications, it is harder to organize even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the entry barriers by each qualification association. For tho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system adapted in the changing job market and operated by the organization managing the qualification system with consistency. This research indicates the inefficienc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because the work-study parallelism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enacted in 2020, is like the qualification system in business in terms of the general operating system and the operator, except the institute and the law related. Therefore, we analyze the work-study parallelism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in business and suggest the efficient method to operate and the future research plan regarding the whole qualification system.
        5,1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계몽편의 내용 중 자연 현상의 음양론과 천지인 삼원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현대에 알맞은 교 수법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교육대상으로 음 양오행과 천지인 삼원의 체계적인 수업 설계를 구성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제 시하여 교사에게는 교수법을, 학생들에게는 노래와 그림을 통해 음양오행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 학습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교안과 노래 악보, 율동 설명, 유튜브(YouTube) QR코드와 URL, 그림자료로 시각적, 청각적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음양오행과 천지 인 삼원의 이론적 설명과 학교 교육에서 음양오행과 천지인 삼원을 쉽게 지 도하기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모형을 초등학교 교수법에 맞추어 질적인 교 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마다 활용할 수 있는 노래악보와 율동설명이 있으며, 음원과 율동이 유튜브에 업로드 되어 URL을 클릭하거나 QR코드를 핸드폰으로 찍으면 바로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각 주제에 맞는 그 림들은 지도하는 교사와 수업을 받는 학생들 모두에게 교육적 가치가 있다 고 본다. 음양오행 관련 가사를 만들고, 노래 반주에 맞추어 8곡의 음반을 제작하였 다. 8곡 중 5곡은 율동 동영상을 촬영하여 초등학생들이 신체 활동을 통해 학 습 주제를 몸으로 익힐 수 있도록 유튜브(YouTube)에 업로드 하였으며, 나머 지 3곡은 그림을 보며 노래하도록 유튜브(YouTube)에 업로드 하였다. 유튜브 (YouTube) QR코드와 URL을 논문에 넣었으며, 유튜브 URL은 클릭하면 바로 연 결되고, QR코드는 핸드폰을 사용하여 QR코드스캔으로 사진 찍으면 웹브라우 저로 바로 연결이 되어 터치만 하면 유튜브(YouTube)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 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양적 철학에 내재 되어 있는 역사나 사상, 철학적인 내용 들이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학습자의 습득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전통문화와 의 연계적인 교육 체계가 운영될 수 있기를 바란다.
        11,300원
        4.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그러한 장애 요인을 해소 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 하고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수업을 계획하였다. 이 수업은 개별 한자의 모양·음· 뜻과 필순에 대한 지식 암기가 아니라, 한자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겪은 학습 장애 요인을 조사하였다. 응답 내용은 ‘집중’, ‘기술’, ‘학습’, ‘소통’, ‘피로’, ‘흥미’, ‘기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 장애 요인에 대한 개선 방안은 수업의 내적 요인과 수업의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수업의 내적 요인으로는 ‘학습, 흥미’의 문제, 수업의 외적 요인은 ‘집중, 기술, 소통, 피로’의 문제이다. 학습 부담이나 학습 부진에 관한 문제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실시, 학습량 적정화 등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흥미는 대면 수업에서 친구들 과 함께 수업 듣는 분위기 조성 등으로 개선 방안을 찾는다. 집중은 활동 중심의 실시간 원격수업, 기술은 학습 플랫폼 오류에 대비한 대체 수단 마련, 소통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피드백 강화, 피로는 일과 시간의 변경 등을 통해 개선 방안을 찾는다. 이러한 응답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는 활동 중심 한문 수업, 수업 시간 동안 해결 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량의 과제 제시를 통해 학습 부담 감소, 교사와 소통할 수 있는 채널 확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요소를 가미한 수업 방안을 강구하였다. 기술적인 문제나 피로는 개별 교과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수업 구성의 고려 사항에서 제외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학년 초에 실시한 수업이기 때문에 한자 영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은 ‘학습지 제공 → 신습 한자 선택 → 인터넷 사전 검색 → 필순에 따라 한자 쓰기 → 한자를 선택한 이유 쓰기’ 순서로 진행하였다. 처음 한자를 써보는 학생들이 다수였지만, 대부분 정해진 시간 안에 한자의 모양을 정확하게 작성하 였다. 일부 학생은 정해진 수업 시간 동안 학습지를 완성하지 못하였다. 원격수업에서 수업 환경은 교실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학교 수업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수업 방법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6,700원
        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은 이제껏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파급력으로 우리 삶 전반에 걸친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이 변혁의 물결을 잘 헤쳐나갈 수 있는 지혜와 통찰력이 더는 전통적인 교육 환경에서만 키워질 수 없다.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교육방식의 도입과 확산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교육방식의 변화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하게 이뤄졌다는 진단에서 출발한다. 디지털 혁신과 인터넷 기반의 확대로 인해 누구나 온라인을 통해 선진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21세기에 필수적인 협업, 소통, 비판적 사고, 창의력 등의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21세기의 핵심적인 역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강조될 것이며 이것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서 학습자 중심 원격교육의 효과적 운영과 학습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필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의 시대적 요구를 도출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배양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필수 요건임을 주장하며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고등교육을 활성화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적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디지털 기술 혁신이 가져온 문명의 이기를 교육에 접목하는 것은 선택사 항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이러한 교육 혁명은 첨단 기술의 융복합에 힘입어 새로운 가치들을 무한히 창출할 것이며 인류문명의 도약을 위한 기름진 토양을 제공할 것이다.
        6,700원
        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초·중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코퍼스 개발을 통해 난이도 별로 예문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중급 교재코퍼스 개발은 학습자들이 배우고자 하는 어휘나 문법 규칙에 다양한 방식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예문을 수집하고 학습의 주체가 되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에 본고는 회화, 문법, 작문 등의 연계교육에 교재 코퍼스가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 다양한 형태의 수 업 방안을 제언한다.
        5,800원
        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ndem learning is a learning model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language partners, it is possible not only to learn independently and improve the level of target language, but also to conduct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 foreign cultures.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wo types of Tandem learning methods: Tandem learning through classroom management;The other is the out-of-class language partner learning activities organized by learners in both countries.This research is the second type of Tandem learning, in which teachers help to make connections between Chinese students in the accounting department and Korean students in the Chinese language department, and combine idioms to make mutual learning outside the normal classroom learning.Due to the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and constraints, as well as the low level of target language of both partners, some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tivities.How to solve these problems so that the language partner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effectively, this study explored several solutions,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olutions through the end-of-term questionnaire survey.It is hoped that such a shallow stud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more teachers and researchers to explore the out-of-class Tandem learning model so that more foreign language learners can benefit from Tandem learning.
        4,900원
        9.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계 어휘 습득을 교육내용으로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학습용 어휘와 한자를 다양한 언어자료(코퍼스)를 활용하여 추출하여 선정한 후, 이를 다시 학습 단계별로 위계화하려는 목표 아래 진행된 두 번째 연구성과물이다. 첫 번째 연구에서 기존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현재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는 한문고전적 독해는 물론, 한자계 어휘 습득의 목표에도 부적절하다는 점을 실례를 통하여 확인할수 있었다. 후속 연구인 본 단계에서는 한자계 어휘 습득을 위한 한자어와 한자를 선정하는 이론과 실제를 제시하고, 다양한 코퍼스 자료를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의 연구에서는 한문고전을 독해 학습에 필요한 한자를 선정하고, 마지막으로 한자의 학습층위별 위계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표 아래 진행된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한자계 어휘 습득’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현실 언어 생활에 사용되는 한자어와 이를 구성하는 한자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코퍼스를 이용하였다. 관련 통계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계 제작하였으며, 한국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자료에서 높은 빈도를 가진 어휘와 한자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한자어는 모두 3732개(사용된 한자 1794개), 개별 한자는 2600개이다. 이는 순수하게 한국어 언어 생활에 활용되는 한자어와 한자를 추출한 것이므로, 기존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와는 그 대상이나 목적이 다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한자와 어휘 선정은 교육의 대상과 그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추출 및 선정 어휘와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연구 방법에 있어 코퍼스의 특성과 언어의 특성 등을 모두 고려한 별도의 오픈소스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대상 자료는 사회적 합의를 기초로 객관적이며 대표적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 결과물과 같은 소논문 형태로는 그 연구의 합리성을 대표하기 어려우므로 관련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별도의 연구 프로젝트 플랫폼을 구성하고 공동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한 개인의 연구가 아닌 집단 연구의 결과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저작권을 지닌 공개자료로 제공되어야 한다.
        6,400원
        1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8년에 개장될 대구광역시 달성습지 생태학습관의 가치적 이용 및 경쟁력 있는 운영을 위해 달성습지 생태학습관의 특성에 맞는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운영방법, 자원봉사자, 예산 및 수익 등 22개의 설문항목을 이용해 전국 77개 생태학습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50개 생태학습기 관(Type A)에서 응답을 하였으며, 그 중 달성습지 생태학습관과 비슷한 규모의 12개 생태학습기관(Type B)을 추출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결과로 달성습지 생태학습관은 대구광역시에서 직접 운영을 하는 것이 적합하며, 최소 3-5명의 운영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는 25-30명 내외의 인원이 필요 하다. 인건비를 제외한 연간 운영 예산을 분석한 결과 대구광역시에 의해 직접운영 될 경우, 1억 5천만원 이상 2억원 미만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생태학습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달성습지 생태학습관에 대해 객관적이며 상세한 운영방안을 수립할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4,000원
        1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은 구성주의 철학을 뒷받침하고 있으므로 그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교육의 실현에 한 발 가까워 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Vygotsky의 비계 설정 이론을 고등학교 경제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한 후, 비계설정의 효과 및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효과적 비계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농촌 소재 인문계 K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동료 비계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 후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결과, 효능감과 만족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수-학습 과정에서 효과적 동료비계 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은 학습자의 학습습관(개별학습 선호 또는 동료학습 선호 여부), 학업 성취도에 따른 비계 설정 방법 차별화를 통한 멘토의 효능감과 멘티의 만족감 극대화이다.
        5,300원
        1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중국어-한국어 탄뎀수업에서 학습자주도 평가 방법으로 동료평가 를 도입하여 이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동료 평가와 교사평가와의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 대학의 2학년 중국 어-한국어 탄뎀수업 수강자 224명으로 학생들은 동료평가와 교사평가를 실시한 실험반과 교 사평가를 실시한 통제반으로 나누어 한 학기 동안의 탄뎀 학습과 3차례의 평가 활동을 하였 다. 그 결과 첫째, 실험반, 통제반 모두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보였다. 둘째, 학습 태도 변화에서는 실험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와 교사평가 사이의 일치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동료평가방법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자 탄뎀수업에서 충분히 활용가능성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학습 효과도 긍정적 임을 증명한다.
        4,800원
        1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습조직의 이론은 1940년대의 비형식학습과 조직발전에 대한 이론에서 유래한 이후 많은 진전이 있었다. 특히 1990년대부터는 조직학습을 돕기 위한 다양한 실용적 처방들이 제시되면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학습조직 이론은 정부를 비롯한 공공조직에도 다양한 형식으로 도입되었고 행정학에서도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있다. 공공조직이 학습 조직화되면 공직자들이 조직 내에서 자신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발한 대화와 토론 그리고 외부환경과의 연계를 통하여 공공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학습사회로 대변되는 오늘날의 개인과 조직들은 세계화, 지식경제, 기술혁신 등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학습사회의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서 개인과 조직은 지식과 학습능력이라는 전략적 자산을 조직 전체에 확산시키기 위하여 조직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창출과 공유 그리고 지속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조직문화와 학습조직 구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행정에서 학습조직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습조직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교정환경의 변화와 경찰조직에서는 학습조직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현황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교정행정에서 학습조직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5,700원
        1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지역은 과밀개발과 녹지감소로 인해 생태적 기능 쇠 퇴, 생물다양성 감소 등의 위협에 처해있으며, 이러한 녹지감 소를 해결하기 위해 근린공원 도시공원 등 다양한 공원을 조성, 계획, 복원하고 있다. 또한, 도시민에게 자연생태계에 서 감상 할 수 있는 생물을 도시공원에서 관찰 할 수 있도록 잠자리 연못, 생태습지, 돌무덤 등의 생물서식처를 조성하고 있다. 나비는 인간에게 있어 아름다움, 신비로움, 신기함 등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관찰, 체험 등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함평, 남해, 양평, 서울숲 등에 체험관이 설치되어 인기 를 얻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실내 공간에서 사육되는 나비 를 관찰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정원, 인간, 생물 등이 조화 로운 환경과는 다소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과밀화와 녹지감소로 인한 문제와 생물서식 공간 창출, 및 체험교육 장소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나비정원 조성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비정원 조성을 위해 도입 가능한 목표 나비 종을 선정 하고, 선정된 나비가 서식, 생활 할 수 있는 식재식물을 알아 보았다. 목표 나비 종은 정원조성 초기에 인위적으로 도입 가능하고 교란 및 시행착오 시 재방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사육되는 종을 선정하였고 기주식물과 흡밀식물은 해당 종 에 대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식물 분류학적 구분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4과 16속 21종의 정원 도입 나비를 분류하였으며, 선정된 21종은 호랑나비과(Papilionidae)에서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사향제비나비(Atrophaneura alcinous), 호랑나비(Papilio xuthus), 산호랑나비(Papilio machaon), 남방제비나비(Papilio protenor), 긴꼬리제비나비(Papilio macilentus), 제비나비(Papilio bianor) 등 7종, 흰나비과(Pieridae) 에서 배추흰나비(Pieris rapae Linnaeus),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 노랑나비(Colias erate) 등 3종, 부전나비과(Lycaenidae) 에서 암고운부전나비(Thecla betulae), 남방부전나비(Pseudozizeeria maha), 푸른부전나비(Celastrina argiolus) 등 3종, 네발나비과 (Nymphalidae)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작은 은점선표범나비(Clossiana perryi) , 먹그림나비(Dichorragia nesimachus), 홍점알락나비(Hestina assimilis), 왕오색나비(Sasakia charonda), 작은멋쟁이나비(Vanessa cardui), 멋쟁이나비(Vanessa indica), 네발나비(Polygonia c-aureum) 등 8종이 분류되었다. 이 종들은 환경변화 민감하므로 생활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 가 추가적으로 이루어 져야 함을 언급하였다. 선정 된 21종의 나비에 대한 문헌고찰 결과 총 22과 77속 113종 10변종 1품종으로 총 125종의 식물을 목록화 하고 그 중 98종이 국내 서식 종임을 확인하였다. 과별 분포는 십자화과(Cruciferae)가 가장 많고 콩과(Leguminosae), 운 향과(Rutaceae),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산형과 (Umbelliferae) 등이 주요 종을 이루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국내 미확인 종 17종 또한 비슷한 양상 이었으며, 국내에서 서식이 확인 된 종인 고추냉이(Wasabia koreana), 갓(Brassica juncea), 유채(Brassica napus), 배추(Brassica rapa var. glabra), 클레마티티스쥐방울덩굴(Aristolochia clematitis), 데빌리 스쥐방울덩굴(Aristolochia debilis), 캠페리쥐방울덩굴(Aristolochia kaempferi), 리토랄리스쥐방울덩굴(Aristolochia littoralis), 마 크로필라쥐방울덩굴(Aristolochia macrophylla), 셈페르비렌스 쥐방울덩굴(Aristolochia sempervirens) 자두나무(Prunus salicina), 겨자(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꽃케일(Crambe cordifolia) 등을 사용하여 정원 조성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 하였다. 다만, 귀화식물 및 우점(Pest)에 대한 확인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에서 분석한 125종의 식물 중 귀화식물이 5과 13종으로 가급적 정원조성에 사용하지 않 는 것을 제시하고, 국내에서 재배 중인 국화종류 및 나도냉 이(Barbarea orthoceras), 봄나도냉이(Barbarea verna), 유 채(Brassica napus) 등으로 대체를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분석을 통해 나비정원 조성에 도입 및 식재 가능한 종 22과 59속 74종 10변종 1품종을 도출하여 총 85종류를 제시하고 자생, 재배 및 초본, 목본을 구분하여 향후 계획 및 시공에 있어 효율적으로 조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나비정원 실증 시험 자료로 활용하고 지속적 인 연구를 통해 국가 생물다양성, 나비 보전 및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증진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생태교육 장소로서 나비정 원 조성과 교육자료 제작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과가 도구교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한문 문법 교육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한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문 문법 학습 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한문 문법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문 문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한문 독해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어순이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자 교육의 강화, 한문 독해에 활용 가능한 의미 중심의 한자 뜻 제시, 언어 학습 경험의 활용, 한문 학습에서 오류 분석의 활성화, 문법 설명 방식의 구체화와 수업 사례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7,800원
        1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여성인 어머니를 통해서 필리핀 문화에 접촉이 되지만 그것은 매우 제한된 영역에 국한된 다. 특히 동화를 추구하는 가정 분위기 속에서 어머니의 문화와 언어를 학습하기는 매우 힘든 상황이다. 아버지를 비롯한 부계 친척들은 그들 이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학습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어머니의 빠른 동화만을 바라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한국문화와 언어에만 익숙한 아이로 성장하는 것보다 한국과 필리핀 양쪽 문화와 언어 모두에 익숙한 아이로 성장하는 것이 건강한 자아 정체성 확립 및 자존감 향상은 물론 향후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은 먼저 다문화 과정을 경험한 나라들 에서 이구동성으로 검증된 바이다. 문제는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경우, 필리핀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많은 경우 한국과 필리핀과의 비공식적인 교류를 통하여 형성된 이중문화 역량마 저 관심 부족과 지속적인 개발 여건이 주어지지 못함으로써 사장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연구자는 필리핀 현지체험 학습을 통해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노출시키고 친척을 중심으로 형성된 기존의 초국가적 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기와 기회를 제공할 때 그들에게 주어진 이중문화 환경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일차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참여하는 현지체험학 습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그것은 기존에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국가적 사회영역을 통한 교류 활동을 보다 공식화하 고 체계화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들로 하여금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와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어머니 나라 문화와 언어 학습에 새로운 동기를 갖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현지체험학 습 프로그램을 끝마친 후에 사후 통합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가정 내에서 어머니나 어머니 쪽 친척들과 대화할 때 따갈로그어 로 소통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에서 인터넷을 통해서 필리핀 드라마를 시청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프로그램에 참여하 기 이전에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전적으로 한국 사람이라고 표명했 지만,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둘 다’라는 표현을 통해서 한국 사람이면 서 동시에 필리핀 사람도 된다는 점을 자각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그들이 이처럼 변화하는 모습은 어머니를 비롯한 외가 쪽 친척들로 부터 매우 고무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들에게 새로운 기대감을 갖게 해주고 있다. 프로그램과 그 이후의 통합 학습을 진행하면서 확인된 바는, 다문 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할뿐더러 필리핀의 언어와 문화에 익숙해지는 것이 장래 자신들의 진로를 개척하는 데 어떠한 유익을 갖는지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어머니와 외가 쪽 친척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온 몸으로 체감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7,800원
        1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스키마를 계발하고 글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텍스트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정립하는 일의 중요성은 매우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연구의 일환으로 ‘어떤 텍스트들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어 쓰기 교육의 올바른 텍스트 선정 상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를 선정하거나 제작할 때 어떤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는 쓰기 자료로서 텍스트가 갖는 중요성을 환기시킴은 물론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계발하는 데 필요한 ‘교육용 텍스트’ 개발에 참고가 될 것이다.
        9,500원
        18.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詩는 한문 문학 중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 불린다. 따라서 학생들이 한시를 배울 때, 시의 내용 뿐 아니라 시의 아름다움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직접 한시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감상하는 실제적인 활동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이 직접 한시를 감상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한시 감상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단원의 도입부에 ‘감상을 위한 준비’ 단계를 통해 감상 태도를 정립하고 한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쌓는다. 개별 작품에 들어가서는 ‘도입’에서 동기 부여 및 시에 대한 배경 지식을 익히고, ‘漢詩 해석과 암송’ 단계에서 3차에 걸친 시 번역 및 해석과정을 거쳐 시에 대한 이해를 더한다. ‘육색사고모기법을 통한 漢詩 감상’단계에서는 본격적인 시 감상이 이루어진다. 시 속의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느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 전체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와 감상을 한다. ‘정리’ 단계에서는 앞서 이루어진 漢詩 감상 경험을 바탕으로 감상문을 쓴다.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시 텍스트 자체를 충분히 살펴보고 감상할 기회를 갖게 된다. 지속적인 토론과 발표 과정을 통해, 한시에 나타난 내용․시상의 전개방식․형식과 표현미 등 한시의 다양한 측변을 감상할 수 있는 안목을 지니게 되며, 자기의 감상으로 정리할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한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경험을 얻게 된다.
        10,800원
        19.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지도경연대회들을 탐구하여 지도그리기의 지도학습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지리교육에서 지도그리기의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어린이 지도경연대회들과 국제지도학회의 바버라 페추닉 지도경연대회의 취지와 운영 방식 뿐만 아니라, 수상작품들을 비교했다. 한국의 지도경연대회는 짧은 역사속에서도 주제가 마을을 그리는 그림지도에서 ‘세계속의 대한민국’을 창의적이고 예술적으로 표현한 지도로 변화했다. 이는 지도의 원리와 기호 사용의 이해를 넘어 지도의 상징성과 예술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지도학습이 변화된 것이다. 일본의 지도경연대회가 환경지도 그리기 활동을 지리 탐구와 병행하는 점과 바버라 페추닉 지도경연대회가 주제별로 작품을 모집하고 이의 교육적 활용을 중시하는 점은 향후 한국의 지도경연대회의 운영 방향과 지도학습에서 지도그리기의 활용 방안을 수립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4,6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