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38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농어촌지역은 소득원의 다각화와 도시민의 관광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농어촌민박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사업은 사업자의 개인적인 소득증대와 더불어 인구 유입, 지역사회 지탱,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방면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최근 10 년간 농어촌민박 수가 약 37.4% 증가한 것은 소득증대 및 지역활성화의 효과를 실증하는 결과이다. 그럼에도 농어촌민박과 관련한 규 제 완화 등은 산업의 양적 팽창을 초래함과 동시에 과잉 경쟁, 초기 정착의 어려움, 품질 저하와 같은 구조적 불안정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농어촌민박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과 관리 강화 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나,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 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어촌민박의 생존현황과 생존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지속가능성을 제 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 등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머신러닝기법을 적용하여 전국 농어촌민박의 지속성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어촌민박의 생존에는 업체특성 중 주택면적, 소 재지 면적, 객실 수와 건물특성인 소화기, 비상경보시설, 그리고 지역특성 중 동종업체 수, 의료기반시설, 도농 교류프로그램 및 인프 라, 교통인프라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농어촌민박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4,000원
        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교도작업 보수에 대한 위헌결정과 그 시사 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 바이에른주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수감자 두 명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에 헌법소원을 제기하였고,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교도작업에 대한 보수가 법정 최 저임금보다 현저히 낮게 책정된 것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결정하였다. 독일 연방헌법 재판소는 수감자의 재사회화가 헌법적 요구사항임을 강조하며, 입법자는 이러한 헌법 적 요청에 따라 최신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포괄적이고 효과적이며 일관성 있는 재 사회화 개념을 개발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교도작업에 대한 보수수준은 재사회화 목표를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산정되어야 함을 명확히 하였다. 적절 한 보수는 수감자에게 책임감을 고취하고, 피해자에 대한 보상은 물론, 수감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한국에서도 교도작업에 대한 대가로 작업 장려금을 지급하는데, 일반 최저임금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것이 현실이다. 독일의 사례와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유엔 피구 금자 처우에 관한 최저기준규칙(넬슨 만델라 규칙)」을 보면, 교도작업에 대한 보수규 정이 재사회화 요청에 맞춰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작업 장려금 제 도 역시 재사회화 원칙에 부합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도 전문가로 구성 된 위원회를 조직하여 교도작업에 대한 보상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것이다.
        6,100원
        3.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ting time of households with multiple commuters in Chungnam Province. In particular, we examined how the commuting time varies between commuters depending on their wage gaps. A regression equation,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difference in commuting time, was used. The key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wage gap for households with two commuters. Further estimations were performed on samples restricted to dual-income couples with additional variables such as the wife’s household work burden,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number of caregivers fo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using the Chungnam Social Survey, the larger the wage gap between two commuters in a household, the longer the commuting time for high-wage commuters than for low-wage commuters. This contradicts the argument that a higher opportunity cost of commuting for higher wages should reduce the commuting time. In the analysis of dual-income couples, the wife’s commuting time wa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husband’s because of the burden of housework; however, the influence of childcare was not observed. As households with multiple commuters or dual-income couples become increasingly common, and the structure of cities changes from monocentric to multicentric, deciding where to live has become more complicated. Long-time and long-distance commuting can lead to wasteful commuting, and this needs to be considered as a social cost owing to the possibility of traffic congestion beyond the loss for the individual concerned. Therefore, the government’s urban policies, including housing and transportation policies, must be improved.
        4,000원
        4.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volving global food industry,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have become essential for seafood export companies to ensure product safety, quality, and sustainability, as well as to meet consumer demands and regulatory standards. This study analyzes the decision-making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among Korean seafood export companie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earch surveyed 134 seafood export companies, focusing on six key factors: corporate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factors, input factors, organizational structure, company capabilities,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e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corporate characteristics, the size of sales revenue, number of employees, and proportion of exports were found to play significant roles. For environmental factors, specific demands from overseas buyers, shifting consumer preferences, and compliance with global standards were identified as having a major impact. Regarding input factors, certification costs, validity periods, and investments in processing facilities were revealed to be critical variables.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managerial support and dedicated personnel, capability factors like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processing system capac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cluding partnerships with certification and export support agencies were also critical in the certification process.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acquiring and maintaining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among Korean seafood export companies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detailed variables for the first time. Additionally, it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implications to promote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as part of efforts to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eafood. Furtherm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in seafood export companies.
        5,400원
        6.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 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경 상북도 내 중학교 5개교에 재학 중인 1,7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 사회정서역량 등을 주 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은 SPSS 28.0과 Stata 16.0을 활용하 여 이루어졌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의사결정나무모형, 로지스틱 회 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사회정서역 량 중 자기인식(자기개념)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 었으며, 부모양육태도 중 따뜻함과 자율지지, 친구관계, 그리고 자기관리 (목표관리)와 (정서조절)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로지스 틱 회귀분석에서는 부모양육태도(따뜻함(OR=1.700), 자율지지(OR=1.549)), 교사와의 관계(OR=1.508), 친구관계(OR=1.893),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인 식(자기개념)(OR=1.646)과 자기관리(정서조절(OR=1.365), 목표관리(OR=1.279)) 가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삶의 만 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및 사회 정서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교육적·정책적 개입 방안 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포함한 종단적 연 구를 통해 보다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8,100원
        7.
        202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to provide a systematic and sustainable strategic direction for road transportation ODA projects in Mozambique to help solve economic bottlenecks and contribute to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t a time when the country is recovering from the economic shock and cessation of international aid caused by the past "Tuna Bond Scandal" and showing strong commitment to improving the road transportation sector led by the government. Through this, we ai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s ODA projects and contribute to building a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model between Mozambique and Korea. Key indicators were establish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an AHP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local road transport officials. The results were utilized to calculate the weights for each indicator and derive the project priorities. The study identified "sustainability" as the most critical factor among the social necessity indicator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long-term stability in road transport infrastructure. In the economic necessity category, "cost-effectiveness" emerged as a key priority, emphasizing resource optimization for maximum impact. Within policy necessity, alignment with government development goals was deemed essential for project success. Prioritization of road transport ODA projects based on sustainability, cost-effectiveness, and alignment with government policies is concluded to significantly enhance their impact. By addressing the immediate and long-term needs of Mozambique's transport infrastructure, the proposed strategy ensures resource efficiency and socioeconomic benefits. This approach not only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ODA initiatives but also fosters stronger partnership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Ultimately,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sustainable ODA strategies for Mozambique.
        4,200원
        9.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target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e., a bus-type rural transportation model, that has recently been activated to target public transportation-vulnerable areas in urban-rural integrated citi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ravel time and service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with the transportation mode. An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a field survey of 449 passengers regarding their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n rural areas across the country. As access and travel times increased, bus user satisfaction decreased. Particularly, access time was approximately 1.6 times more important than travel time. Meanwhile, satisfaction with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was found to increase as drivers were kind and drove safely, vehicles were convenient and ran on time, lines and stops were appropriate, fares were satisfactory, and information on schedules and how to use them was available. Among these service elements, the kindness of the driver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is suggests that to activate the us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considering the selection of pick-up and drop-off locations to reduce access time an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kindness of drivers is important. The essential flexible schedul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e., the us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can be activated only when an operating environment is created that reduces access time and in-vehicle travel time.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revitalize the us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f it operates on a fixed route and schedules similar to those of existing buses.
        4,000원
        10.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통합모델을 기반으로 미 술관 관람객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구성개 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6월 18일부터 7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3명의 응답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은 행동의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기 본심리욕구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구성개념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기본심리욕구는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관람객의 재관람의도나 구전의도 등의 패턴 을 이해함으로써 미술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둔다.
        6,4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파크골프 용품을 구매하는 뉴실버세대들의 구매결정요인과 구매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세종, 충북에 거주하는 파크골프 용품 소비자 2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크골 프 용품 구매결정요인 중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구매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파크골프 용품 구 매결정요인 중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재구매에 영향을 미쳤고, 가격과 품질, 브랜드파워가 구전의도에 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매만족은 구매 후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파크골프 용품의 경우 하 나의 채를 이용하여 경기가 진행되므로 채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신중히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마케팅 주 체인 뉴실버세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용품을 생산한다면 구매한 용품에 대해 만족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재구매 및 구전을 하는 행동의도를 보일 것이다.
        4,0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진로포부와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를 규명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J도와 G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재학생 4학년 180명이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및 회귀분 석을 시행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자기결정성과 진로포부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고(Z=2.81, p=.005), 자기결정성(β.=.38, p<.001)과, 간호전문 직관(β=.25, p<.001)이 높을수록 진로포부 수준이 높아지며, 진로포부를 설명하는 설명력(R2)은 30%이었 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포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결정성과 간호전문직관의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300원
        1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배경적인 부분을 탐색하고,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 및 진로 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2023년 9월 1일~2024년 6월 28일까지 210명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는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재적 동기는 낮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는 바 주변의 지지에 대한 영향력 향상에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 합 해보면, 스포츠 전공자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분명한 목적을 들어내고자 하는 행동 즉 직업적 삶을 좌우하는 운동 기술, 커뮤니케이션 등 모든 영역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4,0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f the release point of the precision air delivery system is determined only by L/D, target accuracy can be greatly reduced due to changes in wind speed and direction by altitude. In this paper, after conducting a self-made precision air delivery system (PADS) drop test, we analyze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wind changes by altitude and proposed an algorithm to determine the release point of PADS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PADS landing.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imulation with this algorithm, it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drop experiment. In addition, the conceptual design of HW and SW was carried out for the actual dropsonde implementation in the future.
        4,0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ias-adjusted efficiency estimates and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in the Marine-Bio industry. Efficiency was estimated using the Bootstrap-DEA model, and efficiency determinants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mpany age, number of employees, location within Marine-Bio clusters, R&D performance, and debt ratio. The efficiency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DMUs belonged to the inefficient group with efficiency values below 0.7. The primary cause of inefficiency was identified as pure technical efficiency, which reflects the effectiveness of input combinations. In the analysis of efficiency determinant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debt ratio had a positive (+) effect on efficiency. Conversely, engaging in R&D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efficiency.
        4,600원
        16.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1년 다문화가정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주민들의 노후 준비 현황을 분 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다문화가정 실태조사에 참여한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14,185명으로, 이들의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 목으로는 성별, 소득 수준, 한국어 능력, 자산관리 주체, 체류 자격 등을 포함하여 이주민의 노후 대비 상태를 다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민들은 주 소득원으로 국민연금 (50.1%)과 저축성 보험(32.4%)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보조 소득원으로 사적 연금 (10.1%)과 퇴직금(8.3%)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노후 준비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체류 안정성이 높은 그룹 (영주권자, 재외동포)에서 노후 준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능력이 높은 이주민일수 록 노후 대비가 잘 이루어지는 반면,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저소득층 및 방문 취업자의 경우 노후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경제적 기회가 제한되어 있어 노후 대비가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주민들이 직면한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반영하여 이들의 노후 준비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5,4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nd its determinants in offshore fisheries under the worsening fishing environment and to propose policy improvement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We identified a decline in TFP of offshore fisheries from 2012 to 2020 employing the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GMPI), with the primary cause being the regression of the production possibility frontier due to the reduction of fishery resources. Moreover, utilizing the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we found that the determinants, such as the cessation of operations in Japan’s EEZ, vessel age, fishing experience, and oil prices, contribute to a decrease in the TFP of offshore fisher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ing a total allowable catch (TAC)-centered fishery resource management policy, along with reducing loan interest rates and extending the repayment period for the vessel modernization projec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FP of offshore fisheries by providing regular training for fishermen, implementing the tax-free petroleum stockpiling project, and developing alternative fishing grounds.
        4,9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ulti-criteria decision-making(MCDM) method allows the decision maker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alternatives based on a predefined set of decision criteria. The most commonly used MCDM methods includ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TOPSIS), Weighed Aggregated Sum Product Assessment(WASPAS), Preference Selection Index(PSI), etc. In MCDM Problems, it is common that performance ratings for different criteria are measured by different units. Normalization is thus used to convert performance ratings into commensurable data. There are many normalization techniques that can be used for MCDM problems. Much effort has been made for comparative studies on the suitability of normalization techniques used in MCDM methods. However, most studies present normalization methods suitable for specific MCDM problems based on specific data sampl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most suitable normalization method for each MCDM method under consideration using extensive data samples. A wide range of MCDM problems with various measurement scales are generated by simulation for comparative stud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vector normalization method is best suited for all MCDM methods considered in this study.
        4,000원
        2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드론을 통한 채증 활동은 공공안전 확보, 범죄 예방, 질서 유지에 유용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프라이버시권, 집회의 자 유와 같은 헌법적 기본권과 충돌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드론 활용에 대한 명확한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집회·시위 현장에서 드론 채증을 허용하려면, 그 목적·범위·절 차를 법률로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경찰의 재량권을 최소화하고 헌법적 권 리 침해를 방지해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에 대한 규제, 사전 고지 및 동의 절 차, 급박성 요건의 엄격한 해석, 데이터 최소화 원칙 적용 등을 명문화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해야 한다. 특히, 드론 채증이 ‘수 색’에 준하는 침해 행위로 해석될 경우, 영장주의를 적용하여 법관의 사전 심사를 받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미국과 독일 등 비교법적 고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감시 수단이 도입될 때 헌법적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해 영장주의를 도입하고, 비례원칙과 목적·절차의 명확화, 독립적 감독, 데이터 최소화 원 칙을 병행하는 방식이 효과적임이 입증되고 있다. 더 나아가, 독립적 감독기구를 설치하여 드론 채증 활동의 합법성과 필요 성을 점검하고, 긴급 상황에서 사전 허가 없이 드론을 투입했을 경우 정보 주체에게 이를 알리는 사후 통지 제도를 통해 사후적 통제 장치를 확보해 야 한다. 이러한 통제 메커니즘은 드론 채증이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도 공공안전 확보에 기여하는 합헌적 수단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드론 활용은 기술적 잠재력과 효율성을 지닌 도구이지만, 이를 둘러싼 윤 리적·법적 과제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집회의 자유를 포함한 헌법적 권리 보호가 훼손되지 않도록, 드론 채증에 관한 체계적이고 명확한 입법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사전 허가나 사후 통지, 정보 주체 권리 보장 등 절차 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제도가 필수적이다. 경찰이 드론을 운용할 때는 드론 조종자의 자격 요건 강화, 비행금지구역 설정, 기상 조건 제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도입, 영상정보 암호 화 등 다양한 기술적·관리적 보완책을 마련하여 치안 활동의 전문성과 안전 성을 높여야 한다. 드론을 통한 채증 기술은 공공안전 확보와 범죄 예방에 기여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헌법적 기본권 보호가 희생되어서는 안 된 다. 합헌적 제도 설계를 위해 영장주의 도입, 목적·절차의 명확화, 데이터 최 소화 원칙, 독립적 감독기구 설치, 투명성과 책임성 강화, 긴급 상황시 사 후 통지 제도화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해외 사례에서 드론 기술의 사회적 정착을 위한 법적·정책적 개선을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개선과 조화를 통해 드론은 개인의 자유와 공공의 이익이 충돌하 는 문제가 아닌, 균형 잡힌 규범체계 속에서 기본권을 존중하면서 공공안전 을 증진하는 합헌적이고 합리적인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는 헌법적 가치를 수호하고 민주적 질서를 유지하며, 기술 발전의 혜택을 극대화하는 길이 될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