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의 지역사회 돌봄 거점 으로서의 기반에 주목하며 경로당회장 리더십이 프로그램만족 및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지 역 소재 경로당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 석결과, 경로당회장의 리더십은 프로그램만족도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당은 노인이 이용자이면서 운 영자가 되는 운영체계를 특성으로 하고 있어, 운영의 핵심적 위치에 있는 회장 리더십의 동기부여, 개별적 배려, 영향력 등 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경로당회 장 리더십은 경로당 역량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로당회장 리더십은 지역노인들이 여가, 건강, 친 목 등을 위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는 노인공동체로서 공유된 정체성과 유대감, 협력과 상호작용을 높여 경로당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당회장 리더십이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프로그램만족은 부분매개 역 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경로당회장 리더십이 경로당 역량강화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데 있어서 프로그램만족이 간접적인 경로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지역사 회 돌봄의 특성화된 소규모 거점으로 경로당의 기능 강화 실천 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경로당 중식 이용 동기가 경로당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 고령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노인 복지 증진이 중요한 사회적 과 제로 부상함에 따라, 경로당 중식 서비스는 단순한 식사 제공 을 넘어 노인의 사회적 교류 및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는 핵심 복지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식 이용 동기를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요 인으로 구분하고, 이들 요인이 중식 만족도 및 경로당 이용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경로당을 이용 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 식모형(SE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동기는 중식 만족도와 이용 만족도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중식 만족도는 이용 만족도의 핵심 결 정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경제적·신체적 동기는 유의미하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식 만족도는 정서적 동기와 이용 만족도 간의 매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노인들이 중식을 단순한 식사 제공이 아닌 정서적 교류 와 사회적 유대 형성의 기회로 인식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 후 중식 제공은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교류를 증진하는 환경 조성과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로당 중식 제공의 정책적 가치와 운영 방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보다 효과적인 노인복지 서비스 설계를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화 사회에 따라 길어진 노년기의 여 가 활용이 중요 문제로 인식되면서, 퇴직 이후 길어진 노년기 를 어떻게 의미 있고 가치 있게 보내며, 노년기 역할 상실감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노인 여가 복지시설 중 여가 활동 장소로 대부분 이용되고 있는 경로당 이용에 따른 생활 만족도를 고찰 하여 노년기의 생활의 지표인 생활 만족도를 높여 노후를 풍요 롭게 보낼 수 있는 노인복지 정책을 제시하는 자료 제공에 기 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역할 소외 및 상실에 따른 대체 적 역할로서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생활 만족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는 활동이론에 따라 경로당 이용성취가 노인의 생 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서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108명을 대 상으로 2024년 10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임의표집 방법에 따라 자기 보고식, 문답식 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여 불 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10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으로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여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 t-test, 상관분 석, 및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건강 상태, 소득수준 은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통제 변수로 하여 활동 변수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시 행하였다. 그 결과, 활동 변수에서 직업 유무는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가구 형태와 경로당 이용성취는 생활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통제 변수로 하여 경로당 이용 수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로당 이용 기간, 이용 시간, 프로그램 내용, 참여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경로당 이용 만족도 는 생활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 활동 변수, 경로당 이용 변 수가 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보였다. 생활 만족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t 값이 유의확률 p< .05로 생활 만족도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로당 이용 변수는 이용 기간, 참여동기, 이용 만족도의 t 값이 유의확률 p<. 05로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활동 변수인 가구 형태, 경로당 이용 성취와 경로당 이용 변수인 이용 기간, 참여 동기, 이용 만족도 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경로당 이용 변수는 부분적으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결 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이 역할 소외 및 상실에 따른 대체적 역할로서 경로당 이용성취가 생활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경로당 이용을 통한 성취 내용이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기회로 생활 만족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며 향후 노인의 생활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 경로당을 활성화하는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정부와 지역단체들은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으로 노인의 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을 찾아 노인 의 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의 방안을 모색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프로그램만족과 여가유 능감, 자아탄력성 간의 영향, 그리고 프로그램만족과 자아탄력 성의 관계에서 여가유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경로당 기능 강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에 거주하는 경로당 이용 노인 35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로 당별 면접 조사를 하였다. 설문자료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 뢰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경로당프 로그램 참여 노인의 여가유능감은 하위변인인 사회적 유능감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신체적 유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는 경로당에서 동년배 노인들 간의 원활한 정서적 교류가 긍정 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며, 노화에 따른 신체적 특성에 적절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 경로당 프로그램만족은 여가유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경로당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최적의 각성과 재미를 얻게 되면 여가유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 히, 여가유능감이 경로당 프로그램만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서 완전매개 하는 구체적인 간접경로가 새롭게 드러났다. 이에 여가유능감 제고의 실천적 방안을 통하여 노년기 일상의 내적· 외적 스트레스를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인 자아 탄력성과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언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 주민에 대한 안면마사지 서비스 품질이 관 리 효과와 관리 만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 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거주 경로당 이용 여성 주민을 대상으로 2024년 09월 10일부터 2024년 10월 10일까지 최종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SPSS 25.0과 AMOS 25.0을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노화로 인해 보이지 않는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자 아 존중감이 약화 된 노인 여성에게 안면마사지 프로그램은 그 건강성과 역동성을 회복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고 자아 존중감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나아가 성 공적인 노화 및 안면 개선을 통해 적극적인 인간관계 개선 및 삶 의 질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효과적인 모델로 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활력, 치매두려움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프로그램 구성은 주 2회, 6주, 회기당 30분 분량으로 총 12회차이며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은 경로당 노인의 활력과 치매예방행위를 증가시키고, 치매두려움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을 경로당 이용노인의 치매예방를 위해 실무현장에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로당 기능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3,400여 개의 경로당 운영을 지원하는 경로당프로그램 관리자 를 대상으로 진행하던 표적집단면접(FGI)을 코로나19로 중단하 고, 개방형 질문지를 이메일로 주고받으며 얻은 질적 자료와 영역별 핵심 최우선 순위의 내용을 양적 자료로 재분류하고 병 행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시 경로당프로그램 관리자 총 71명 중 68명이 참여한 본 연구의 질문지 구성은 질문 대상자에 대한 근무기간, 교육수준 등과 경로당 운영에 있어서 개선할 사항, 경로당 이용노인의 선호 프로그램,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된 이 유, 경로당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 베이비부머 등 연소노인 유 입을 위한 필요조건 등 5개 영역별로 개방형 질문을 하였다. 연구결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점심을 동년배 친 구들과 이야기 나누며 함께 할 수 있어서”이며, 경로당 운영에 있어서 개선사항은 “공과금 내고 나면 점심식사 반찬값 부족… 집에서 반찬 가져오기도” 등 운영비 부족을 가장 많이 서술하 였다. 또 경로당 이용노인이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노래교 실, 놀이화투, 건강안마” 등으로 나타났다. 매일 방문하고 싶은 경로당이 되기 위한 요건과 베이비부머 등 연소노인들이 이용 할 수 있는 필요 요인에 대한 서술은 모두 “프로그램실·식당 설치…낙후된 시설 리모델링해야” 등 시설 확장과 다양한 여가 복지프로그램이나 세대통합 프로그램 활성화를 최우선으로 서 술하였다. 이에 경로당이 지역사회의 통합돌봄 공간으로 점심 과 취미여가활동을 하는 낮시간대 가족공동체로 자리할 수 있 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아로마 롤온 흡입법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통증, 우울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경로당 2곳에 등록된 노인 가운데 선정기준에 부합한 33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1월 14일부터 2022년 12월 19일까지 시행하였다. 아로마 롤온 흡입 전후에 경로당에 직접 방문하여 혈압 측정 후 자가설문으로 구성된 스트레 스, 통증, 우울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에센셜 오일은 마조람, 제라늄, 페페민트, 오렌지 스위트 를 캐리어 오일인 호호바오일에 희석한 것으로 하였다. 중재는 4주 동안 1일 3회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아 로마 롤온 흡입법은 대상자의 스트레스(t=2.63, p=.013), 통증(t=2.46, p=.019), 수축기 혈압(t=3.01,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아로마 롤온 흡입법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 스 감소 및 통증 완화, 혈압 관리에 유용한 간호중재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이면 대한민국의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25%를 차지 하는 초고령사회에 도래하게 될 것이다. 해가 갈수록 출산율은 감소하고 노인수명은 늘어나면서 노인 인구의 비중은 증대되는 것이다. 국민 4명 중 한 명이 노인이 되는 세상이다. 따라서 노 인복지, 노인권익, 노인 일자리, 노인자원봉사 등의 문제는 매 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와 비례하여 노인여 가복지시설인 경로당의 중요성은 더욱 배가될 것이다. 현재 우 리나라의 경로당은 약 68,000개로 노인 인구 900만 명 중 절반 인 400만 명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로효친사상과 홍익인간 정신을 바탕으로 태동한 경로당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우리 고유의 노인복지시설이다. 경로당은 어 르신들의 여가선용 및 복지의 중심으로 노인들의 생활공간이 다. 서울시 경로당의 경우 다른 시도 노인들에 비해 경로당 이 용 인원도 비교적 많고, 프로그램도 해가 갈수록 전문화되고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경로당의 복 지 프로그램이나 시설환경 등은 만족한 상태가 아니다. 서울시 경로당을 중심으로 경로당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노인복지에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365일 가고 싶은 경로당의 필요충분조건을 찾아내어 그 조건을 충족하게 함으로써 서울시 노인들이 찾고 기다려지는 경로당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문 수렴을 통해 방안을 찾고자 주력하였다. 시대 는 변하고 환경도 변하고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나 이상도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간다. 서울시 경로당은 규모가 협소하여 40평 미만인 경로당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회원들은 통상 경로 당을 주 5회 정도 이용하고 있으며, 집에서 경로당까지의 거리 는 300미터 이내로 접근성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서 울시는 앞으로 경로당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운영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경로당의 주 기능인 여가, 복지, 교육, 일자리, 자원봉사 등의 기능이 원 활하게 작동되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다. 현실적인 경로당의 문제들을 심층 깊게 연구하여 전문화, 다양화된 방안으로 개선되어 노인들의 사랑방인 경로당활성화 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본 연구는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주관적 기억력, 우울,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은 S시에 위치한 2곳의 경로당 이용 노인 대상자 36명이 참여하였으며, 2020년 1월 8일부터 2월 17일까지 총 6회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 자기표현의 변화를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신체적 이완활동, 인지활동 및 다양한 ‘푸드’를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과 자기표현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주관적 기억력(t=2.67, p=.011), 우울(t=3.88, p<.001), 자기표현(t=2.09, p=.044)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우울 감소와 기억력 및 자기표현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스스로가 관리 운영하는 여가복지시설 경로당의 기능을 조사 ․ 분석하여, 지역노인들이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경로당은 2017년 12월 기준 서울시 전역에 3,369개소, 1개동에는 7.8개꼴로 있으며, 전국에는 약 68,000개소가 있어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노인의 여가복지시설이다. 뿐만 아니라 전통미풍양속과 문화의 전달자 역할을 수행하며 훌륭한 노인복지전달체계로서의 사회간접자본이라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6. 4. 1~2016. 6. 30까지 서울시내 3,369개 경로당 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샘플 3,100개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서울 경로당별 등록 회원수는 21~50명 미만이 70.7%로 가장 많았고, 51~100명 미만도 14.7%에 달했다. 경로당의 주요 기능인 중식 관련 도우미 지원금은 20만원 이하가 46.2%로 열악함을 보여주었다. 프로그램 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67%로 높았으며, 치매예방과 검진, 건강걷기, 힐링도시농업 등이 70% 안팎의 높은 만족을 나타냈다. 경로당 연면적 규모는 30평 미만이 64.7%로 비좁아 프로그램 진행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는것으로 드러났다. 경로당 시설기준 보완과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회장?총무의 리더십 등이 활성화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경로당 기능 개선을 통하여 효율적인 운영역량을 확보하고 경로당의 질관리 및 강화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Objective : Dementia prevention program has been applied in Center for dementia by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this program to the elderly non-demented women in senior citizens center for cognitive,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Methods : We applied this program to women subjects from a senior citizens centers in 12 sessions.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and depression were compared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with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Timed-Up and Go test (TUG), One Leg Standing Test (OLST)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GDSSF-K).Results : We enrolled 26 non-dementia women from four senior citizens centers in Seoul Yangcheon-gu. The K-MMSE improved after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p=.00). The GDSSF-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p=.02). For physical function, TUG (p=.02) and OLST in opening ey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espectively, p=.00 in right side, and p=.00 in left side). OLST in closed eyes were tend to be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Conclusion :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f Center for dementia has proved to improv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and to reduce depression in the non-demented women from senior citizens cent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that has led by occupational therapist in Center for dementia can be applied other setting in a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asic materials needed for nutrition and health programs for aged people. In order to set up these programs, the nutritional habit, nutritional knowledge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mobility, functional assessment, and falls efficacy) of the aged were measured, and their relationships were determined. Data was collected on 57 aged individuals that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Aged' condu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se 57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tested by direct measurement prior to conducting the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3.0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tritional habit ranged from 24-50 out of 50, and the average was 37.2, which was above the middle level.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was of 4.02 out of 5, which was considered reasonably high. Especially, more than half of these subjects were uneducated, but they had a high interest in nutrition. The average mobility was determined to be 9.2 seconds and the falls efficacy was 64.2 out of 100. In addition,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d a fear of falling due to low confidence, which indicates that safety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falls should be provided to aged individuals in the future. The results showed that notable counter-relations between nutritional habit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existed.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for domestic masonry building, which are applied to the house for the aged in Busan city, was introduced. Seismic evaluation can be decided by comparing the seismic capacity index(Is) with the seismic protection index(Iso). According to the seismic evaluation, the seismic retrofit using metal lath and steel plate retrofit method was applied to the case of the lack of the seismic capacity. As a result of the retrofit, the seismic capacity was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