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4년도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SKC) 7차에 참여한 유아 및 그의 어머니와 교사이며,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조사에 성실하게 참여한 1,090 명이다. 본 연구는 SPSS 18.0과 JAMOVI 1.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을 23% 설명하는 강력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추가되었을 때 설명력이 1%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유아의 상호 작용보다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5,2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wo no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nceptualized and developed their practical knowledge about English teaching. They provided their narratives about their teaching six times over the spring semester of 2019. Their narrativ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wo researchers examined the transcription to investigate what prior knowledge they had and how they developed their practical knowledge. It was found that their practical knowledge had constantly changed and developed. When they started teaching English, they had their own knowledge on English teaching, which seemed to come from their previous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nd from their study on teaching English. As they applied these knowledge to their own teaching situations, they encountered many problems. The main situations that shaped their practical knowledge were 1)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2) level differences among students, 3) teacher status (classroom teacher or English specialist teacher), and 4) colleagues. While coping with those problems, they added new practical knowledge or modified the knowledge they had. The findings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on pre-service and novice teacher training.
        6,700원
        3.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역할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서 보육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전문성확보가 필요하다. 전문성이 확보되면 직무만족도가 높아지고 보육교사들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 보육교사의 이직률이 낮아지면 영유아와 보육교사 사이의 애착관계형성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영유아 발달에 있어 매우 바람직한 상호 관계를 형성한다.
        6,100원
        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53개 공립 초등학교에서 12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 도구와 과학 교수 효능감측정 도구를 투입하였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경력이 많을수록 점차 증가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발달한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의 상관분석 결과 둘 사이에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특징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으며 수업 전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수업의 초기에 수업 목표와 학습 문제를 학생들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려고 노력하며 수업의 각 과정에도 재인식시키는 특징이 있다. 자기의 과학 수업에 대한 상당한 자신감이 있고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수업에 관련된 그 외의 분야에도 지식이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
        4,800원
        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 간 협력 통한 내러티브 중심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의 경험 및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교사 면담분석과 유아의 언어 능력 변화를 동시에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협력은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시간, 함께 의미를 구성하는 시간,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시간으로 그 의미가 발견되었다, 둘째, 교사 협력의 경험은 유아의 언어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 협력을 통한 내러티브 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의 교육과정 이론 구성과 유아의 언어 발달에 있어 유의미한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전문적 텍스트를 함께 읽고 토론하는 교사독서모임이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교사독서모임을 통해 교사들이 어떠한 전문적 정체성을 발달시켜 가는지, 이러한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독서모임의 주요한 특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 교사의 교사독서모임 참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독서모임은 반성적 실천가이자 연계적 전문가로서의 교사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있어 교사독서모임에서 함께 읽는 교육철학적 텍스트와 교사들 사이의 협력적 반성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발달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의 교사독서모임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8.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족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 달 정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연령, 학력, 경력과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학력,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는 높은 정적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혹은 유아교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공동체적 관점에서 조직의 변화와 개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Change Laboratory Method(이하 CL)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초등 사회과 교사발달 연구에서의 CL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분석 결과, CL은 모순적 상황에서 시작된다는 점, 질문하기 과정을 통해서 참여자들의 협력과 비판적 활동을 지원한다는 점, 참여자가 속한 공동체의 문화를 변화시키는 특징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교과의 특성상 사회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특히 전 교과를 담당해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개인적인 노력으로 사회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은 어려우므로, 초등 사회과 교사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의 탐색이 요청된다. 둘째, 협력과 상호작용이 중심이 되는 초등 사회과의 특징을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도하는 교사 스스로가 그러한 학습 과정을 경험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CL은 교사발달에 있어서 유용한 연구 방법이 된다.
        10.
        2010.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교육청 관내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원감, 교사 461명으로 전문성 발달은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는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전체요구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하위영역인 교육 및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연구능력에서 차이가 있다.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경력을 통제 한 후 살펴본 결과 보통의 정적 상관이 있으며, 연구능력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11.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발달 단계,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과 심리적 소진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교사 발달 단계,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였다. 교사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또한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 발달 단계에 따라 심리적 소진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은 교사 발달 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적응 유연성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지각된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에 따라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적응 유연성의 주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의 하위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적응 유연성이 심리적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1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전문성 발달의 하위 영역인 지식과 기술, 자기 이해, 생태적 측면의 발달에 따라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2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백은주와 조부경(2004)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도구와 이진숙(2003)과 임승렬(2004)이 개발한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 질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이다.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은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집단의 차이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 검증과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 발달과 전문성 발달의 하위 영역 중 자기 이해의 발달과 생태적 발달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인 집단이 중․하인 집단 보다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발달 연구모임을 통한 영아반 교사의 역할 수행 변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뇌발달 연구모임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뇌발달 연구모임의 구성원은 본 연구자와 뇌발달 연구모임 참여에 동의한 행복한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6명이다. 뇌발달 연구모임의 운영기간은 2007년 1월 12일부터 2007년 10월 1일까지 총 10개월이다. 모임이 운영되는 기간 동안 협의 자료, 교사 면담 자료, 연구자의 약기, 교사의 기록,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전사 및 자료의 통합, 영역 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뇌발달 연구모임 초기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를 모르는 영아반 교사였다. 영아를 미숙하고 미흡한 존재로서 교육이 불가능한 존재로 바라보고 단지 크기가 작은 유아로서 영아로 바라보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뇌발달 연구모임이 운영되면서 영아를 ‘미흡하고 미숙한 존재’가 아닌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로 바라보게 되었고 영아에게 환경이자 환경제공자로서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인식하고 영아에게 적합한 가르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민하고 노력해 나갔다. 또한 영아의 무한한 가능성 발휘를 위하여 정서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아와 영아의 정서를 존중하는 정서적 보살핌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해 나갔다.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교사로서 역할 수행의 초석이 되는 바람직한 교육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15.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자기 장학을 통해 지식과 기술, 자기 이해, 그리고 생태적 측면에서 어떻게 발달해 가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가 자기 장학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효과와 한계는 무엇이며, 세 측면간의 연관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교사 발달은 지식과 기술, 자기 이해, 그리고 생태적 측면에서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교사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교사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장학의 유형 및 방법의 적용과 구체적인 외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교사의 발달과 교사교육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교사의 발달은 주로 연령단계에 따른 발달과 발달단계에 따른 발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두가지 발달이론은 모두 교사교육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단계이론(stage theory)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교사의 인지 발달과 관련있는 이론으로서 교사의 도덕성 발달, 교사의 자아발달, 교사의 개념수준 발달이론을 검토하였다. 특히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보았을때 교사의 인지발달은 교사의 효율적인 수업행동과 관련이 깊다. 물론 교육이외의 직업분야에서 볼 때 인지발달 수준은 직업의 성공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지적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직업 성공의 지표는 업무수행능력, 공감적 태도, 사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능력, 경제적 성공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지연이나, 학연 등의 조건에 의한 직업성공은 제외된다(이하원문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