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에서 여가활동 만족이 어떠한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함으로써 여성노 인의 성공적 노화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D지역 10개 노인복지관에서 여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자료분석에는 235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성공적 노화에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 로 분석되었다.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을수록 성 공적 노화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여성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은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 노화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고 성공적 노화의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7,8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농업에 종사하는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가 신체적 기능 향상과 삶의 질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113명의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트레칭, 근력 강화 및 마사지 등으로 구성된 신체적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8주간 총 16회, 그룹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참여 후의 노인의 신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근력, 유연성, 균형능력을 측정하였고, Short Form 8-Item (SF-8)을 사용하여 삶의 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신체 기능은 상지 근력(악력), 하지 근력(30초간 앉았다 일어서기), 정적 균형(눈 뜨고 한발 서기), 동적 균형(기능적 도달) 및 유연성(등 뒤로 양손 닿기,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항목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SF-8) 총점도 335.73 ± 52.93점에서 395.42 ± 28.79점으로 향상되었고, 모든 하위 항목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p < 0.05). 결론: 여가활동 참여는 노인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농촌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참여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4,600원
        3.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 열정이 자기효능감, 여가몰입 및 삶의 질에 미 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여가 열정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여 가몰입의 매개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인 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SPSS 24.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및 매개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여가 열정은 자기효능감과 여 가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삶의 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 다. 반면,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여가몰입은 삶의 질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노인의 여가 열정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여 가몰입은 각각 긍정적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로써 노인의 여가 열 정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높아지고 여가활동에 더 몰입할 수 있게 된 다는 점, 노인의 여가 열정이 삶의 질에 직접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여가 열정이 높은 자기효능감과 여가몰입을 통해서 노 인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동기 및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 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함의와 논의점을 제시하면 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노인 여가 차원의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6,300원
        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여가 참여, 여가 탐색 및 방해요인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가능한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가 뇌졸중 환자의 여가 평가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신뢰도 검증을 위해 뇌졸중 환자 64명이 참여하였으며,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를 시행하여 내적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공인 타당도는 단축형 노팅햄 여가 설문지(The shortened version of the Nottingham Leisure Questionnaire)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 검증을 위해 건강한 대 학생 55명이 참여하였고, 두 군간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내적 일치도는 전체 문항에 대한 크론바흐 알파 값은 .749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고, 공인 타당도 결과는 단축형 노팅햄 여가 설문지 총점과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의 여가 참여 문항 점수 간 상관계수가 .85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1). 판별 타당도 결과는 두 그룹 간 여가 활동 수, 여가 탐 색의 활동 수, 방해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1) 결론 :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여가 참여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이루어지는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여가 중재 계획 및 실행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500원
        5.
        2021.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노년기의 여가를 어떻게 보내야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어 산림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이 심 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여가활용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 으로 관계분석을 통해, 노인의 다양한 여가활동들 중에서 특히 산림복지활동의 여가부 문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과 심리적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관부서에서 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정책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의 수도권에 거주하는 61세 이상의 노인세 대 중에서 최근 1년 안에 산림여가활동 중에서 등산경험자, 도시숲․공원․휴양림 등의 산림(숲) 이용경험자 등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판단표본법으로 추출하여 직접 설문하였 다. 설문 428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에 관한 통계분석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SPSS 20.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모 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6,600원
        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서울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모집단으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7부를 제외한 총 183부(91.5%)의 자료를 유효표 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 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재미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스포츠 참여동기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노인스포츠 재미요인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노인스포츠 운동만족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4,500원
        7.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켜 건강한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하고, 노인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으로 심리적 안녕 감을 증진 시켜 건강한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방안 마련에 있으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한 노후를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고령사회를 접어든 우리나라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고령사회정책의 제도적 근거를 만들고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과감한 재정적 투자와 함께 예비노인의 여가준비에 대한 정책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예비 노인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진행 할 수 있는 서비스지원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6,900원
        8.
        2020.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사회에서 고령자들의 문화생활과 일상생활 속에서 노년기의 고독감의 해소와 자신의 보람된 삶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노인의 음악활동은 노령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건강의 유지와 향상을 통해 보다 생동감 있고 활동적으로 일상생활의 무료함을 활기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인의 여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많은 노인의 건강과 삶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인이 현재 놓여 있는 상황과 현실적인 환경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고립된 노령자가 없는지 또한 거동이 불편한 노령자들의 생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을 제공과 지원이 필요하다.
        5,800원
        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목적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도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 53부를 제외한 197부를 유효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 요인 중 내적동기는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생리적 만족 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적동기는 사회적만족, 휴식적 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동기는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4,300원
        10.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프로그램의 효과 연구를 위해 노인여가시설이용 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스트레스 관련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변화를 통해 아유르베다프로그램이 노인의 일상생활에서 실재 활용가능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 맥파를 통한 심박동변이도(HRV)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연구결과, 바타체질에서 교감신경(LF), 부교감신경 (HF), 신체저항도(SDNN)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체질에 대한 자율신경계 검증결과는 교감신경(LF)( p=0.048,p〈.05), 부교감신경 (HF)(P=0.035, p〈.05), 자율신경(LF/HF)(p=0.003, p〈.05) , 신체저항도 (SDNN)(p=0.003, p〈.05)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주관적인 느낌을 측정한 설문결과 스트레스신체증상은 바따체질에서, 스트레스 신체반응은 까 빠체질에서, 수면은 삣따체질에서, 우울은 까파체질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설문지 측정 분석결과도 p=0.000, p〈.05로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 아유르베다 프로그램이 노인여가시설대상자의 스트레스 완화에 신 체적,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아유르베다 프로그램이 노인여가시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4,600원
        1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참여 평가도구를 고찰하여 여가참여 평가의 동향, 평가 항목 및 측정 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1년부터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Scopus, PubMed, NDSL, 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노인 여가 평가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으로 170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4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4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IV에 해당하는 조사연구가 6편(43%)으로 가장 많았고, 2010년대 이후 연구가 11편(79%)으로 세계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의 여가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였다. 총 14 편의 논문에서 노인의 여가참여 평가를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종류는 5개로 구분되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는 자체 개발문항을 사용한 논문이 8편(57%)로 가장 많았다. 노인 여가 평가 항목은 각 평가도구별 다양한 여가활동이 포함되었고, 크게 여가의 수행 주체와 수행 목적을 기준으로 활동이 구분되었다. 평가의 측정은 14개 연구 중 13개의 연구에서 참여 여부 또는 빈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14편의 연구 중 자체 개발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체 개발 평가는 최근 연구에서 가장 많았다. 노인 여가 평가 항목은 크게 여가의 수행 주체와 수행 목적을 기준으로 활동이 구분되었으며, 측정은 대부분 참여 여부와 빈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의 평가 항목, 측정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여가 탐색 및 참여를 평가 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5,100원
        1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특성 및 여가활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도구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50,007명의 자료 중 7,076명의 노인근로자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 필요한 문항만을 선별하여 더미변환 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근로자는 참여하지 않는 노인근로자에 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특성, 건강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근로자의 특성에서 여가에 참여하는 노인은 직무만족, 성별, 교육정도, 직종 순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변수들에 대한 설명력은 19.6%였다. 여가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은 성별, 교육정도, 직무만족, 고용형태, 주당 근무시간 순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대한 설명력은 14.5%였다. 결론 : 노인근로자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통하여 작업치료분야에서도 노인의 작업영역 및 요소에 대한 폭을 넓히고, 노인의 여가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제공 시 경제활동 및 여가활동의 참여여부 등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4,000원
        1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후기고령노인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노인여가활동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은 여성일수록, 농촌일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운동을 많이 할수록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친목단체 활동은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운동을 많이 할수록, 일상생활 기능이 좋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총수입이 많을수록, 소비지출액이 증가할수록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동호회활동은 남성일수록, 농촌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을 많이 할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평생교육 활동은 여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을 많이 할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여행 활동은 여성일수록, 농촌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운동을 많이 할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총수입이 높을수록, 소비지출액이 높을수록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체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상생활 기능이 좋을수록, 소비지출액이 낮을수록 여가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에 투입된 14개의 변수들은 여가활동 결정요인의 26.9%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여가활동 촉진방안 4가지를 제시하였다.
        4,900원
        1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노인의 참여 동기가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10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 전라북도 J시, K시, I시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회관에서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질문문항에 올바르게 응답하지 않은 23부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27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 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참여동기,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의 참여 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 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의 참여 동기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6,700원
        1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고 노인들이 행복한 여가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인식하고 이에 물리적으로 행복한 노인 여가시설을 구축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노인들이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여가 시설에 대하여 활용성이 떨어지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 첫째,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공 노인 여가시설의 모텔로 선정된 대구의 시니어스타워를 방문하여 단순설문 및 관찰을 통하여 장단점에 대한 요소들을 정리 및 KJ기법 및 그라프기법 (Graph Theory)을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에 대한 한계성의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 그리고 상호관계성을 발췌하여 우선순위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였다. 둘째, 실제 노인들이 여가시설에서 느끼는 만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 사상구 노인여가 시설에 방문 및 현지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발췌한 우선순위법(Priority Method) 결과와 비교한 내용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개선 할 사항을 정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물품 및 기기를 노인의 여가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노력과 이를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성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물리적 기기 및 프로그램을 활용한 노인여가 시설도 중요하지만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참여 형 공간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regular leisure activity of the elderly with active and passive types has a beneficial effect to enhance their health condition. The elderly subjects of 164 (82 of elderly who do active leisure and 82 of elderly who do passive leisure) aged over 60 years in Suwon area were employ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along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 From the findings, the elderly who do active leisure were highly educated and better in living status. The elderly who do passive leisure showed higher drinking and smoking rates as well as higher obesity and overweight rates in comparison to the other counterpart. Furthermore, the elderly who do passive leisure were poor in health status. 'Painful knee and eye', 'lower back pain', and 'fatigue' were the most prevalent among subjective symptoms of the elderly. In conclusion, the elderly with active leisure activity seemed to have better life style and maintain good health status. Therefore,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establish the health program combined with various leisure activity for the seniors to promote and energize the later years of life.
        4,000원
        1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농촌지역 건강한 노인들의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효과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K읍에 거주하며, 마을회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으로, 2009년 1월에서 3월까지 연구자가 마을회관을 방문하여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참여 동의 의사를 표명한 노인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2회기의 프로그램 중 10회기 이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을 실험군으로 하고, 활동에 참여 하지 않은 노인들을 대조군으로 각각 20명씩 표집 하였으며 Mann- 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원예활동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실험군에서 원예활동 여가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