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Three kinds of polyethylene (PE) mulching materials were used which are: black (Black), green (Green), and white and black on both sides (White), black non-woven fabric (Fabric), and barley straw (Straw) and the control plot (Control) were also used in this study. The change of soil temperature was observed in various mulching materials with Green showing the highest average temperature of 24.4o, followed by Black > Fabric > Control > White > Straw. The variation of plant length,, aboveground weight, and root weight were constant in the order of Green > Black > White > Fabric > Control > Straw. Total yield (number of fruits) were 281,000 in Green which was the highest yield, and the least was from Straw which was 62.3% of Green. Total weight of fruits in Green was 395 kg which was the heaviest, and in Straw was least with 226 kg Hence, the weight of fruits
Background : Natural Mortality Vinyl much culture are increased crop yield and saved weeding workforce. But research is insufficient that of Liriope Pilatyphylla Wang et Tang. Black non-woven fabric mulch culture are increased crop yield and superior to occurrence of weeds, but to the removal and planting more labor needed, so, Farmers are avoidance using that. Methods and Results : So this study designed in order to selecting the best covering material. Using in this study, covering materials were Conventional practices (non covering), Natural mortality vinyl and black non-woven fabric. Soil temperature was continued highly after planting from in mid-may to in august a regular. among them natural mortality vinyl mulch was the highest. Natural mortality vinyl mulch was the fastest that humidity of soil change and Growth and development situation by maintaining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Non mulching was little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slowest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situation. The main event of weeds were Cyperus serotinus Rottb and Portulaca oleracea L. Weeding labor was saved from 43 to 57 percent in the natural mortality vinyl and black non-woven fabric mulch. Plant length was the shortest in the conventional practices and Root length, Leaf number and number of plants were little changed. Yield was increased from 27 to 29 percent in the natural mortality vinyl and black non-woven fabric mulch than conventional practices. Result of comprehensive economic analysis including weeding labor and yield, the natural mortality vinyl mulch culture was income increased 92 percent than conventional practices. Conclusion : Natural mortality vinyl mulch culture were weeds shooting controled and increased yield 39, income 92 percent than conventional practices (non covering).
유기멀칭자재가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대추 유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부터 2013년까지 4종류의 유기 멀칭자재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멀칭재료(볏짚, 왕겨, 톱밥 및 우드칩)는 2012년에 대추 유목이 심겨진 토양위에 처리되었다. 2012년 모든 멀칭재료별 잡초 발생 억제율은 96~98% 범위에 있었다. 2013년에 잡초 발생 억제율은 볏짚멀칭 처리구에서 7%, 왕겨멀칭 처리구에서 60%, 톱밥멀칭 처리구에서 27% 그리고 우드칩멀칭 처리구에서 79%이었다. 2013년 잡초 발생 억제율은 2012년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대추 유목의 생육은 우드칩멀칭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왕겨멀칭에서 가장 저조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은 스탠다드 국화 ‘백마’와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 품종에 있어서 재식밀도와 멀칭재료에 따른 절화 생육과 흰녹병 발생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는 6줄 정식 처리구에서 절화장, 줄기직경, 엽수, 절화무게, 화폭, 꽃무게 등의 생육이 8줄이나 10줄에 비해 양호하였다. 또한 흰녹병 발생률도 10줄 정식 처리구에서 68.9%로 가장 높았고, 6줄 정식 처리에서 48.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는 6줄 정식 처리구에서 줄기직경, 엽수, 절화무게, 화폭 등 다른 처리에 비해 절화생육이 양호하였다. 흰녹병 발생률은 10줄 정식 처리구에서 68.9%로 가장 높았고, 6줄 처리에서 28.9%로 가장 낮았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에 있어서 무멀칭에 비해 PE 필름으로 멀칭한 처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PE 필름색에 따른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흰녹병 발생률은 무멀칭 처리구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녹색과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구에서 42.2~60%로 낮았고 감염 엽수 및 병징수가 적었다.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의 절화장은 투명과 녹색 PE 필름으로 멀칭한 처리구에서 길었고, 줄기직경, 엽수, 화폭, 꽃수 등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녹병 발생률은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흰녹병 발생엽수와 병징수도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본 연구는 멀칭재료와 재식방법에 따른 shallo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멀칭비닐 종류별 시험에서 투명 PE필름 처리구에서 흑색 PE필름보다 엽수, 초장, 엽초장, 엽초경이 더 좋았고, 상품수량도 21%나 증수되었다. 그러나 구의 크기별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allot의 재식밀도별 수량은 120 cm 5조(10 a당 20,833주)에서 1,332 kg으로 120 cm 2조(10 a당 12,500주)에서보다 1.7배가 증수되어 밀식재배가 유리하였다. 따라서 shallot의 재배는 투명 PE필름 멀칭에 휴폭 120 cm에 5조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and weed control methods on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kale on upland and paddy soil of field culture at spring and autumn season. Paddy soil temperature of mulching treatments was high by 0.9~2.0℃ in comparison of non-mulching at autumn season. The control value of weed was over 91% at mulch paper and time required for weed control was reduced by 70% at mulch paper + machine weeding in comparison of non-mulching + hand weeding. The yield of kale wa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culture. Paddy soil temperature of mulch paper was higher on April, but lower on May and June than non-mulching at spring season. Dominant weed wa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The control value of weed was over 91% at mulch paper, time required for weed control was reduced by 75% at mulch paper + machine weeding in comparison of non-mulching + hand weeding and the yield of kale increased by 34% than conventional culture. Dominant weed was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hwi. on paddy soil at autumn season. The control value of weed was 43% at mulch paper. Time required for weed control was reduced by 80% at mulch paper + machine weeding in comparison of non-mulching + hand weeding. The yield of kale increased by 26% compared with than of conventional culture.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멀칭방법이 토양물리성 개선 및 참깨의 수량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풍년깨 품종을 공시하고, 투명비닐, 흑색비닐, 짚을 멀칭 재료로 하여 시험하였으며, 출아율, 토양물리성, 근량, 잡초량, 증발산량 및 수양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생육기간중 토양수분포텐셜의 변화양상은 처리간에 큰 차리가 없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 비해 비닐멀칭구는 약 5.4%, 짚멀칭구는 약 2.8%의 수분보지효과가 있었다. 2. 최고지온은 표준구에 비해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4℃ 높았으며, 짚멀칭구에서는 약 7 ℃ 낮았다. 최저지온은 표준구에 비하여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2 ℃ 높았고, 짚멀칭구에서 약 3℃ 낮았다. 3. 생육초기에 투명비닐멀칭구의 토양수분포텐셜, 토양온도, 잡초율, 토양경도 및 토분통기능은 무멀칭표준구보다 양호했으며, 따라서 출아율도 높았다. 4. 생육후기에 토양경도는 무멀칭표준구에서 높았으며 짚멀칭구, 흑색비닐멀칭구, 투명비닐멀칭구의 순으로 낮았다. 공극률, 토양통기능 및 유수속도는 투명비닐멀칭구와 짚멀칭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총근양은 투명비닐멀칭구에서 많았으며, 흑색비닐멀칭구, 짚멀칭구, 무멀칭표준구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근양은 토심 10cm 이내에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토심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6. 잡초양은 흑색비닐멀칭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서 가장 많았다. 7. 토양경도는 토양통기능( r=-.9439**), 투수속도( λ =-.8229*)와 부의 유의상관을 보이며, 토양통기능과 투수속도는 근양과 유의정상관을 보였고, 근량은 수량( r=-.7378*)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처리별 증발산양간에는 유의적인 차리가 없었으나, 투명비닐멀칭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