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ngsu(Beacon Fire Station) is a facility that sends signals with fire and smoke and has been used in Korea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facility was installed to know the north and south crises. This trend continues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it has been somewhat completed in the 17th century. In previous studies, beacon fire was identified mainly from the border area to Hanyang. Based on this, it was classified into Gyeongbongsu, Yeonbyeonbongsu, and Naejibongsu.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beacon fire in coastal areas only with this classification. In the case of beacon fire in island areas, there was a tendency to valu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in the region rather than connection with the capital. As a case analysis for this, an academic review was conducted with the cases of Ganghwa Island and Jeju Isl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beacon vary depending on the defense system and the physical distance from the land, even if it has the topographical commonality of the same island.
        4,200원
        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동지역의 烽燧에 대한 기록은『朝鮮王朝實錄』과 『世宗實錄地理志』 이후의 각종 지리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운영되는 과정에서 그 명칭이나 위치 이동, 봉수 수에서 별다른 변동없이 이어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강원도 해안지역의 봉수는 동해안에서 間烽인 통천의 金幱城烽燧에 서 제 1거 直烽인 회양의 所山烽燧와 2거인 영덕 大所山烽燧에서 안동의 烽枝山 烽燧로 연결되는 총 38개 정도의 間烽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거에 연결될 수도 있고, 2거에 연결될 수도 있는 間烽으로 볼 수 있으며, 그 형태와 기능면에 서 연변봉수로 볼 수 있다. 신라대에 설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 유물이나 유적으로 확인 할 수는 없으므로 조선 건국 초에 왜구와 여진족을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봉수제를 정비 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봉수의 폐지 시기는 임진왜란 이후 이 지역에 왜구의 피해가 거의 없었고, 북변에 있는 여진족[만주족]이 이 지역까지 침입하지는 않았다는 사실과 『척주선생안』에 기록된 三陟府使 柳時會의 재임 중인 丙寅年(1626)에 영동지방의 烽臺를 폐지하였다는 기록, 그리고 『여지도서』에 삼척의 봉수는 폐지되었다고 한 기록 등을 종합해보면 인조 丙寅年(1626)에서 『輿地圖書』가 편찬된 18세기 중엽 사이에 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삼척지역의 봉수에 대한 현지 조사 결과 해발 100m 내외의 바다가 바라보이는 산봉우리나 곶에 위치하였고, 연소실이 하나인 단봉이었다. 연소실은 가곡산봉수에서만 방형의 연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대 형태는 양야산봉수가 방형이고, 나머지는 원형으로서 축조 재료는 석축이 주조를 이루었고, 임원산봉수만 토-석 혼축이었다. 연대의 평면 형태에서 초곡산봉수와 가곡산봉수는 연대형이고, 양야산봉수와 임원산봉수는 연대 방호벽형, 광진산봉수는 연대 호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건물지 배치 형식에서 광진산봉수와 초곡산봉수는 연대 단독형이고, 양야산봉수·임원산봉수·가곡산봉수는 창고지나 추정 창고지가 있기에 일곽형으로 볼 수 있었다. 규모로 보았을 때 삼척지역의 봉수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연대 크기는 보통이나 방호벽이나 호는 작은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광진산봉수의 호가 반원형이라는 점, 임원산봉수에서 창고지가 발견되었는데, 건물 축대가 6단 정도로 잘 남아 있다는 점과 반원형인 연대 방호벽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가곡산봉수에서 비치물품 중의 하나였던 수마석이 발견되고, 건물지로 추정되는 곳이 있다는 점과 전체적으로 초곡산봉수를 제외하고 그 형태가 비교적 잘 남 아 있다는 점에서 삼척지역의 봉수는 동해안 지역의 연변봉수를 연구하고 분석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후망의 설치는 봉수제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하였을 수 있고, 백성들 의 부담을 줄여주거나, 봉수제 폐지 이후 해안 경계를 위한 후속 조처로서 설치하였을 수도 있음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13,800원
        4.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하동 두우산에 소재하는 봉수에 대한 소개글이다. 하동군 금성면 두우산 정상부에서 확인된 봉수 3기는 남-북 능선을 따라 위치하며, 추정 건물지 1기도 함께 확인되었다. 특이한 것은 봉수의 구조ㆍ형태가 각각 다르다. 이들 중 연대(煙臺)형 봉수를 추정 계화산봉수(1호 봉수), 방호벽 내부가 빈 평면 원형의 봉수를 두우산봉수1(2호 봉수), 두우산봉수2(봉수 3호)라 명명하였다. 1호 봉수는 방호벽이 확인되지 않고 연대만 확인된다. 연대의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다. 1호 봉수 주변에서는 채석지와 음각으로 새겨진 劍모양이 확인된다. 이 검모양은 당시 봉수군이 휴대하고 다녔던 고리칼(還刀)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두우산 정상부 쪽에서 1호 봉수와 관련된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추정 건물지 담장석축 주변으로 우물로 추정되는 석축 2기와 말굽형 석축, 채전지로 추정되는 석축 3기가 확인된다. 2호 봉수의 평면형태는 중앙이 비어있는 도넛형태로 축조된 것이 특징적이다. 봉수대는 방호벽, 방호벽 내 배수시설로 추정되는 호와 출입시설, 석곽형태로 조성된 추정 창고시설 등이 확인된다. 봉수 3호는 1호 봉수와 2호에 비해 훼손이 심해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지만, 연대의 북동쪽과 남서쪽에서 가공한 석재의 면을 맞추어 놓은 석렬이 확인되어 관련 시설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봉수의 조사사례가 미흡했던 하동지역 봉수의 형태, 규모, 구조등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향후 대상 지역 봉수의 정밀한 조사와 기능적 접근을 통해 봉수의 통시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100원
        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nland signal-fire which is the main facility of military protective duty for safety ofland in chosun dynasty.The results ofthis researchweredescribedseparatelyasfollows. 1.Five types of site plan of signal-fire were observed,which is circle,oval, rectangular,indeterminateform.Themajoritieswereovaltype. 2.Plan configuration of brazier which is separated with circle,rectangular type roughly wasconstructed with circle type generally.The heightofbrazierwas about 3~4.5m.The diameter ofbrazier was 1.5~2.5m.Building base thatprotectground moistureandinfilteration ofrainfallwasfoundin 5inlandsingal-fire,theheightofit wasabout0.3m~2.5m. 3.Theheightofprotectivewallremaineduntilpresentwasabout1m,thedepthwas aboutaverage1.2m. 4.Entrance was mainly stairs or open type and average width was 1.0~1.2m. Howeverthe depth was almostobserved as 1m,originally,itwas estimated ithas moredepth. 5.The storage of inland signal-fire has rectangular dimension,severaltypes of 1.8×1.2m~5.7×4.4m,square(間) of 1×1~2×1.The building material was stone and locatedbelow ornearthebrazier
        5,200원
        6.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7.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700원
        8.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9.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border signal-fire which is the main facility of military protective duty for safety of sea side in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Five types of site plan of signal-fire were observed, which is circle, half-circle, oval, round-rectangular. The majorities were circle type in eastern area. 2. Plan configuration of signal-fire stand which is separated with circle, rectangular type roughly was constructed with circle type generally. The height of signal-fire stand was about 2~3m. The diameter of signal-fire stand was 8~10m. Building base that protect ground moisture and infilteration of rainfall was found in 9 border singal-fire, the height of it was about 0.3m~2.5m. 3. Trench was mainly circle type and average width was 3~4m. However the depth was almost observed as 1m, originally, it was estimated it has more depth. 4. The height of protective wall remained until present was about 1m, the depth was about average 2.5m. 5. The storage of border signal-fire has rectangular dimension, several types of 1.8×1.2 m~5.7×4.4m, square(間) of 1×1~2×1. The building material was stone and located below or near the signal-fire stand.
        5,500원
        10.
        200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1.
        200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
        200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3.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influence of moon light to the fishing of Pacific saury stick-held dip net fishery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casting number, catch and CPUE were analyzed between the full moon and the new moon phases. Based on analyses of data taken from 8 vessels during 1992~2002, casting numbers at the full moon phase and the new moon phase were 110.3 and 121.0 tim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was lower than the latter by 8.8%. Catches of the full moon phase were higher than the new moon phase by 12.5% and CPUE expressed in ton/day and ton/haul were also higher by 31.5%, 26.1% respectively.
        4,000원
        14.
        200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5.
        200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7.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태평양에서 조업하는 우리나라 꽁치봉수망어업의 어획량과 시기별 어장 중심 및 어획적수온 등을 검토하고 조업시 소나 사용에 따른 어획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업 시기는 5~12월이었고 어획 비율과 CPUE 측면에서 볼 때, 한·일 어업협정 발효 이전인 1985~1998년의 주어기는 9~11월로, 발효 이후인 1999~2002년의 주어기는 8~10월로 추정되었다. 한·일 어업협정 이후 어장 중심은 일본 동쪽 연안 측으로부터 러시아 남쿠릴열도 동쪽인 43˚N 와 151˚E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꽁치의 어획적수온은 5월에는 12.5~14.4℃, 6월은 12.0~14.2℃, 7월은 11.4~13.9℃, 8월은 11.4~15.9℃, 9월은 12.9~16.9℃, 10월은 12.7~l7.3℃, 11월은 13.1~17.6℃ 그리고 12월에는 15.0~19.1℃이었다. 어획종은 총 13종으로서 목표종인 꽁치가 99.9% 어획되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조업일수는 소나를 보유한 조업선과 소나를 보유 하지 않은 조업선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투망횟수, 어획량 및 CPUE는 소나를 보유한 조업선이 각각 13%, 26%, 12%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8.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꽁치봉수망 조업시 어선의 집어등에 의한 수중환경의 변화를 밝혀 광 환경이 꽁치의 어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수중 조도를 측정하여 꽁치가 분포하는 어획 수층의 광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중에서 홍색 백열등과 할로겐등의 방사조도는 둘 다 1,052nm의 파장에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600nm이하의 파장에서는 할로겐등이 홍색 백열등에 비해 방사조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공기중 조도는 좌현 선미에서 가장 높았고 선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해역에서의 집어등 불빛의 수중투과 특성은 50m 수층에서 각각 0.31x, 0.61x 이하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꽁치어장의 특성을 가진 어장에서 볼 때 , 꽁치가 집어되는 수층의 조도는 0.51x 이상인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0.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aury stick - held dip net fishery of Korea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began in 1985 with 3 vessels. Since then the fishery has grown so rapidly year by year that the number of vessels increased to 34 and the catch to 40 thousands Mff in 1993. In the present study, the monthly situ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fishing ground for the pacific saury in the Northwest Pacific were investigated and the monthly optimum fIshing tempertures were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an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beginning of the fishing season, June to August, the fIshing ground is formed in the very wide range, mainly in the northward area of the front meandering, as the parcific saury migrate northward. In the main season, September to November, the ground is formed in the southward area of the front, off the east coast of Japan. Andd then, the fishing season ends in December with the ground coming near to the east coast of Japan. The monthly optimum fishing tempertures showed 11~13℃. in June to July, 13-17℃. in August to November, and 15~ 17℃. in December in general. The profIles of water temperature were much different in accordance by net casting position in the fishing ground, regardless of season. So, the MLD and CPUE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catch. Then, it is found that the CPUE shows over 0.7Mtr/haul as the MLD 40~70m.40~70m.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