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모바일 러닝 기반 환경에서의 중국어 쓰기 교육방안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업에 효과가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실제 개발 및 적용하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 러닝 기반 중국어 쓰기 수업의 효과 분석 및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 적용 가능한 모바일 러닝 기반 중국어 쓰기 수업 활용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러닝 기반 환경에서의 중국어 쓰기 수업에 효과가 있는 교수-학습 방안 개발과 이런 교수-학습 방안들이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중국어 쓰기 능력과 중국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또한 실제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실험 검증을 실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5,100원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교육용 게임으로서 text-to-scene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 입력 문장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사용자 입력 문장의 의미구조를 분석하여 장면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사용자가 문장을 교정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정답 장면과 사용자 입력 문장에 대한 장면을 함께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입력 문장의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파악하고 문장을 수정할 수 있다. 기존의 text-to-scene 연구에서 정교하게 장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원 구축이 어렵고 처리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외국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장면을 단순하게 표현한다. 실험결과 격조사나 문장 요소 생략 등을 고려하여 15개의 단어를 임의로 조합하여 5개 어절 이내의 문장 1,048,576개 문장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모델은 한 문장당 평균 14.94ms가 소요하면서 안정적으로 장면을 생성하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작문 시험 결과, 종이를 이용한 작문 결과에서는 10개 문항 중 오답 문장이 평균 4.7개 나왔는데,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을 이용한 작문 결과에서는 한 문장 당 평균 1.56회의 미리보기를 하고 문장을 수정하여 0.87개가 나왔다.
        4,000원
        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of foreign students through elaborating word definition. We took a position that brand-new teaching methods of writing are needed for specific learning groups, especially for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because they are supposed to develop and prove writing skills in order to perform their studies successfully. First, in chapter Ⅱ, w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in context of teaching tradition and made sure that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re still insufficient. Next, in chapter Ⅲ, we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sults focused on word definition and found elaborating word definition useful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for tertiary level students. Finally, in chapter Ⅳ, we presented a practical teaching method for writing through elaborating word definition by showing the results which 15 foreign students (from China and Japan) produced while participating in writing class. In this paper, we introduced a new method for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related to word learning, and expect much more teaching methods of writing to be developed and presented.
        6,000원
        4.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or a second language, and to propos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I presented 3 reasons that mainly cause the difficulty in teaching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Among the reasons, teachers’ lack of confidence and insufficiency of expertise in teaching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one which we have to compensate in terms of improving teachers’ ability. First, in chapter Ⅱ, I analyzed the trend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to-b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in chapter Ⅲ, I defined the concept of ‘ability of teaching writing’, and summarized the categories of the ability. Finally,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with regard to teachers’ expertise. Specially, I focused not only on the pedagogic content knowledge (PCK), but also on the content knowledge (CK). In this paper, I explored teacher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for better teaching Korean as an L2. However, this paper remains only as a pioneer attempt at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the area is not fully discussed yet.
        5,200원
        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ndem学习法指的是两个不同母语的学习者通过自主地交流来学习对 方的语言和文化等。它是一种建立在自主学习、跨文化学习和伙伴关系基础 上的学习方法。自20世纪80年代下半期以来,Tandem学习法在整个欧洲越 来越受到欢迎,并已逐渐应用于教育体系中。许多大学,如波鸿大学、莱比 锡大学等都有为帮助学生进行Tandem学习而专设的机构。实践表明,通过 Tandem法,学习者不仅能够提高自身的语言交流能力,而且还可以锻炼自 主学习能力、跨文化交际能力以及解决问题的能力等。而在韩国,Tandem 学习法的应用尚处于起步阶段。釜山外国语大学和2-3所大学已经开始为学 生提供Tandem学习机会,但国内相关研究仍然较少。 本文就当前Tandem学习法在韩国汉语学习者中的应用状况进行了调查 和研究。从2009年起,对韩国釜山某所大学二年级以上的340名中文专业学 生进行了实验和调查。首先进行了为期十四周的实验,实验主要采用了对学 生培训前和培训后两次口语,写作测试的成绩比较对Tandem活动和汉语口 语,写作作能力的关系进行分析,另外还有问卷调查、样本收集、收集数据 等方式。通过实验, 参加Tandem活动的学生不但汉语口语,写作水平有很 大提高, 而且在汉语学习动机, 学习兴趣、自信心等方面也有了明显改善。 实验的时间仅为一个学期, 但所收效果已很明显。通过实验, 我们证实了汉 语教学以Tandem学习法为突破口,可以促进语言学习中口语,写作技能的提 高。
        5,000원
        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스키마를 계발하고 글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텍스트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정립하는 일의 중요성은 매우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연구의 일환으로 ‘어떤 텍스트들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어 쓰기 교육의 올바른 텍스트 선정 상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를 선정하거나 제작할 때 어떤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는 쓰기 자료로서 텍스트가 갖는 중요성을 환기시킴은 물론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계발하는 데 필요한 ‘교육용 텍스트’ 개발에 참고가 될 것이다.
        9,500원
        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riting activities of 1st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f textbooks. In this study, seven textbooks out of twelve were selected and their wri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as to whether they stick to the guideline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specific focu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1) to look into writing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stipulat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2) to investigate the ratio of integrated writing activities to separate writing activities on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writing activities seemed suitable based on learners’ real-life situations for achievements standards; however,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re rather simple, mainly focusing on given words. Next, there were not only separate writing activities but also a variety of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listening-writing, speaking-writing, and reading-writing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paper, a few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qualities of writ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6,900원
        10.
        199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1.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 조절적 요약(self-regulatory summarizing) 교육과 연습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 자들의 동기신념(motivation beliefs) 및 쓰기 수행 (writing 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자기 조절 학습 (self-regulation learning), 학습 동기(motivation), 및 쓰기 수행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MSLQ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한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이 전체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내적성취목표성향 (intrinsic goal orientation)과 과업가치(Task value)에 대한 신념이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고, 뒤를 이어, 학습조절신념(control of learning belief)과 학습과 수행에 대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외적성취목표성향(extrinsic goal orientation)이 가장 작은 변화를 보인 한편, 시험불안(test anxiety)의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 조절적 요약 연습 이후 쓰기 수행에 있어서는, 문장, T-unit, 및 절의 평균 길이가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문장들은 보다 많은 중문 및 복문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급 수준의 L2 학습자들이 교수자의 안내, 도움 및 피드백과 함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네 가지 단계인 목표설정(goal setting), 자기 모니터링 (self-monitoring), 일반화(generalization), 그리고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를 인지하고 기억함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요약 연습을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로 보여 진다. 이는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ed learning)은 학습 동기요소를 독려하여 긍정적 자기 효능감 및 내적 목표성향을 높여 주게 되어 결국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 및 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됨을 증명하는 결과로 보여 진다.
        12.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과서를 통해 쓰기가 실제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은 학생들의 쓰기 능력과 동기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과서의 쓰기 활동이 실제적인 맥락에서 실현되는지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활동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5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12종에 나타난 설득하는 글쓰기 단원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어교과서가 읽기와 연계해서 설득하는 글 쓰기를 지도하고 있어 쓰기ㅌ와 읽기의 소통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연계하여 제시 하는 읽기 자료의 유형이 다양하여 설득하는 글 쓰기 활동이 다양한 측면으로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쓰기 동기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적 맥락에서의 쓰기 가 중요하지만, 쓰기 맥락 요소 중 예상독자와 매체 분석 및 실제화는 다소 미흡한 양상을 보인다. 셋째, 쓰기 평가 단계를 제시하지 않는 국어교과서가 전체의 절반이었으며, 평가의 유형은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가 전부이다. 결국 교과서가 충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국어 교사의 보완이 발생할 것이며, 이는 국어 수업에서의 불필요한 편차를 불러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얻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추후 개발할 국어 교과서에는 설득하는 글 쓰기 단원의 학습 활동 이 실제적인 맥락을 반영하고 구체적 평가 과정을 지원하는 부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3.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요약 교육(Summarizing instruction) 및 연습(Practices)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와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L2 학습에서 요약하기의 중요성 및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요약 교육과 연습 이후 읽기이해 점수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고, 어휘쓰기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같은 단어의 반복이나 기초적인 단어(the 1st 1000) 보다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즉, the 2nd 1000 list, 아카데믹한 단어(AWL), 및 그 이상 수준의 단어(NLW) 사용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요약 교육 및 연습이 읽기 이해에 주는 긍정적 효과는 주제가 다른 읽기자료(reading source texts with different topics)를 바탕으로 한 상향식(bottom-up) 읽기 및 쓰기 유발(writing output-promoting)의 통합적인 요약단계에 있다고 보여 진다. 즉, 주어진 읽기자료를 요약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주요 단어, 구, 혹은 문장 수준의 이해를 하고, 이를 다시 본래의 텍스트보다 짧게 요약하기 위해 문장통합(sentence combination), 바꾸어 쓰기(paraphrasing), 통사적 변형(syntactic transformation), 그리고 만들어 내기(invention) 등의 요약 과정들(summarizing processes)에서 사전 사용 및 교사의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하여 다양한 단어표현에 노출되고 경험하여 어휘 지식을 늘릴 수 있었고, 이후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1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능력 초급 수준의 EFL 성인 학습자들의 글쓰기 불안이 과정 중심 쓰기 접근(process writing approach) 교수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였다. Daly and Miller(1975a)의 DM-WAT를 근거로 본 연구의 영어 글쓰기 학습자들을 위해 약간의 수정을 가미한 WAT (글쓰기 불안감 테스트)를 사용하여 과정중심 쓰기 접근 교수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학습자들의 심리적 변화를 조사하여 글쓰기 불안의 네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1) 영어 글쓰기를 좋아하는 정도(Enjoyment of writing in English, EOW); (2)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Negative perception about writing in English, NPW); (3) 평가에 대한 두려움(Fear of evaluation, FOE); 그리고 (4) 영어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Self-confidence of writing in English, SCW).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의 부정적인 영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과정 중심 글쓰기 교수 이후 네 가지 요인에 있어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여성 학습자들의 사전 사후 부정적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가 남성 학습자들보다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학습자 모두가 두 가지 글쓰기 요인, 즉 NPW 와 FOE 요인에 있어서 과정 중심 글쓰기의 효과를 더욱 나타내었다. 이는 흔히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불안은 언어적 지식 및 자신감의 부족에서 비롯되기에, 본 연구의 학습자들은 5단계의 과정 중심 글쓰기 활동들이 언어적 자신감을 높이는 스캐폴딩 글쓰기(scaffolded writing)와 같은 역할을 하여 그 결과 부정적 글쓰기 불안감이 현저히 낮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전 쓰기(pre-writing) 활동에서의 브레인스토밍, 모델텍스트를 통한 구조, 어휘, 문법, 주제문 찾기 등의 언어적 요인 살펴보기 및 개인별 쓰기 완성(drafting), 그리고 수정단계(revising)에서의 교사의 피드백 및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 등을 통해 그들의 영어사용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향상시키고 협력하는 학습 분위기의 영향으로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감정적인 면에서 훨씬 완화되고 편안해짐을 보여준 결과로 여겨진다.
        15.
        2016.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핵가족화, 취업모,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유아의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혼란이 가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낸 헬렌켈러와 설리번의 기억과 기록을 중심으 로 헬렌켈러의 첫 읽기, 쓰기는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와 설리번의 읽기, 쓰기 교육의 원리, 그 실제적인 방 안에 대해 학부모에게 전하고자 하였다. 독자가 편견 없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글을 읽도록 하기 위하여 헬렌켈러, 설리번을 초청한 Talk show 형식으로 서술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헬렌켈러의 첫 읽기, 쓰기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둘째, 설리번의 읽기, 쓰기 교육의 원리는 무엇인가? 셋째. 설리번의 읽기, 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지도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헬렌켈러 의 첫 읽기, 쓰기는 교사 설리번이 교육적 목표를 가지고 의도적으로 노출한 문자언어의 경험이 축적되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둘째, 생활, 경험, 놀이중심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 셋째, 헬렌켈러가 좋아하는 책, 동요, 동시, 친숙한 글자를 활용한 놀이 형태의 지도방법이 있다.
        16.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프랑스에서 한국 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학습자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증가에 비해 프랑스 내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유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파리 7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실제 진행했던 시 사강독의 수업을 바탕으로 프랑스 고급 학습자들의 읽기-쓰기 수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한된 교과 수업을 벗어나 한국의 실제성을 보여주는 신문자료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17.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화일지 쓰기는 학습자와 교사 간에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이다. 대화일지를 통해 학습자는 부담감 없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글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화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일지가 학습자의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 불안감, 부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중급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운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대화일지 쓰기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불안감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쓰기 능력에서는 대화일지를 통한 형태 중심․의미 중심의 피드백이 기존의 직접적인 피드백보다 담화 구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18.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쓰기 이론의 동향과 쓰기 교육의 실제를 점검해 보는 것이다. 이는 쓰기 교육이 나아갈 바를 탐색하려면 이러한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쓰기 이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폈으며, 다음으로 이런 이론이 국어과 쓰기 교육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런 검토의 결과를 참조하여 모국어의 쓰기 교육은 사고 훈련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학생들의 실제 삶이 쓰기의 맥락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쓰기 교육의 방법이나 내용은 학생의 수준이나 과제의 성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