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generate a list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according to business area for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compan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21 components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were identified within five business areas. Ten CEOs(Chief Executive Officers) each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sharing ethical and unethical cases from their own businesses.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o generate important business ethics components from those cases. In results, important business ethics components for each business area are: 1) using human-friendly materials, strengthening sustainable technologies, using vegan materials, concerning safe process, and reducing waste in the material production and sourcing area, 2) enhancing an efficiency in design, developing recycle/reuse designs, avoiding to copy designs, and using messages for public interest in the product design area, 3) concerning fair-trade, reducing harmful substance, saving energy, and using ethical supply channels in the distribution and logistics area, 4) acquiring certifications, promoting consumer protection, avoiding exaggerative/false advertisements, and promoting social contributions in the management and marketing area, and 5) promoting workers’ rights, complying with the law, and investing on employee educations in the labor management area. All of the ethical and unethical cases of the ten companies have involved aspects of the 21 components,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s on how each issue is being seriously considered and/or handled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companies. Study findings may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of a research model for quantitative studies and/or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business ethics in the fashion industry.
        5,200원
        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in pre-PE experiences and preferences in each area of selected physical activity contents. The
        8,400원
        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spread of English in Korean academic society by investigating the use of English in writing dissert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one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and attempted to identify to what extent English has been used i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or the last 12 ye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English in writing both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has increased gradually and there exists a discrepancy among the fields of study.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a number of dissertations in the fields of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medical science have been written in English recently.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ome related analyses in European universities indicates a similar trend of English use in academic fields. Understanding the current use of English in Koreanacademic societ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function of English in Korea as a whole.
        6,000원
        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에 대한 사용 실태 및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평가도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6년 대한작업치료학술대회에 참석한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제작은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였고, 운동기능 평가 도구, 인지 및 지각평가 도구, 일상생활평가 도구, 발달평가 도구, 감각통합검사, 직업 및 작업수행평가 도구, 이학적 검사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15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근무특성과 관련된 평가도구 사용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기 평가시간으로 20~40분을 할애하는 응답자(66.5%)가 가장 많았고, 평가주기는 기능적인 변화가 있을 때, 성인 환자가 아동보다 사용되는 평가도구 수가 많았고, 대학병원이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가 가장 많았다. 영역별 사용평가도구는 성인의 운동기능 평가에 Manual Function Test(62.4%)를, 인지-지각 평가에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80.3%)을, 일상생활에 FIM(79.5%)을, 작업수행평가에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17.1%)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경우는 전반적 발달검사에서는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97%)를, 운동적합성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35.8%)를, 감각통합평가에 Sensory Profile(61.2%)을, 인지-지각 평가에 Deve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47.8%)를, 일상생활에 Wee FIM(74.6%)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를 영역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작업치료사들의 교육과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8.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ow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run in the Seventh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s and to obtain some basic data for normalizing and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
        6,600원
        9.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치원에 대한 기관평가를 위해 교육인적자원부는 1999년 한국교육개발원에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촉진을 위한 유치원 평가체제 구축’과, 2000년에 ‘유치원 모의 평가를 통한 유아교육 평가모형 확립방안 연구’라는 연구 용역을 실시하였으며 2004년 1월에 유아교육법을 제정하여 유치원에 대한 평가체제 도입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2005년에 유치원에 대한 시범평가를 계획하였으나 유치원 연합회 등의 선 재정 지원 등의 요구로 인해 무산된바 있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는 보육시설에 대한 평가인증제가 도입되어 양적 확충에 따른 질적 수준의 보완 및 향상에 주력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유치원에 대한 평가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하여 2007년 4월, 육아정책개발센터의 세미나에서 발표된 ‘유치원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의 주요 내용을 기초로 하여 2007년 6월에 ‘유아교육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유치원 평가 기본 계획’을 발표하였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이 계획에 의하면, 2007년도에 국공립 50개와 사립 50개 유치원을 각 시ㆍ도 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시범평가를 실시하며, 2008년도부터 2010년도까지 전국의 8,000여개 모든 유치원에 대한 1주기 평가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획의 추진 목적으로는 첫째, 유치원의 운영실태 진단과 개선 방안 제안을 통한 책무성 강화와 둘째, 유아교육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 정보 제공을 통하여 학부모의 학교 선택권 보장 실질화를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유치원 현장에서는 유치원 평가(종합평가)를 받아본 적이 없고, 유치원의 교직원들도 대학의 양성과정에서 유치원 평가(종합평가)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 적이 없어 유치원 평가(종합평가)의 준비 과정에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원고에서는 ‘유치원 평가’의 준비를 위한 영역별 안내를 통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에게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이 글을 작성하였다.
        1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0-40대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완화 훈련과 자극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을 알아보고자 명상이나 규칙적인 운동 경험이 없는 대상자 30명을 실험군, 유산소운동군, 통제군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여 8주간, 주 3회 회당 50분간을 각 집단별 실험처치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훈련을 마친 후, 3분간의 청각소음 및 암산 스트레스원에 노출시켰을 때, 자극제시 전·후의 F3, Fz, F4, C3, C4, P3, Pz, P4 등 9개의 뇌파 전극 부위에 대해 알파파와 감마파의 크기 해석을 통한 국부적 변화 및 공간적 상관도(coherence)를 분석하였다.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결과, 알파파의 F3와 C3 부위에서 자극제시 전·후에 집단과 시기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감마파에서는 F3부위에서만 시기와 집단×시기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Coherence 해석에 따른 윌콕슨 검정 결과, 알파파에서 유산소군과 통제군은 자극제시 전·후에 국부적으로 감소한 반면, 실험군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감마파에서도 실험군이 유산소군과 통제군에 비해 뇌 전체 영역에서의 더 많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군의 뇌호흡에 기반을 둔 신체적, 인지적 기법의 훈련적용은 단시간의 일회적 스트레스 자극에 대해 뇌 기능 상태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14.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본래 논리적인 체계보다 심리적 원리를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실생활에서 전이가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일상 생활에서 학습활동의 소재를 취한 것들이 많아서 논리적으로 만족할 만한 체계화를 기하기에는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에서 시도한 바와 같이, 제한된 부분에서나마 유사한 지도내용끼리 관련을 짓고 학년을 달리하여 심화 확장되어가는 모습으 추적하여 체계화하는 작업은 미흡한대로 다음 세 가지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