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30개의 단어 연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대 대학생의 인지적인 측면의 특징을 살펴보고, 어휘 교육 방법에 적용하고자 하 였다. 사회가 변하면서 일부 단어 연상의 결과가 예전의 인식과 달라지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일부 추상적인 단어에서는 반응어 종류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형용사 ‘빨갛다’의 경우 예전의 설문조사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던 단어 들이 많이 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어 종류가 가장 많은 것은 품사별로 명사 ‘책’과 ‘영화’, 동사 ‘좋아하다’, 형용사 ‘기쁘다’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적용 할 수 있는 어휘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vocabulary siz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Chinese. The stud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2022 fall semester and focused on the receptive aspect of vocabulary knowledge, specifically on ‘reading.’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st year, 2nd year, and 3rd-4th year students, and a vocabulary assessment was carried out. The assessment vocabulary consisted of 80 items extracted from the HSK (2015) test. As a result, the accuracy rates were 60.07% for the 1st year, 76.98% for the 2nd year, and 80.77% for the 3rd-4th year. After conducting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the 1st year group and both the 2nd year and 3rd-4th year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nd year and 3rd-4th year groups. When comparing the accuracy rates to the cumulative vocabulary of 5,000 words in the HSK level 6, it showed that the 1st year group knew approximately 3,103.50 words, the 2nd year group knew 3,849.00 words, and the 3rd-4th year group knew 4,038.5 words.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대학생 대상 중국어 관련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국제협력학습 기반 중국어, 상호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관련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온라인 국제협력학습 기반 중국어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중국어 학습자가 중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상 황을 제공할 수 있어 원어민 학생들과 유의미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중국어 학습과 함께 중국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소개 및 성찰할 수 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온라인 매 체 관리, 학습 방안, 매체 활용 단계 및 방안,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학습자 간 역할 및 상호작용 확대, 학습 전략, 교수 전략 등의 절차가 명확하게 계획되고 구성될 필 요가 있으며,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과 한중 상호문화교육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고, 국내 중국어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역량, 글로벌 역량 등에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변화에 맞춰 미래 교육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연구가 교 육계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을 활용 한 중국어-한국어 탄뎀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시켜 대학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 스를 활용한 교육적 활용 방법과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중국어 학습자의 흥미도와 몰입감을 높이고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여, 대학의 외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고 교육적 활용의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mpoliteness strategies and impoliteness formulas in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complaints, focusing primarily on advanced Chinese learners.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as utilized to investigate interlanguage complaints, with each scenario provi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 information on publicness, familiarities between the interlocutors, and their social status levels. Impoliteness, as well as politeness, were examined. In the meantime, the effect of those three factors above on the selecting impoliteness strategies or politeness strategies were also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tterns of impoliteness strategies, learners were more inclined to use impoliteness strategies in private scenarios compared to those public scenarios, to hearers with equal or lower social status compared to those with higher social status, and to familiar hearers compared to those unfamilia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impoliteness formulas, learner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bald-on impoliteness strategies in all the 12 scenarios. Secondly, some of the learners failed to use honorifics in certain scenarios, damaging decencies of their hearers and even in being regarded as interlocutors with improper manners. Lastly, most of the learners neglected negative politeness, which is by no means less important that its positive counterpart.
본고는 『베트남의 중국어 학습자들의 개사 말뭉치(코퍼스)』 (2018년판)를 토대로 초급 중국어 수준의 베트남 학습자들의 지속상 표지 ‘着’ 오류 현황을 고찰한다.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오류가 ‘첨가’, ‘혼동’, ‘(필요 성분의) 누락’ 이라는 세 유형으로 귀납됨을 알아냈다. 그 결과 ‘첨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이 ‘혼동’ 오류이며, ‘(필요 성분의) 누락’ 이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오류 유형을 알 수 있었다. 목적어 규칙의 지나친 일반화가 이러한 오류들 의 주요 원인이었다. 필자는 이를 기반으로 교학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려고 한다.
홍콩에는 예부터 지금까지 파키스탄, 인도, 네팔 등에서 온 이민들을 포함하여, 비중국어권 아동들이 적지 않다. 평등교육의 이념을 표방하는 홍콩평등기회위원회(香港平等機會委員會)는 비중국어권 학습자들이 중국어권 학습자들과 같은 학교에서 학습하기를 건의하여 그들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홍콩 사회로 융화되게 하려 하였다. 이로 인해, 비중국어권 아동들은 홍콩 현지의 일반 유치원을 다니게 되었는데, 홍콩의 교육 관할 당국도 적지 않은 자원을 투입하여 이들이 현지 교육과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협조하였으나, 그 효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는 학습의 차이를 처리하는 것이었다. 비중국어권 아동들의 중국어 실력은 모국어 수준에 미치지는 못했다. 이들이 중국어권 아동들과 함께 중국어 수업에 참여할 때 적잖은 어려움이 발행했다. 또한, 비중국어권 아동들의 성장 배경도 각기 달랐다. 신이민자 가정의 아동도 있고, 현지에서 출생한 소수 민족 아동도 있어, 이러한 학습자 사이의 중국어 수준의 차이도 존재했다. 이밖에도 소수민족과 홍콩의 문화적 차이 또한 매우 커서 모든 교사와 아동은 ‘학습’과 ‘교수’ 두 측면에서 모두 여러 가지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처리해야 했다. 이처럼 비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홍콩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것은 매우 쉽지 않았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경마회 자선기금 및 다섯 단체의 공영교육 사회복지기구는 「경마회의 재밌는 중국어 배우기(賽馬會(有)友趣學中文)」 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중국어를 모국어로 갖지 않는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중국어 학습 하여 빠르게 사회에 융화되도록 도왔다. 본 프로 젝트는 수준별 교육과정, 수준별 교재, 수준별 학습법, 수준별 교구, 수준별 평가와 다층적 교학법을 설계하고 지원하여 학습 차이에서 생기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본고에서는 연구 이론과 설계, 데이터 수집 및 연구 결과를 상세히 서술하고, 효과적인 사례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세계 각지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출시된 중국어 학습 기능성 게임 및 관련 학술 연구는 많지만 대부분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수행되었으며 VR플랫폼 기반 학술 연구와 게임 개발이 많지 않다. 그러나 현재 VR기능성 게임은 가상현실 공간의 몰입적 체험이 학습효과를 확실히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이미 존재한다. ‘Classroom Simulation’은 가상현실 공간의 시뮬레이션 강의실에서 수업과 게임을 하는 중국어 일상어를 배우는 기능성 게임이다. 이 게임은 중국어 초보자와 중국으로 여행을 가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중국어 일상어를 알아듣고 말할 수 있는것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단일적 교육 목적으로 본 연구는 맞춤형 게임 시스템 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어 일상어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구성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강의실과 교사를 구현하였으며 3가지 레벨의 게임플레이 설계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이 게임의 교육 효과와 효율성, 오락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2명의 실험자를 선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이 게임의 교육 효과와 효율성이 입증된 반면 게임 시나리오와 게임플레이 등 오락성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나타났다. 실험과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에 대해 검토했으며 향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중 수교 이래 경제교류가 날로 늘어남에 따라 비즈니스 중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나 이에 대한 연구나 분석이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한국 내의 비즈니스 중국어 수업현황, 학습현황, 비즈니스 교재현황에 대해 검토하였고, 학습자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수요분석 이론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수요를 물질적 수요, 심리적 수요, 비즈니스 중국어에 대한 수요,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수요 등 네 가지로 재분류 하였다.이러한 분류에 따라 중국어 학습자 총 302명을 대상으로 3년의 시간간격을 두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직업별, 중국어 수준 별 학습자 수요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비즈니스 중국어 교육을 위해 교재편찬, 수업설계, 평가에 대해 간략하게 제언을 하였다.
한국어 문장에 존재하는 공백은 독자가 문장 혹은 단락을 이해하는 아주 중요한 시각적 단서로, 묵독뿐만 아니라 낭독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중국어 문장에는 단어 경계를 나타내는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단어 간 공백이 낭독 유창성과 정 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은 중국어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고찰하였다. 실험은 2(제시 방식: 공백 무삽입, 공백 삽입) X 3(중국어 수준: 초급·중급 학습자, 모국 어 화자) 이원혼합설계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에게 두 가지 제시 방식의 중국어 문장을 낭독하도록 요청하고, Cool Edit Pro 프로그램을 사용해 그 소리를 녹음하였다. 실험 결과, (1) 단어 간 공백은 참가자들의 낭독 유창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단어 간 공백은 한국인 학습자들의 단어 경계 인식을 제고시켰다. (3) 글자와 단어 식별이 익숙하지 않은 초 급 학습자일수록 낭독 정확성에 대한 공백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on second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Chines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focus of the research has been limited mainly to identifying types of motivation. Considering the popularity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and the lack of research on Chinese learning motivation, the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motivational changes in learning Chinese from the sociocultual perspectiv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s own autobiographic diary written while she was learning Chinese. Using the framework of an Activity Theory, the data were analyzed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motivatonal chang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motivation was affected by dynamic interaction of mediational tools, relationships within the community, and different roles of the learner. The findings imply that the level of motivation is affected by how the learner resolves the tensions among those factors to move forward to the goal of becoming a multilingual speaker. The study may provide a methodological insight into L2 motivation research by analyzing and describing a longitudinal Chinese learning experience from a first-person point of view.
This study is based on a case study, in which an interactive teaching method has been applied to teach beginning level of Chinese to Korean college students. One of the lessons from the textbook, Speaking Basic Chinese (2013) has been used for teaching 21 students. The method suggests three stages of interactions by including: (1) word learning, 2) sentence production, and (3) sentence application. The stage of word learning is further divided into 3 steps: (1) pronunciation and understanding meaning, (2) inducing student participation, (3) confirmation and self-inspection. The second stage of sentence production is also divided into 3 different steps: (1) sentence production using learned words, (2) practicing sentences, (3) practicing sentences by role-plays. Likewise, the final stage of sentence application includes 2 practical steps: (1) interpreting basic sentences, (2) interpreting more complex sentences. This case study has found that the students feel more interested and motivated in learning activities through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and also interactions between the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kind of interactive approaches be applied to teaching the beginning Chinese conversation and higher levels as well. Finally, the finding of the present case study should be examined with more and in-depth studies and experiments in the future.
협동학습은 소그룹에 소속된 학생들이 그들 자신은 물론 다른 구성원들의 학습효과를 극 대화시키기 위해 서로 협력하도록 구조화된 교수학습방법이다. 본 논문은 중국어 고문 교육 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중국어 고문 교육에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결과 그 효과와 한계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학습효과 측면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고문해석에 대한 학습자의 자신감 상 승, 고문학습에 대한 흥미도 향상, 효과적인 고문해석 연습 기회 제공, 학습자의 고문 독해실 력 제고와 이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이 있었다. 둘째, 인간관계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협동학 습을 통해 조원과 상의하고 서로 의지하면서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조원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하였으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체험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진행 과정에서 협동학습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개인적 책무성이 강조되면서 학습자들은 다른 조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성실히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이 향 상되었다. 다만 협동학습이 본연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개인적 책무성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협동학습은 고문학습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general Chinese in university by developing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based on student's needs. In an effort to develop an effective general Chinese program of a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curricular and learner needs for general Chinese courses of universities. The curricular of general Chinese programs collected from a total of 46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to examine class teaching hours, credits, courses, diffentiated-level classes, special courses, and a waiving policy of credits based on student proficiency. Also the survey and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one university (N=387) to find out their needs on general Chinese courses. The curricular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s: 1) When analyzing the general Chinese courses curriculum of 46 universities surveyed, most of universities preferred 2~3 hours/2~3 credits Chinese courses,; 2) The results of survey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strong needs for improving differentiated-level education. 3)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ccommodate learners, teachers demand and realistic constraints on learning Chinese language learners.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중국어-한국어 탄뎀수업에서 학습자주도 평가 방법으로 동료평가 를 도입하여 이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동료 평가와 교사평가와의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 대학의 2학년 중국 어-한국어 탄뎀수업 수강자 224명으로 학생들은 동료평가와 교사평가를 실시한 실험반과 교 사평가를 실시한 통제반으로 나누어 한 학기 동안의 탄뎀 학습과 3차례의 평가 활동을 하였 다. 그 결과 첫째, 실험반, 통제반 모두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보였다. 둘째, 학습 태도 변화에서는 실험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와 교사평가 사이의 일치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동료평가방법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자 탄뎀수업에서 충분히 활용가능성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학습 효과도 긍정적 임을 증명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teaching Chinese proverbs by comparing proverbs of Korea and China. The study divides the proverbs into two broad categories: equivalent switch and non-equivalent switch. The equivalent switch refers to the proverbs with various forms but the same meaning. Accordingly, they are divided into four types: 1) the same form and the same meaning, 2) similar form and the same meaning, 3) different form but the same meaning, and 4) those with local names but the same meaning. Likewise, non-equivalent switch, the proverbs with different meaning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5) the same form but different meaning, 6) those with strong influence of local names, and finally 7) those with strong influence of food cultures. The paper suggests that Korean leaners sh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s about Chinese proverbs and their abilities to use those proverbs appropriately in real situations of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