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e most common type of oral cancer,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worldwide. Pituitary tumor transforming gene 1 (PTTG1) has been known as oncogene in a verity of cancers. Nevertheless, the expression and role of PTTG1 in OSCC progression remains largely unexplored. In this study, clinical datase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genetic impact of PTTG1 on OSCC progression and to identify its functional roles in OSCC cell lines.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PTTG1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 and OSCC using databases form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and the Gene Expression Omnibus (GE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TTG1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bilities in OSCC cell lines, following the knockdown of PTTG1 in HSC-2 and SCC-9 cell lines, we analyzed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tic abilities of OSCC cells using EdU and Boyden chamber assays. Our database analysis revealed that PTTG1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tumor tissues compared to normal tissues. Moreover, its expression correlated with clinical parameters of OSCC. In vitro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depletion of PTTG1 suppressed the ability of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both HSC-2 and SCC-9 cell lines.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TTG1 may act as an oncogene in OSCC.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PTTG1 expression in OSCC patients.
        4,200원
        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cormycosis is an aggressive opportunistic fungal infection that can be found in the oral cavity. The fungus usually affects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tends to invade and block blood vessels, resulting in significant tissue necrosis and invasive mucormycosis. However, a non-invasive form of mucormycosis is mostly asymptomatic and found accidentally in the immunocompetent normal hosts, manifested by localized overgrowth of the fungus.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asymptomatic non-invasive mucormycosis of the mandible that was incidentally diagnosed in wide resection specimen of liver transplant patient who had previously underwent surgery of excision and simultaneous alloplastic bone graft due to mandibular ameloblastom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pecimen revealed that there was neither vasculitis nor tissue necrosis, but numerous fungal hyphae were located only within the alloplastic graft materials in decalcified tissue sections.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life-threatening mucormycosi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it can be inactive or reactivated depending on the immune state of patients.
        4,000원
        3.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of the pancreas (BD-IPMN) without malignant features rarely developed into invasive cancer. However, invasive cancer is aggressive once an invasive change occurs. We report three cases of invasive cancers which developed in patients with BD-IPMN and they showed grave clinical courses.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D-IPMN < 3 cm without malignant features on imaging. Invasive cancer was detected at 2.5 years, 3.0 years, and 4.0 years after BD-IPMN detection in each patient. The intervals of invasive cancer and the last follow-up were 9 months, 3 years, and 1.5 years in the three patients, respectively.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ocally advanced pancreas invasive cancers and were treated with palliative chemotherapy or conservative management. The patients died at 3 months, 9 months, and 10 months after the diagnosis of invasive cancers, respectively. We report three cases of invasive cancer developed in BD-IPMN patients and followed fatal courses.
        4,000원
        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onic hyperplastic candidiasis (CHC) is characterized by epithelial hyperplasia of the oral mucosa associated with candidal hyphae. The immune status of host is one of the factors that induce clinically evident candidal infection. Host defense mechanisms include inflammatory cells, epithelial barrier, and antimicrobial peptides such as human beta 2 defensin (hBD-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densities of CD4+/CD8+ T lymphocytes and hBD-2 expression of epithelial cells in CHC.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on 10 cases of CHC using CD4, CD8 and hBD-2. Ten specimens of chronic mucositis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and went through the same examination. hBD-2 was expressed in the spinous cell layers and the keratin layers of 7 CHC patients, while the epithelium of chronic mucositis did not demonstrate the hBD-2 expression except for one case. Also, hBD-2 expression was stronger when the hyphae invaded the upper stratum spinosum (P =.019). However, the densities of CD8+ T lymphocy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C patients, suggesting that the ability of CD8+ T cells to enter the epithelium and target the pathogenic hyphae was decreased in CHC. Increased hBD-2 expression seeme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andidal infection, while not promoting the cell-mediated immune reaction in CHC.
        4,000원
        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BRECs에서 AGEs로 유도된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있어서 AuNP의 역할에 관한 연구이다. 소 망막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분리하고,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로 확인하였다. Wound migration assay는 BRECs의 이동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Tube formation은 on-gel sys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AuNP의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AGE-BSA은 세
        4,000원
        7.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암 발생 이 후, 암세포외 섬유모세포는 cytokine. 성장인자 둥 분자를 통하여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 최근 cbemokines의 신호전달이 종양세 포와 기질 미세환경의 상호작용에서 암세포의 성장, 침윤, 이 동애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보고 되였다 본 연구에서 마이크로 어레 이 를 통하여 구강펀평 세 포암종 암세포외 구강편평 세 포암종 암조직에서 유래된 섬유모세포의 공동배양에서 섬유모세포 존재할 경우 구강 편평세포암종 세 포주애서 chemokine receptor를 포함한 다수의 유전자들이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암세포가 존재할 경우 섬유아세 포에서 는 c h e mokines을 비 롯한 디수의 cytokine 유선자들의 발현이 증가 되였음을 알게 되었다. 암세포와 섬유모세포사이의 상호 작용 에서 영힘을 주는 chemokin않의 종류 및 역할을 진일보 분석 하였다 구강편평세포암종 (OSCC) 세포주 YD-lOB, YD• 38, HSC-2, HSC-3, Ca9-22 빛 구강편평 세 포암종에서 유래힌 섬유모새포 (cancer derived fibroblast; CF) 를 사용하였다, 마이크로 어레이와 re al- time PCR를 통하여 암세포외 CF의 공동배양에서 발현에 변화가 존재하는 chemokines과 cbemokine receptor를 분석하였고, Trans well assay와 wound hea ling assay을 시행하여 CCL7의 암세포 침윤에 미치는 역할을 검토하였고‘ F-actin 형광염색으로 암세 포 세포 골격의 액틴세사의 활성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ELTSA를 이용하여 CCL7 분비량 측정 및 발현대상을 확인하였으며 면역조직화희염색으로 구강편평세포암종 조직 에서 CCL7의 발현 을 조사하였다 암세포와 섬유모세포의 공동배양에서 CF 존재 시 암세포 에서 ch emokine recep tor를 포함한 다수의 유전자‘ CCR5. CEECAM1 동의 발헌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암세포와의 공동배양에 의해 CF 에서는 암세포가 존재 시 CCL7‘ CXCL1, CXCL3 등의 c h emokines의 발현이 증가 되었다 특히 HSC-2, YD-IOB‘ Ca9-22 OSCC 암세 포와 CF의 공동배양에서 CF의 CCL7의 발현이 증기히였다 Trans well assay와 wound healing assay 실험에서 CCL7를 처리한 OSCC 세포의 이 동은 농도 의존적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a nti -CCL7에 의하여 억제 되었다 F-actin 형광염색에서 CCL7 침가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세 포 골격 의 액틴세사의 활성을 나티내어 세포돌기가 증가도어 이동성 증가를 형태학적으로 확인하였다 CF와 구강암세포(YD- 10B, HSC-2. HSC-3‘ Ca922‘ YD- 38) 와의 공동 배양에서 CCL7 의 발현은 모두 증가 되었고 CCL7의 발현은 CF 에서 분비 되였음을 확인하였다 정상 치 은 조직 9건 OSCC 암환자의 조직 16건에 대하여 조직면역화학염색을 진행한 결과 암환자의 조 직애서 7 례 (43%) 에서 CCL7 말현 을 관칠하였다 구강편평 세 포암종 암세포의 침윤은 암세포 자극에 의해 섬유모세포가 활성화 되어 CCL7의 분비를 촉진하고 섬유모세포에 의하여 분 비된 CCL7은 암세포에 영향을 주어 암세포로 하여 금 세 포골격 의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세포이동을 촉진하여 암세포의 침윤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8.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trix metalloproLeases(MMPs) a re a family of zinc dependent enzymes with the capacity to degrade extracellular matrix prote ins. MMPs express ion correlates with cancer cell invasiveness and metas taslS The purpose of our sωdy was t。 determine the role 0 1' stroma l fïbrob lasts in ca ncer cell invasi on by examining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2 and -9 We used a YD- lOB squalllous ca rcinoma cell line that was est a blished in Yonsei Univer s ity ‘ College 0 1' Dentistry. We then appli ed two types of s lrolllal fibroblastsdel‘ ived from normal gingival tissue and cancer supporting ti ss ue Morphologic examination of fïbroblas ls was carried out by rnicroscopy and doubling time was measured by MTI assay . YD-lOB cells were cultured by lh ree-d imensional culture using collagen gel with two types of flbroblasts To examine the stromal - mesenchyma l inleraclion. we used a direct co-cul tu re system between YD-IOB cells and fibroblasts. Gelatin zymography was performed to exa llline MMP-2 a ncl 9 activit ies. We found that cancer-derived fibroblasts di splay stel late-shaped cells wi th many cyLopl asmic processes. whereas normal gingi val fibroblasts were spindle shaped. The c1oubling time of bOLh lïbroblasL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ree-dimensional co-culture 0 1' ca ncer cells with ca n cer- c1erived fïbroblasts induced the formation 0 1' multi - Iayered atypical cells, as compared to culturing with normal gin gival f lbrobl asts Both three-c1 imens ional culture ti ss ues inclucecl the invasive gro₩th of cancer cells into the dermal eq uival enLs . Gelatin zymography s howecl that gelatinolytic activity of MMP-2 was activaterl in both co-culture models. However , MMP-9 ac li vity was not a lterecl in YD-lOB carcinoma cells In conclusion. enhanced MMP-2 activity was inc1 uced by boLh cance r- c1eri vecl a ncl norlllal gingival fibroblasts. suggesting that the potential to invacle by stromal fibroblasts was noL l imilecl to ca ncer- c1 eri ved lïbroblasts
        4,000원
        14.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 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 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 μ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 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 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찰벼 4품종을 두 온도조건(저온; 15℃, 대조; 25℃)에서 왕겨의 유무에 따라(정조 및 현미) 발아특성을 조사한 결과, 현미 발아율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정조 발아율은 저온 에서 품종간 차이가 컸다. 종자를 침윤시키면 온도나 왕겨 의 유무에 관계없이 수분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30%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정체하는데 이때 정체기에 도달하는 시 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정조보다 현미가 빨랐다. 그러나 수 분정체기에 도달하는 시간은 품종간 차이가 있고 저온에서 차이가 컸다. 수분흡수시간은 발아율, 발아세, 발아속도, 평 균발아일수와 모두 높은 부의 상관을 보여 초기 수분흡수시 간이 빠를수록 발아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윤 24 시간 뒤 guaiacol peroxidase활성은 처리 및 품종간에 큰 차 이를 나타냈으며 발아세와 발아속도와 정의 상관이 있었으 나 최종발아율과는 상관이 낮았다. Catalase활성은 발아율, 발아속도 등과 상관이 매우 낮았으며, 용해성 단백질함량 및 maltose농도도 발아특성과 상관이 낮았다. 종자활력검사 (TTC활력검사)와 표준발아율검사(25℃)에서 발아율이 높 더라도 정조는 저온에서 품종간 발아율의 변이가 커 종자활력검사만으로 발아율을 예측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초기의 종자활력은 TTC검사와 guaiacol peroxidase활성을 함께 고 려하는 것이 더 정확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품종간 발아율 의 변이를 줄이고 발아속도를 높혀 균일한 발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정범위에서 가능한 온도를 높혀 수분흡수를 촉 진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