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2.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osslinked PVA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solution casting of the substituted PVA (SPVA),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PVA with glycidyl acrylate (GMA) without catalyst in different molar ratios [-OH(PVA)/GMA], follow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The chemical changes in the SPVA compared to PVA were confirmed from H-NMR and FT-IR analysis. Crosslinking degree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crosslinked PVA membranes also investigated by measuring gel fraction and dimensional change of the membranes under acidic and basic solution.
        3.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radiation crosslinking on the properties of cationic exchange membrane, the crosslinked SPS/TMPETA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solution casting of various composition of sulfonated polystyrene(SPS) prepared by sulfonation of polystyrene(PS) and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A) crosslinker followed by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embranes before and after radiation crosslinking were evaluated by measuring gel-fraction, ion exchange capacity, water-uptake and tensile strength. We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radiation crosslinking in SPS membranes improved the water uptake, and tensile strength.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membranes were also observed using DSC and TMA.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bial fermented cellulose gel, citrus gel(CG), was successfully fabricated to porousfoam by radiation treatment and freeze drying. The chemically induced radiation was used to createhighly porous foam and further freeze drying of the CG produced tough foams with interconnectedopen pores for use in tissue engineer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CG foam was controlled byvarying the irradiation dose and quenching temperature with pore size ranging from several micronsto a few hundred microns. Tensile strength and Gurley value of the CG foam were influenced byirradiation dose. These radiation induced CG foams are promising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4,000원
        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adiation by 60Co-γrays as well as the e thermal treatment on the dielectric deterioration in ethylene propylene rubber, insulating material for electric cables used in atomic power plants, charging discharging current, residual built- up voltage and dielectric properties are measu discussed in this study. Variance in the characteristic of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as a function of tem was observed in relatively high dose of irradiation. Since glass transition tem appeared at tens of degree Celsius below zero, the characteristic is attributed orientation polarization. Dielectric loss is gener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 irradiation in the characteristic of dielectric los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No d loss by thermal treatment was observed. Dielectric resistance decreases with increa of irradiation in the characteristic of charging current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be considered that dielectric resistance seems to be recovered by thermal treatm characteristic of discharging current as a function of time in the specimen less ir become similar to that of the unirradiated, when thermal treated. A peak is shown residual built- up voltage as a function of time, and the corresponding time of the shorten as increasing dose of irradiation.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corresponding the peak is lengthened by thermal treatment.
        4,000원
        7.
        200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lue of charge currnet, discharge current, Er' Er", residual voltage was measured inorder to investigate electric properties in Ethylene Prophylene Rubber for is irradiated C0 60γ ray 0~38.1 Mrad. The value of charge current and the discharging current of the EPR is influenced by C060 -γ - irradiation dose. The charging current and the discharging current of EPR increas, depending on the ratio of degradation. As the irradiatin dose is increased, the peak of residual voltage moves to the slorter time. The properties specific electric constant due to time variation was appeared dispersion by plentiful C060 - γ - irradiation dose. The increase of peak in Er" is attrib uted to the irratiation dose almost proportionally.
        4,000원
        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in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which were irradiated with the radiant capacity of 0~600 [kgy/h], have been mea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tmosphere (oxygen, air and vacuum) on electrical properti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increase as the amount of radiant capacity increases in air and vacuum atmosphere. This electrical property degradation can be speculated due to that the C=O radicals or impurities, which comes from during shaping process, may act as dipoles. On the other hand,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are shown to be higher in the amount of 1[kgy/h] than these in 10[kgy/h] in air atmosphere, because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can be increased as the exposure time is extended with slower rate. Under the same amount of irradiation, the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in oxygen atmosphere are shown to be higher than those in vacuum. This is possibly due to that the main chain can be broken by oxidation when it is exposed to the γ -rays.
        4,600원
        12.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F(Mg,Cu,Na,Si) 형광체의 γ선과 β선에 대한 TSEE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60)Co γ선에 대한 감도는 약 450 counts/mR이었고, 여러 가지 β선에 대한 TSEE 에너지 의존성은 β입자의 평균에너지 0.02MeV에서 0.8MeV 사이에서 ±10%이었다. 그리고 제작된 형광체 앞면에 7mg.cm 상(-2)의 인체 등가물질을 두 면 입사 β입자의 에너지에 무관하게 피부 흡수 선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3,000원
        1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량 증강 현상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특성과 증강 물질과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차입자 생성을 평가하였다. Geant 4, MIRD 두부 팬텀을 이용한 몬테카를로 전산 모사를 진행하였으며,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4, 6, 10, 15, 18, 25 MV X선을 선원으로 적용하였다. 10, 20, 30 mg/g의 금(aurum), 가돌리늄(gadoli nium) 증강 물질을 팬텀 내부 종양에 모사하였으며, 물리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이차입자 발생에 따른 입자 플루언스와 초기 에너지로부터 방사선가중인자를 고려하여 등가선량을 평가하였다. 방사선 선량 증강 물 질에 의한 상호작용은 고 원자번호에서 기인하여 광전효과에 의한 에너지 흡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 MV 이상의 에너지에서는 광핵반응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팬텀 내부에서 양성자, 중성자와 같은 이차입자 발생의 증가를 보였으며, 중성자에 의한 등가선량이 최대 42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선량 증강 현상에서의 에너지 전달, 흡수의 물리적 과정을 모사하여, 증강 현상에서 발생 하는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in-vivo, in-vitro 선량 증강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5.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산업폐자원과 관련한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유리는 미생물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매립은 적합하지 않아 폐유리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폐유리를 잔골재로 사용하고 폐유리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기 위한 킬레이트 수지를 혼입함으로써, 차폐 채움재의 강도, 건조수축, 알칼리-실리카반응, 중금속 용출 등을 평가하여 폐유리를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차폐 채움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시험결과, 폐유리를 잔골재로 사용하였을 경우 강도 발현에 효과적이었으며, 킬레이트 수지를 혼입하였을 경우 강도 발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킬레이트 수지를 혼입하였을 경우 건조수축의 개선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알칼리-실리카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용출 시험결과, 한국 KSLP 시험법에서는 중금속 용출 허용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였으나, 납의 경우 미국 ANSI 67-2007a의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여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6.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첨단산업의 발전으로 다양한 종류의 산업폐기물이 빠르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업폐기물 중 중금속을 함유한 고밀도의 폐 브라운관 유리는 재처리 비용과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전량 매립‧처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이 함유된 CRT 폐유리를 잔골재로 대체한 모르타르 시험체의 기초 물성과 방사선 차폐 성능을 분석하여 차폐 재료로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금속을 함유한 CRT 폐유리를 잔골재로 대체한 시험체의 겉보기 밀도가 상승하였으며,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또한, 납 성분이 다량 함유된 폐유리 대체 시험체는 일반 모르타르 시험체보다 저에너지의 차폐 성능이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122KeV·57Co 방사선원에 대해서는 일반 모르타르 시험체보다 2.5배 높은 선형감쇠계수를 나타냈다.
        17.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통중인 다양한 형태의 원료물질 또는 공정부산물들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약 220 여 개, 총 16 종의 표본 시료를 선정하였다. 해당 시료들에 대하여 LaBr3 섬광검출기를 이용한 에너지 스펙트럼 측정과 에너 지 분산형 X-선 형광 분광기를 이용한 U, Th, K와 물질의 주요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HPGe 검출기를 이용하여 234Th, 234mPa 및 214Bi 등의 우라늄 붕괴계열 핵종들과 228Ac, 212Pb 및 208Tl 등의 토륨 붕괴계열 핵종들 그리고 40K 등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원료물질 및 공정부산물의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추가적으로 ROI구간별 계수율과 원 소성분함량, 방사능농도와 같은 특성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스크리닝 장비를 이용한 방사능 농도 분포 유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특성 데이터베이스는 천연방사성핵종 분석을 위한 절차 및 방법을 수립하는데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천연방사성핵종 분석에 대한 정확성 및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