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smetic certification marks on consumer behavior. The underlying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it explores whether the certification mark inserted into the cosmetic package—such as marks denoting quality assurances, ethical practices (specifically, pertaining to animal testing), and recycling packaging—affects consumer responses. Second, it investigates whether a higher number of certification marks leads to heightened positive consumer responses. Third, it analyzes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certification mark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tification marks and consumer responses. In the pretest, certification marks with higher recognition were selected as stimuli, and a survey involving a total of 550 male and female consumer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and post-hoc te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s to products based on the certification marks inserted in the cosmetic packaging. Compared to clusters without a certification mark, groups with two or more certifications (recycling certification + ethics certification, recycling certification + quality certification, recycling certification + ethics certification + quality certification) exhibit significant consumer responses. Second, more certification marks did not result in an increase in positive consumer responses.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cosmetic certification knowledge on the certification mark-consumer response relationship was not f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duct promotion strategies that leverage cosmetic certification marks as a marketing tool.
        5,800원
        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international standard trend for cold storage and proposes evaluation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K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so that high quality products can be supplied to consumer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ld stor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refrigerator unit, refrigerator warehouse, and cold chain. Each similar standard was analyzed and studied. Among them, AHRI's international standard is the most advanced standard, so test methods and conditions are matched. Finally, the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for the refrigerator unit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using the analyzed method were proposed.
        4,000원
        6.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inseng has a unique production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those used for other crops. It is subject to the Ginseng Industry Act., requires a long-term cultivation period of 4-6 years, involves complicate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whereby ginseng is not produced in a single location, and many ginseng farmers engage in mixedfarming. Therefore, to bring the production of Ginseng in line with GAP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the on-site practices of Ginseng farmers according to established control points, and to provide a proper action plan for improving efficiency. Among ginseng farmers in Korea who applied for GAP certification, 77.6% obtained it, which is lower than the 94.1% of farmers who obtained certification for other products. 13.7% of the applicants were judged to be unsuitable during document review due to their use of unregistered pesticides and soil heavy metals. Another 8.7% of applicants failed to obtain certification due to inadequate management results. This is a considerably higher rate of failure than the 5.3% incompatibility of document inspection and 0.6% incompatibility of on-site inspection, which suggests that it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obtain GAP certification for ginseng farming than for other crops. Ginseng farmers were given an average of 2.65 points out of 10 essential control points and a total 72 control points,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2.81 points obtained for other crops. In particular, ginseng farmers were given an average of 1.96 points in the evaluation of compliance with the safe use standards for pesticides, which was much lower than the average of 2.95 points for other cro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ginseng farmers to comply with the safe use of pesticides. In the other essential control points, the ginseng farmers were rated at an average of 2.33 points, lower than the 2.58 points given for other crops. Several other areas of compliance in which the ginseng farmers also rated low in comparison to other crops were found. These inclued record keeping over 1 year, record of pesticide use, pesticide storages, posts harvest storage management, hand washing before and after work, hygiene related to work clothing, training of workers safety and hygiene, and written plan of hazard management. Also, among the total 72 control points, there are 12 control points (10 required, 2 recommended) that do not apply to ginse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inappropriate to conduct an effective evaluation of the ginseng production process based on the existing certification standards. In conclusion, differentiated certification standards are needed to expand GAP certification for ginseng farmer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ore systematic and field-oriented manner to provide the farmers with proper GAP management education.
        4,300원
        7.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are radically facilitating digital convergences as the integration of human, equipment, and space in the current industry 4.0 era. In industry 4.0 environment,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 with networked computing technology can be simultaneously accessible even in limited physical space. Two main benefit points out of these information ar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their online transactions either buying things online or selling online. Even though there exist so many benefits that information technology can create for the people doing business over the internet there is a critical problem to be answered. In spite of many such advantages, however, online transactions have many dysfunction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ccount hacking, and cybercrime. Without preparing the appropriate protection methods or schema people reluctantly use the transaction or would find some other partners with enhanced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novel selection criteria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reliable means of authentication against the expected risks under on-going IoT based environment. Our selection criteria consists of 4 steps. The first step is services and risk identification step. The second step is evaluation of risk occurrence step. The third step includes the evaluation of the extent of damage. And the final step is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risk. With the help of the above 4 step-approach people can systematically identify potential risks hiding in the online transactions and effectively avoid by taking appropriate counter actions
        4,000원
        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 사회가 요구하는 작업치료서비스의 질 관리와 역량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 하기 위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 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평가항목은 문헌고찰 및 자료조사를 통하여 작업치료교육인증기준에 대한 6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항목의 타당도는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차 조사를 통하여 회수된 84부의 타당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포커스집단 회의를 통해 내용을 재검토하고 수정 보완하여, 작업치 료 핵심실무역량 평가요소 및 항목을 포함하여 최종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최종 평가항목은 작업치료교육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은 총 6개 영역, 15개 부문, 31개 하위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항목 별 타당도 평균은 3.3~4.0점까지의 범위로 최종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0.8~1.0까지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평가항목은 상담/평가 및 중재/기타 2개 영역, 21개 하위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타당도 평균은 3.0~3.6점까지의 범위로 CVI값은 1.0이었다. 핵심실무역량 평가 방법으로는 실제 테스트가 상담/평가에서는 40.6%, 중재/기타에서는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을 확립하고 적용하여 역량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권장하고, 국내 모든 대학의 작업치료 교육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치료서비스의 국제적 호환성 및 사회적 책무성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4,800원
        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추와 오이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용수, 작물 (상추, 오이), 장갑, 포장재 (비닐)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평가하고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GAP 인증 농가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상추 농장의 경우 위생지표세균 오염도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 보다 조금 낮거나 유사하였고, 병원성미생물인 S. aureus와 B. cereus는 GAP 인증 농가의 토양과 용수에서 미인증 농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오이농장은 토양의 대장균군과 B. cereus, 장갑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가 GAP 미인증 농가보다 GAP인증 농가에서 높았고, 그 외에는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가 유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결과를 비교했을 때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GAP를 인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에서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보다는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 모두 농업용수의 관리와 작업 시 사용되는 작업자의 장갑 관리에 있어서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농산물의 미생물 오염방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GAP 인증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에 관한 타당성과 향후 평가인증원의 설립과 운영정책 및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 법: 2015년도 12월 5일부터 15일간 전국의 안경광학과 교수 91명(남자 31명(34.1%), 여자 60명 (65.9%))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검사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지는 SPSS 15.0 사회과학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2명(80.5%), 아니오가 16명(17.8%)으로 나 타났으며, 평가인증원 설립의 필요성은 타 기관에서 설립되어 운영되는 경우 안경광학과의 정체성 위협에 대비하여 필요가 35명(47.9%), 의료 직종과의 업무범위 논의 및 업무범위 확대를 위해 필요가 20명(27.4%), 교육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가 13명(17.8%)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등교육법이 개정됨으로써 의료인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은 의무적 으로 평가인증에 받아야 함에 따라 타 직종과 차별화된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안경광학과의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 및 보증을 위해 한국안경광학과 평가 인증원 설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형태 및 구성방법은 독립적이 고 객관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독립법인형태와 인적구성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200원
        1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increasing awareness of health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sumers turn their attention to organic and eco-friendly products. The increased service industry incurred partly by sophistic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has resulted in having the service industry subject to environmental certification in a bid to promote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has contributed to reducing environment loads and energy costs as well as the amount of wastes. The gradually increasing maternity care centers have elevated environment loads and caused a variety of diseases due to a lack of health control and improper treatment of chemical substanc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an official certification of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s and to present the basic operational proposal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organic and eco-friendly industrial certification programs. Due to the absence of studies on certification programs for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s, this study has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certifications, including Organic SPA, GRA, and Nordic Swan, and domestic eco-friendly hotel service certification standards. The evaluation areas have been classified into 19 or less categories, including 19 items for Organic SPA, 8 items for GRA, 7 items for Nordic Swan and 7 items for eco-friendly hotel service certification, and common evaluation areas have been grouped into categories and health control and education management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maternity care center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evaluation areas, which has eventually produced six different categories. When it comes to select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different categories, what are neither used in nor applicable to maternity care centers have been excluded and similar items have been combined and eventually 41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have been selected following in-depth interviews with relevant professionals. Further researches into developing the evaluation system to properly evaluate and certify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mong operators of maternity care centers and relevant professionals will be appreciated.
        4,000원
        1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국내 작업치료(학)과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교육품질인증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들의 세계작업치료사연맹(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FOT) 인증 확 대 및 국내 실정에 맞는 교육품질인증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2016년 1월 20일부터 4월 25일까지 메일을 통해 국내 작업치료(학)과에 소속된 모든 교수들 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총 103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미비한 8부를 제외하고 총 9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95명의 응답자 중 80명(84.2%)이 WFOT 인증평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국내 자체의 교육품질인증에 대해서도 73명(76.8%)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국내 자체의 작업치료 교육품질인증이 실시될 경우 응답자의 75.8%인 72명이 평가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영역에서도 교육의 질을 확보하고 교육수요자에게 교육에 대한 신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잣대의 교육품질평가가 필요하다. 합리적인 평가기준의 확립과 적용을 통하여 국내 모든 대학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신입 작업치료사의 직무수행 능력을 신뢰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4,200원
        13.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가정책 아젠다인 ʻ저탄소 녹색성장ʼ은 국가의 중요한 비젼으로 전정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으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국토, 교통의 조성이 중요한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 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가장 광범위한 대상인 도로시설물에 대한 녹색도 측정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녹색도로인증제가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녹색도로인증제는 도로의 지속가 능성과 환경성을 통합적으로 결합한 제도로 이러한 관점에서 도로의 건설 및 운영측면에서 세부지표별로 계량화하고 점수화하여 도로 전체의 녹색등급을 설정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국내 도로정책부분에서도 ʻ녹 색도로ʼ 구축을 지향하고는 있지만, 현재 국내 도로의 녹색도로 구축 수준을 평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외사례와 비교하여 녹색도로 구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제시가 부족과 녹색도로 도달을 위한 평가기준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국외사례 벤치마킹 및 국내 녹색도로기술의 니즈를 조사하고 기본적인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진과 국내 엔지니어링 및 시공회사 전문가와 함께 국내 적 용성 검토를 수행하여 평가시스템 대분류 및 평가항목을 개발하였으며, 일부를 제외하고 큰 틀에서 국내 현황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로설계 및 시공경험이 풍부한 국내 엔지니어링 및 발주처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국내 인증제 적용을 위한 평가요소별 중요도 결정을 실시하였으 며,‘녹색환경(0.35)ʼ과 ʻ녹색도로설계/포장기술(0.27)ʼ영역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1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 to meet the greater retailer’s supplier assessment requirement So, this study analyze the greater retailer’s requirement for supplier assesment and research global standard which is used instead of supplier assessment requirement that is recognized by global retailers initiative. Next, this study analyze domestic aquaculture certification requirement and compare the global standard with the domestic requirement by using The Most Similar Systems Design. As a result, this comparing has founded all of two domestic certifications are similar to global standard’s Good Aquaculture Practice module but those are a little bit different from System Element modul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ree alternative. First,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domestic aquaculture certification system. Second, the introduction of global aquaculture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as supporting by government. Third, development of new standard in accordance with global food standard. This study has major implications for research into development of domestic aquaculture standard.
        4,800원
        1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 종사자들의 조력인식과 조력을 받은 후 보육종사자 들의 조력만족도는 보육종사자변인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보육 시설 종사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조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 지도를 받을 수 있으므로 조력이 필요하고, 희망하는 조력기관으로는 평가인증사무국과 보육정보센터를 지지하고 있었다. 둘째, 평가인증 조력도움을 원하는 영역으로는 보육환경, 안전, 보육과정, 상호작용 나타났으며. 조력자의 자격은 이론과 현장경험에 일정한 자격을 갖춘자를 원했고 보육시설에 전문조력자 를 직접 지원하는 방식을 지지하고 있었다. 셋째, 조력자의 자질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인 개선사항을 인식하고 파악하는 능력을 가진 자를 가장 선호하였고 , 교사를 존중하고 친밀하며 신뢰적인 관계형성에 대한 부분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평가인증 영역별 조력 만족도는 보육환경, 운영관리, 상호작용 조력은 집단 교육 및 강의참가에 대한 조력이 많았고 만족도도 높았다.
        5,400원
        1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0년 1월 현재 평가인증시설의 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평가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사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여 평가인증시설의 요구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따른 사후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규모에 따라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 인증 통과 후 인식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평가인증 후 사후관리에 대한 질 평가는 대체적으로 모든 평가인증 영역에 걸쳐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시설들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점은 각각의 상황이 다른 상태에서 실시되어 각 기관의 평가결과가 다른 것으로 유추 할 수 있었다. 셋째, 시설규모에 따른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통과 인식과 사후유지관리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사후유지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보육시설의 종사자인 보육교사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요소이기 때문에 보육교사들이 인증의 과정을 통해 스스로 성숙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해야 하겠다. 이러한 보육교사들이 평가인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도록 하는 과정은 평가인증제의 영유아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전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17.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rapid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digital convergence are changing to ubiquitous network society. Ubiquitous society, expand the temporal and physical space and develops many good thing. but, Hacking, cyber crime, increased privacy, and many problems will occur. In this study,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appropriate authentication method for developing risk assessment procedures of the service is provided to step 4. (Services, and risk identification step, evaluation of risk-occurrence, evaluation of the extent of damage, Assessment of the level of risk) So, we can easily use the importance and risk to evaluate numerical value of the final risk result.
        4,000원
        18.
        200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als with conformity assessments requirements for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bodies. This study also introduces conformity guidances of product certification and code of good practice. This paper presents general requirements for accreditation, recognition and registration bodies of environmental quality system and product certification.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