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1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lexicalization of economic terminology in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lens of onomasiological word formation.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has focused on surface-level lexical differences, this study highlights how identical concepts are realized differently in language. The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onvergence (48%), partial divergence (31%), and divergence (21%). Partial divergence stems from differences in orthographic norms and language purification policies, while full divergence reflects deeper disparities in language policy, economic systems, and ideology. Notably, North Korea’s emphasis on native vocabulary under its "language refinement" and Juche linguistic theory is evident.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efforts toward linguist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6,700원
        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meanings of the uncanny in digital fashion, exploring its potential as a significant aesthetic device within contemporary fashion discourse. Drawing on theoretical frameworks by Freud, Heidegger, and Lacan, the study examines how digital fashion imagery disrupts conventional aesthetic norms through uncanny visual expressions that evoke psychological tension and perceptual ambiguity. A combined methodology of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systematic empirical case analysis was employed. A total of 96 digital fashion examples were collected from platforms including Google, YouTube, Showstudio and Instagram between January 2020 and March 2025. Selection criteria specifically targeted images exhibiting morphological variability, sensory instability, and ontological uncertainty, which are the three co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dentified through both theoretical insights and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e consistent presence of thes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digital fashion works and further illuminated their aesthetic implications: digital fashion reconfigures the sensory framework, blurs ontological boundaries, and expands aesthetic experience by challenging viewers’ perceptual and cognitive expect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deepens understanding of digital fashion aesthetics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uncanny within digital contexts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of digital fashion to expand aesthetic boundaries and possibilities for expressions based on sensory experiences.
        5,4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vers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ignatur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fashion while primarily brand focusing on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To this e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news articl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5 emerging Korean designers were conducted. The news article analysis revealed six types of signatures: design based on formative sensibility expression, strategically constructed designer/brand identity, brand practices carried by cultural and spatial experiences, craftsmanship and custom production,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designs, and text-based visual symbolic systems.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identified five types of signatures among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design expressions evolving from designer and brand identity, production emphasizing practicality and craftmanship, brand experiences based on spaces, visual narrative symbolism, and limited-edition items. Unlike established fashion brands that focus on fixed visual or textual elements through strategic planning by the established fashion brands,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gradually and dynamically develop signatures which are grounded in personal philosophy, ethical values, and ongoing interaction with consum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signatures of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are not merely aesthetic repetitions, but are instead representations of evolving and situated expressions that interacts with and responds to socio-cultural changes and contexts.
        5,400원
        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its historical association with oppression, fear, and marginalized femininity, modern reinterpretations of the figure of the witch position it as a symbolic entity combining historical context and literary imagination. This study analyzes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that incorporate witch imagery, focusing on the designs' representational method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t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evolving perceptions of witches across different eras as well as visual and formal analyses of post-2010 fashion collections, using image and text materials from Showstudio.com and other online sources. In various realms of visual culture–including art, film and drama, advertising, product design, and halloween costumes–the image of the witch is no longer confined to traditional iconography. Instead, it is continuously reimagined, taking on expanded and multifaceted meanings that attest to its unique and evolving nature. This study identifies two primary expressive types: direct iconographic appropriation, employing traditional motifs such as pointed hats, black cloaks, and pentacles; and metaphorical suggestion, using dark tones, deconstructed silhouettes, and layered styling to imply the witch's essence. The analyses also highlight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empowered sensuality, expressed through sheer fabrics and dramatic makeup; supernatural mysticism, combining natural and occult symbols; and uncanny playfulness, which subverts traditional motifs through fantasy and humor. Ultimately, the witch in contemporary fashion serves as both a stylistic code and a visual signifier of cultural narrative and identity. This reimagining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aesthetic systems in fashion and broadened the visual culture and design innovation discourse.
        5,100원
        5.
        2025.05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간 힙합 문화가 중국 전역에 빠르게 확산되면서, 민남어 랩은 점차 대표적인 지역 음악 표현 형식으로 자리 잡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토 정체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 기 위해 점점 더 많은 래퍼들이 지역 방언을 활용한 창작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중 민남어는 복잡 한 성조 체계, 풍부한 어휘 구조, 강한 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힙합 음악과 결합하면서 독특한 언어 미학과 표현 방식을 형성해왔다. 본 연구는 민남어 랩의 대표적 작품 여섯 곡—<少年家>, <放蕩不羈>, <保險櫃>, <少年ㄟ安啦>, <Gang電仔>, <大丈夫>—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텍스트 분 석, 사례 분석 및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음운 특성, 어휘 사용, 통사 구조, 문화적 표상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민남어가 현대 공연 맥락 속에서 어떻게 언어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민남어 랩의 언어 표현에서 독창성은 다음 다섯 가지 측면에서 두드러지 게 나타난다. 첫째, 성조 체계가 곡의 리듬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며, 둘째, 비음 발음이 청각 적 표현력을 강화한다. 셋째, 음운 변화가 언어의 운율감을 높이며, 넷째, 독특한 한자 표기 방식 이 더 깊은 감정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생략과 도치 등의 문장 구조는 리듬적 긴장감과 감정 표현을 극대화한다. 본 연구는 민남어와 랩 음악의 결합이라는 기존 연구의 공백을 일정 부 분 보완하였을 뿐 아니라, 음악 텍스트에서 중국어 방언의 언어적 기능과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어 언어학적 시야와 학제 간 연구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는 중국 방언 문화의 생동감 있는 전승과 창조적 계승을 촉진하는 새로운 문화적 실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6,900원
        6.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야금산조에서만 나타나는 말발굽소리의 묘사적 인 표현을 연구한 것이다. 초기 산조, 중기 산조, 후기 산조를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시기별로 악장(장단)구성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초기산조에 비하여 60∼70년대 후기 산조는 세산조시, 단모리와 같은 빠른 악장(장단)의 확장이 나타났다. 이러한 빠 른 악장(장단) 구성에 적합한 빠른 연주 기교의 필요성에 따라 묘사적인 표현이 말발굽소리의 생성 배경이 되었다. 말발굽소리의 특징으로는 장단과 연주법이 있다. 첫째, 12/8 박의 자진모리와 4/4박의 세산조시, 단모리장단에 출현한다. 둘 째, 연주법이다. 오른손 주법으로는 con sordino와 senza sordino가 있으며, 왼손 주법으로는 본래의 줄에서 한 줄 밑으 로 눌러내는 방법과 다시 원래의 줄로 돌아가는 기법의 발현법 이 말발굽소리를 표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말발굽소리는 60∼70년대 후기 산조에 해당하는 최옥삼류, 김병호류, 김죽파류, 강태홍류, 김윤덕류의 산조에서 나타난다. 각 산조마다 악장, 장단 수, 출현음, 연주 기교에 차이가 있었 으며, 이에 따라 말발굽소리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중 최옥삼류는 다른 산조에 비하여 출현음, 장단 수, 시김새의 표 현, 선율 구조가 가장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말이 뛰는 모양과 경로에 대한 이야기를 하청과 상청선율, 다양한 연주기법을 활용하여 말발굽소리의 묘사적 표현을 가장 섬세하 게 표현하고 있다. 향후, 말발굽소리 이외 묘사적 표현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 요할 것이다. 예술계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 소리를 탐색하고 전통음악을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 란다.
        5,500원
        7.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through sensory experiences,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s exhibition Sleeping beauties: Reawakening fashion. It aims to explore the creative and innovative potential of fashion design that utilizes sensory experiences while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future fashion exhibitions and the design field. The research scope includes 220 garments and accessories featured in the exhibit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examines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s of olfactory, tactile, visual, auditory, and multi-sensory experien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olfactory experiences enhance emotional engagement by integrating fragrance with storytelling, while tactile ones increase immersion through fabric texture and structural elements. Visual experiences strengthen aesthetic appeal and narrative through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nd lighting effects, while auditory ones convey the emotional messages of fashion design using sound and music. Additionally, multi-sensory experiences combine multiple sensory elements to provide viewers with an immersiv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This study confirms that sensory experiences expand the creative possibilities of fashion design and suggests new exhibition strategies that integrate sustainability and digital technology. Beyond simple stimuli, sensory experiences foster emotional connection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fashion design’s artistic and cultural value. Therefor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sensory experiences with creative approaches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to amplify the social and artistic impact of fashion design.
        4,9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의 직유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語文 은 중국의 문화, 역사 등을 이해하는 기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내용을 간추리면 첫 째, 직유 표현의 연결어의 빈도수를 알아보았다. ‘像’이 가장 많고, 학년별로 꾸준히 교재에 등장하였다. 이어서 ‘好像’, ‘像∼一樣’, ‘如’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각 분류 에서 시각적 표현이 가장 많고, 청각적 표현이 그 다음이었다. 시각적 표현은 색깔, 모양, 크기, 양이 중심이었고, 청각적 표현은 자연의 소리가 중심이었다. 셋째, 추상 성에 따르면, 구체적 사물을 구체적 사물로 비유하는 것이 가장 많았고, 추상적인 것 을 추상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문화적 특징에서 살펴본 9개의 표현은 모두 시각적이었다. 그리고 직유 표현의 비유 대상을 기준으로 할 때 특징은 ‘별’, ‘바다’, ‘거위’, ‘비취’, ‘기둥’, ‘비단’ 등이다. 語文의 직유 표현은 비유 대상 기 준으로 인류의 보편적인 사고와 중국 고유의 문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6,1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글로벌화의 관점에서 한국의 부산국제영화제와 중국의 상하 이국제영화제 포스터 디자인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문화 상징과 색채 사용을 중심으로 두 국가 영화제 포스터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문화적 표현의 차이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틀로 Schmitt의 전략적 경험 모듈(SEMs)을 활용하고, 정량적 색채 분석을 위해 한국표준색채분석 (KSCA)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각적 상징이 어떻게 문화적 상징성과 감 성적 공감을 전달하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부산영화제 포스터는 한색 계열을 선호하여 이성적이고 미니멀한 현대 미학을 반영하고 있으며, 상 하이영화제 포스터는 난색 계열과 풍부한 문화적 상징을 통해 강한 국가 정체성과 감성적 매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글로벌 화의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 영화제의 브랜드 포지셔닝 및 디자인 전략의 차별성을 강조하며, 국제 영화제 포스터에 문화 상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통찰과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8,100원
        10.
        202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외모관심도와 자기표현 욕구가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 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은 2024년 8월 1일부터 2024년 9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2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고 리커트 5점 척도 를 사용하였다. 첫째, 여고생의 외모 관심도와 자기표현 욕구는 모두 자아존중 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관심도 와 자기표현 욕구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여고생의 자기표현 욕구가 외모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표현 욕구가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셋째, 여고생의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 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부모나 교육자는 여고생들이 외모관리행 동에 대한 올바른 판단하에 외모관심과 자기표현을 과하거나 지 나치지 않게 표출하여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만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고생들은 질풍노도의 사춘기 단계에 있고 감정조 절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기표현 단계에서 부정적인 감정에 휘말 릴 수 있으며, 따라서 부모나 교육자는 솔직한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열린 자세로 외모에 대한 건강한 인식과 올바른 개념을 정 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8,4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문화는 한 국가와 민족의 근본이며, 민족 정신의 중요한 구 성 요소이다. 오늘날 세계의 다원화된 문화 환경에서 전통문화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민족의 문화적 기반이자 고 유한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의 전통 문학 명작에는 풍부한 내적 의미가 담겨 있어 현대 미술 창작의 중요한 모티프가 되고 있다. 조각 작품 《경양강상(景陽岡上)》과 《도발수류(倒拔垂 柳)》는 고전 문학 명작 《수호전(水滸傳)》에서 소재를 가져왔으 며, 원작을 존중하는 바탕 위에서 전통문화 요소와 현대 예술 기법 을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새로운 시대적 배경 속에서 전통문화를 계 승하고 혁신을 시도한 유익한 작품이다. 문화의 전승은 혁신과 분 리될 수 없으며, 이 작품들은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통해 전승과 혁신을 병행하고, 현대 조형 예술 기법으로 전통 문화의 매력을 충 분히 보여준다. 중국 전통 예술에서 형태 창작에 대한 의상적(意象 的) 표현은 더욱 독특한 형식미와 깊이 있는 문화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경양강상(景陽岡上)》과 《도발수류(倒拔垂柳)》는 창작 과 정에서 전통 조각 기법을 넘어서 참신한 형식 언어를 사용하였으 며, 구성, 인물 표정의 조형, 동적 표현과 정적 표현의 조화, 전체적 간결함과 부분적 세밀함의 결합, 이미지 경계의 실루엣 처리, 인물· 동물·배경의 형태 구성, 전통 예술 요소와의 융합 등 여러 측면에 서 혁신적인 시도와 사고를 담고 있다. 무송(武松)과 노지심(魯智 深)의 형상에는 의상적 조형 기법을 적용하였고, 전체적인 형상은 간결하게 요약하였으며, 특징을 강조할 수 있는 세밀한 부분에서는 사실주의적 표현과 결합하여 표현하였다. 전통 문화 소재를 표현하 는 데 있어 현대적 형식 언어와 예술 기법을 융합하여, 현대적 미 적 관점으로 전통 문화의 매력을 재해석하고 현대적 미감을 충족시키는 예술 작품을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5,100원
        1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술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는 내밀성 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의 표현 양상과 심리적 표상 방식을 분석 하고자 한다. 내밀성은 개인의 깊은 감정, 생각 및 경험을 포함 하는 심리적 영역으로, 예술작품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 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의 내밀성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예술가들이 내밀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고찰하였다. 하이데거는 내밀성을 존재의 본질이 드러나는 공간으로 간주하며, 존재가 스스로를 나타내는 방식을 강조한다. 바슐라르는 시적 상상력을 통해 사 적이고 은밀한 공간에서의 내밀성을 탐구하며, 예술가들이 자 신의 내면을 어떻게 예술로 형상화하는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이론을 동·서양 예술가들 의 작품 분석에 적용하여, 최북, 마크 로스코, 이우환 등의 예 술가들이 작품을 통해 내밀성을 어떻게 드러냈는지 살펴보았 다. 이들은 예술적 창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존재의 심리적 깊이를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을 통해, 내밀성이 예술가의 심리적 해방과 창작 과정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하며, 현대 예술에서 심리적 깊 이와 자아 탐구의 표현방식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술가들의 창작 과정에 대한 심리적 이해를 높이고, 예술 교육 및 치료 분야에서 내밀성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또한, 예술의 본질적 역할을 재 조명하여 현대 예술의 표현 방식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6,400원
        1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I explore the complex domain of counterfactuality, arguing for its recognition as a discrete grammatical category. My analys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counterfactuality, as a linguistic construct, encompasses propositions and scenarios that diverge from the empirical realities of our world. I then examine the use of counterfactual expressions in both subordinate clauses and main claus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ir prevalence in subordinate clauses. These expressions are carefully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types according to their semantic nature: conditional construction, concessive construction and contrastive construction. Finally, the functions of counterfactual expressions are delineated, revealing their multifaceted roles in serving emotional, preparatory, and inferential purposes within communication.
        7,700원
        1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 시대에 등장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을 하인리히 뵐플린이 제시한 이론의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시각적 회화와 촉각적 회화로 분류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표현기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그림책작가를 선정한 후, 인 터넷 사이트나 출간된 서적 등에서 해당 작가의 작품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이들을 시각적 회 화와 촉각적 회화로 분류하였다. 윤곽선의 활용에 대한 부분이 가장 확실한 특징이라고 파악 하여, 윤곽선 활용 유무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중에서 작가가 각 작품마다 다른 스타일 을 추구하는 경우,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작품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4,000원
        15.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quantitative structure property relationships (QSPR) model to predict the density from the molecular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asphalt binder AAA1, a non-full connected structure mixed with a total of 12 molecules. METHODS : The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 model, which model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ons and responses and the structure of these variables, was applied to predict the density of a binder with molecule descriptors. The PLSR model could also analyze data with collinear, noisy, and multiple dimensional independent variables. The density and additive-free AAA1 binder’s molecule systems generated by an asphalt binder’s molecules-related study were used to fit the PLSR model with the molecular descriptors produced using alvaDesc software. In addition to developing the relationship, a systematic feature selection framework (i.e., the V-WSP- and PLSR-modelbased genetic algorithm (GA)) was applied to explore sets of predictors which contributed to predicting the physical property. RESULTS : The PLSR model accurately predicted the density for the AAA1 binder’s molecules using the condition of the temperature and aging level (R2 was 0.9537, RMSE was 0.00424, and MAP was 0.00323 for the test data) and provided a set of features which correlated well to the property. CONCLUSIONS :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physical property prediction model, it was possible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materials without limited experiments or simulations, and it could be used to comprehensively design the modified material composition.
        4,000원
        16.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80년대 초 도미 이후 지속적으로 기하학적 드로잉의 형태로 작업을 이어 가는 이상남의 도상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그가 뉴욕이라는 배경에서 과거의 국내 또는 뉴 욕 현지에서의 주된 미술의 조류에 동화되는 일 없이 독특한 기하학적이고 기계적인 이미지 로만 작업을 이어가는 과정을 마르셀 뒤샹이 1911년 이후 기계적 이미지를 화면에 도입하 고 그 이후로는 완전한 기하학적 추상, 또는 기계적 구성으로만 작품을 구성하는 점과 비교, 연구하고 있다. 이들 화풍에 공통되는 점은 첫째, 직전 세대에 통용되는 화법으로부터의 명 백한 단절을 꾀함으로써 전통회화적 기법에서 해방되고자 했다는 점, 둘째, 이를 위한 방법 으로 고질적 회화의 기술, 즉, 손이 익힌 화법을 차단하고자 몰개성(de-personalize)적인 기 하학 또는 기계 이미지만을 그리거나 제작했다는 점, 마지막으로 그렇기 때문에 이들에게 있 어 기하학은 20세기 초의 추상화로의 움직임에서 전형적인 순수한 형식상의 필요에 의한 변 화로만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7,000원
        17.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봉황문 인문보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가례와 같은 중요한 행 사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보자기로 창덕궁유물로 지정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14점이 소장되어 있다. 인문보引紋袱의 일종 인 봉황문 인문보는 보자기 중앙에 봉황문양이 그려져 있는 것 을 말한다. 인문보는 채색 물감을 이용하여 보자기 위에 다양 한 문양을 화려하게 그린 보자기이다. 봉황문 인문보 앞면에는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자연 현상문양, 보배문양이 복합적인 형태로 그려져 있다. 시문된 문 양에 담긴 복합적인 의미를 분석해본 결과 왕조의 연속성, 자 손 번창, 부귀영화, 무병장수 등을 담아 조선 왕실이 추구하는 이상향을 표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봉황문 인문에 관련된 고 문헌을 살펴본 결과 왕실에서 사용 하는 인문보의 제작은 왕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엄격한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아쉬운 점은 왕실의 주요한 행사를 기록한 고 문헌에는 수백 장의 인문보가 제작되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제작과정에 관련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봉황문 인문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궁중 보자기를 연구한 학술논문이나 학위논문 속에 일부분으로 다뤄 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선행연구와 궁중 복식 연구, 궁중 문양 등을 연구한 논문과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공한 봉황문 인문보의 관련 자료와 수장고에서 실물 친견 등을 참고 하여 분석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에 시문된 문양 분석은 발생 배경과 함께 각 문양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였고 색채 분석은 동양 전통 오방색 과 음양오행 원리에 따른 색채의 상징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표현 기법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 채색 기법을 바탕으로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봉황문 인문보에 담긴 수준 높은 조선시대 의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의 문양과 색채 및 표현 기법을 분석한 본 논 문이 현대 회화와 공예, 디자인, 건축 등의 다양한 예술 분야에 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7,800원
        18.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0세기 말 이후 중국과 남한의 올림픽 포스터 디자인에서 두드러진 특징과 미묘함을 분석하고 비교합니다. 시각적 표현, 문화적 함 의, 그리고 그들의 사회-역사적 맥락 내의 의사소통 전략을 탐구합니다. 이 연구는 양국이 어떻게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디자인을 독특하게 혼합 하여 국가 정신과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며, 대중의 인식과 감정에 영 향을 주는지를 밝혀냅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뒤에 있는 사회-정치적 동기를 논의하며 미래의 추세를 예상합니다. 이 분석은 중국과 한국의 포스터 디자인의 독특한 가치와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역할에 대한 새 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8,300원
        19.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lacing technique has a long history of use as a means of creative expression and persists in modern society to satisfy the individual pursuit of pastimes. This method ha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to create new trends in the future. Interlacing techniques (e.g., basketry, plaiting, braiding, and knotting) are closely related to plastic arts fields, architecture, art, and industrial design where the various interlacing practices are applied. This research uses case analysis to study the types of expression found in the formative art field wherein the interlacing technique is applied. Results reveal several expressions, including optical illusion visual type, relief surface type, porous perspective type, and object borrowing type, all of which appeared in fashion bags. The aesthetic formativeness, which appeared in the fashion bags that applied interlacing techniques, was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geometric formative beauty in a process based on rules and order. Nature-friendly formative beauty reflecting handicraft locality and omnidirectional formative beauty by disordered deconstruction and heterogeneous combination were determined. The use of interlacing techniques that show creative, unique combinations and variations is expected to inspi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ag design that suits individual and original modern fashion trends. One limitation of this thesis is that it only studied cases appearing in modern fashion bags.
        4,600원
        20.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is a core featur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which are commonly referred to as drones. In emerging smart logistics, drones are expected to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as mobile platforms. Therefore, research on last-mile delivery using drones is on the rise.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 providing drone delivery services, particularly among retailers that handle small and lightweight item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a structural definition of the VTOL drone flight model for multi-point delivery service. This paper describes a VTOL drone flight route structure for a multi-drone delivery service using rotary-wing type VTOL drones. First, we briefly explor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drone delivery services. Second, a VTOL drone flight route model is introduced using the idea of the nested graph. Based on the proposed model, we describe various time-related attributes for delivery services using drones and present corresponding calculation methods. Additionally, as an application of the drone route model and the time attributes, we comprehensively describe a simple example of the multi-drone delivery for first-come-first-served (FCFS) services.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