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81.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형태초점 기법 적용 연구들을 메타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암시적 형태초점 기법과 명시적 형태초점 기법의 효과성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형태초점 기법의 적용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59개의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학습자 나이, 처치 기간 및 기능, 어휘, 문법의 종속변인별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암시적 형태초점 기법의 경우 0.612, 명시적 형태초점 기법의 경우 0.634의 효과크기를 보이며, 두 지도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나이 및 처치 기간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명시적 형태초점 기법을 활용한 문법 지도는 언어 기능 지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82.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중등 대상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효 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 목표는 첫째, ‘초․중등 대상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다.’ 둘째, ‘범주형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연속형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다.’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다문화 교육’, ‘다문화 프로그램’, ‘다문화 효과’를 키워드로 하여 논문을 검색하였고, 2차에 걸친 자료 수집 과정과 대상 논문에 대한 질적 분류 결과 학위논문 30편, 학술지 논문 6편, 총 36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총 효과 크기는 .816으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이를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한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는 79퍼센타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다문화 교육을 시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약 29% 높다는 것이다. 하위그룹분석 을 실시한 결과, 비교과 영역보다 교과 영역의 효과가, 중등보다 초등교육의 효과가, 언어 적 프로그램보다 비언어적 프로그램의 효과가, 개인․심리적 변인보다 다문화적 변인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가운데 프로그램 내용(교과/비교과)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의 평균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또한, meta-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집단크기와 교육 기간은 효과 크기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83.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이후 국내에서 그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논의하게 된 봉사 학습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 중 실험연구 21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어느 수준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8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매우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둘째,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지논문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봉사학습은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 장애 여부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지적 장애, 일반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학습의 네 단계(준비, 실행, 반성, 시연) 준수 여부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준수한 경우, 준수하지 않은 경우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여섯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봉사학습의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총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8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게 국내의 플립러닝 연구를 통합하여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러닝 연구 95편을 선정하였고, CMA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립러닝 설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기간은 10주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토론시간은 25분-30분일 때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적용시 숙제가 부여될 때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 동영상은 교사가 직접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보다 기존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업 시 사전학습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영상시간, 사전학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대안 제시유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 제공유무, 학습자 수준에 따른 활동 제공유무, 심화, 보충학습 제공유무, 오리엔테이션 제공유무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할 때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85.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운동중독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학술지 30편과 학위논문 24편의 논문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중독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ES=.252(.268)). 둘째, 운동중독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감정적 애착(ES=.409), 금단증세(ES=.247), 운동욕구(ES=.245), 갈등(ES=.0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중독은 심리적 행복감(ES=.311)과 여가만족(ES=.311)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삶의 질(ES=.165)과 생활만족(ES=.127)에는 비교적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넷째, 운동중독은 조절변인(남성비율, 출판년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운동중독의 부정적 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행동 통제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8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dietary protected amino acid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dairy cow using meta-analysis. Total 21 research papers were employed in analysis, and mixed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effects. Effect of protected methionine (PM) and combination of protected methionine and lysine (PML) were investigated under two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18% and >18%). For performance of dairy cow, milk yield, milk composition including milk fat and protein content and yield and 4% FCM (fat corrected milk) production were used for analysis. In case of milk yield, a trend of increment was found at PM supplementation at low CP (P=0.055). However, the effect of PM at high CP was detected as not significant (P>0.05). In case of milk protein, inclusion of PM at low CP showed significant decremen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MP on milk protein at high CP (P>0.05). Supplementation of MP at high CP level showed significant increment of milk fat (P<0.05). MP supplementation represented significant increment of 4% FCM production (P<0.05) regardless of dietary CP levels. Effects of PML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at both of low and high dietary CP were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However, it seem to be that there was a possible positive effect of MPL application at high dietary CP on performance of dairy cow.
        8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5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중 집단상담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한 실험연구 166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평균효과크기는 1.218로 큰 효과크기 를 나타내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자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 부적응학생 대상의 집단상담 프로그 램이 1.433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 특성에 따른 효 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크기와 참여자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이론적 접근방법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매체활용 접 근방법에서는 미술활용 집단상담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적응학생을 대상으 로 한 경우에는 현실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 교적응 하위영역 중 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업적응 영역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효과크기 가 가장 컸으며, 학교규칙적응 영역에서는 해결중심 집단상담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본 연 구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특성 및 접근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것으로 이는 학교적 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현장에서 적용·실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 다는 데 의의가 있다.
        8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뤄진 초등학생 대상 영어어휘지도방법 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초등학생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실험연구 2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어휘 지 도 방법, 어휘 제시 방법, 활용 자료 유형에 따라 구별되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도 방법에 있어 암시적 지도 방법과 명시적 지도 방법 은 모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두 지도 방법의 효과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그 러나 두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명시적 지도 방법을 우선에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 제 시 방법에 있어 그림 활용, 번역 활용, 맥락 활용 제시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 였고 특히 번역 활용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활용 자료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맥락 적 자료와 탈맥락적 자료 활용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점차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89.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체육활동이 학교폭력과 관련성이 깊은 자아존중감,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기존의 다양한 체육활동에 대한 실험연구 또는 비교연구 논문을 활용하여 메타분석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개별 이펙트 사이즈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Jared DeFife에 의해 개발된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Hedges & Olkin‘s g를 산출 한 후, 효과크기의 평균과 매개효과 유의 성은 SPSS 메타분석 Macro Program을 통해 분석하였다. 공격성과 관련하여 14개 논문이 연 구에 포함되었고, 이로부터 총 29개 효과크기가 수집되었다. 자아존중감과 관련해서는 19개 논 문으로부터 45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육활동은 공격성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공격성에 대한 효과크기 평균값은 -.74, 자아존중감에 대한 평균 효과크 기는 .36이었다. 또한, 체육활동은 공격성 하위 개념 중 신체적 공격성(-1.06)과 적대감(-1.52) 감소에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체육활동은 가족(.24), 학교(.08) 자아존중감 보다 사회(.47), 총 체적(.42)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 이었다.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모두에서 학교 급, 체육활동 유형, 연구방법 매개변인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공격성과 자아개념에 대한 체육활동의 효과는 모두 중학교, 사회 체육활동, 조사연구를 활용한 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9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향기요법의 중재변인별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향 기요법에 있어 더 효과적이며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메타분석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총 2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CMA프로그램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효과크기는 ES =0.678로 중간 이상의 효 과를 나타내었다. 중재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대상별 로는 일반인 집단(ES =0.751)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향기요법 은 일반인과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향후에 는 일반인집단과 환자집단별로 적절한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연구 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적용방법별은 건식흡입법(ES=0.684) 이 확산흡입법(ES=0.643)보다 효과적이었지만 모두 중간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기 때문에 어떤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효과적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설계 시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이 가능 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향기요법 실험기간별 효과크기는 21-30일 이 효과적이었으며(ES =0.905) 실험횟수별 효과크기는 11-15회 (ES=1.095), 실험 1회당 시간별 효과크기는 2분(ES=1.333)이 효 과적이었다. 이는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주 3회에 1회당 2분이 향 기요법에 가장 효과적인 연구방법이라 판단된다. 향기요법 종속변 인별 효과크기는 심리(ES=0.768)가 효과적이었다. 이는 향기요 법이 심신 이완이 증진되어 심리적 효과와 불안과 우울이 감소된다 는 이론과 일치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Hansen et al., 2006). 따라 서 향기요법이 심리적인 문제 개선에 매우 유용한 요법이므로 극도 의 심리적 불안정을 가진 정신질환자(우울증, 공황장애, 피해망상 증, 불안장애 등)에게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향기요법의 각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향기 요법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향기요법에 대한 후속연구 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향기요법의 구체적이고 세밀한 중재변인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 어 향기요법의 재료는 한 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3가지를 혼 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어려 웠다. 추후연구에서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91.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 22편을 선정하여 전체 효과크기 분석,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한 범주형 변수별 분석,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에 이용된 선행연구 결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21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인지/메타인지, 동기, 사회/환경적 요인 등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조절학습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는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학업성취도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9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은 현대 대중문화의 주요 콘텐츠로 평가받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게임 텍스트와 그 문화적 함의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게임이 발전하면서 게임의 텍스트적 특징, 그 형식과 내용을 설명, 해석하려는 학술적 비평과 언론비평이 함께 성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게임비평이 게임 텍스트를 어떻게 특징화하며, 게임에 대한 이해를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게임비평은 게임을 다양한 주제의식과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으나, 특히 게임 플레이를 통해 게임 텍스트가 구조화되는 방식, 내용적 특이성 및 그것이 수반하는 사회문화적 함의가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게임비평은 게임 텍스트 자체 및 게임과 사회문화적 현상간의 관계를 맥락화함으로써 게임의 역사를 구성해내는데 기여하고 있다.
        93.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의 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 연구의 결과를 메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종합하는 것이다. 저자들이 정한 분석논문의 선정기준에 따라 36편의 연구를 메타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이로부터 50개의 효과크기를 구하였다. 50개의 효과크기로부터 계산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고정효과모형의 경우 1.255, 무선효과모형의 경우 1.406으로 나타나 국내에서 수행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크기 간 이질성을 설명할 수 있는 조절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의 연령, 효과변인의 유형, 연구설계의 유형, 그리고 프로그램 적용기간 등 네 개의 조절변인을 투입한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의 연령과 효과변인의 유형이 효과크기의 분산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메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94.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통합교육의 적용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과학적 지식 획득, 과학탐구능력 습득, 과학에 관련된 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2000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온라인데이터로 구축되어 있는 국내의 과학 통합교육에 대한 학위논문과 저널 중에서 효과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된 양적연구를 대상으로, 연구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코딩기준에 따라 코딩하고 효과크기 공식을 적용하여 60편의 논문으로부터 84개의 효과크기를 구했다. 분석 결과 첫째, 과학 통합교육은 학생의 과학적 지식 획득, 과학탐구능력 습득,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형성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과학탐구능력 습득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났다. 둘째, 통합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내용(교과)중심 통합 방법이 가장 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주제(소재)중심 통합 방법과 문제해결중심 통합 방법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셋째, 통합교육의 유형과는 대조적으로 학교급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적인 맥락에서 과학교육의 통합적 시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고 이러한 분석은 과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연구와 실천에 기여할 것이다.
        9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Borenstein 등이 주장하고 있는 메타분석과 최근 산업조직심리학 내지 조직행동 분야에서 지지를 얻고 있는 Hunter-Schmidt 메타분석에 대해 방법론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각각의 메타분석 방법론에 기초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 하는 것이다. 우선 메타분석 여러 절차 중 메타통계분석 및 분석결과 제시에 초점을 맞춰 상이한 분석방법과 절차 및 결과 해석 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방법론적 차이점들은 신뢰구간과 확신구간, 측정오차 등 오차의 교정, 피셔 z 전환값 사용 여부, 효과크기 비교, 동질성 검사 여부, 각각의 전용 메타분석 프로그램 등 6가지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비교분석과 병행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상관관계를 Borenstein 등의 메타분석 방법과 Hunter-Schmidt 메타분석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 CMA 프로그램과 Hunter-Schmidt Meta-Analysis Programs를 이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1 2 3 4 5